'자이언트' 일으킨 가족애, 그 가능성과 한계

'자이언트'의 시청률은 최근 몇 회 동안 갑자기 올랐다. 10% 언저리에 머물던 시청률은 18%대까지 올랐고, 현재는 16%에서 숨고르기를 하고 있다. 대작 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자이언트'의 초반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이유는? 국책성 드라마라는 오해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이런 오해는 눈 녹듯 풀렸다. 복마전을 방불케 하는 엎치락뒤치락하는 사건들의 연속은 누가 선이고 누가 악인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긴박하게 흘러갔다.

강남땅을 두고 벌이는 치열한 각축전은 사극의 전투를 연상케 할 정도. 하지만 국책성 드라마라는 오해가 풀리고, 숨 가쁘게 돌아가는 사건의 연속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은 정체상태였다. 이런 멈춰선 '자이언트'의 거대한 몸을 움직이게 한 것은 도대체 뭘까. 바로 가족이었다. 어린 시절 뿔뿔이 흩어졌던 강모(이범수)와 성모(박상민) 그리고 미주(황정음)가 차례차례 재회하는 장면에서 좀체 움직이지 않을 것 같았던 '자이언트'의 무거운 시청률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31빌딩 앞에서 미주가 그녀를 바라보는 강모의 금방이라도 눈물을 터뜨릴 듯한 눈을 보면서 "오빠?"하고 말했을 때, 미주 앞에 나타난 성모가 옛날 사진관에서 찍었던 빛바랜 사진을 꺼내들 때, 그리고 강모를 구해낸 성모가 동생에게 "내가 네 못난 형이다"라고 말할 때 드라마의 집중도는 극에 달했다. 우리네 드라마에서 '가족'이라는 코드가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 지가 그대로 드러나는 순간이다.

가족 코드가 '자이언트'에 부여한 힘은 그간 끝없이 벌어졌지만 깊은 감정이입을 만들지는 못했던 일련의 사건들을 남다르게 만들었다. 잡혀온 강모를 폭행하는 조필연(정보석)을 바라보는 성모의 눈빛에는 불꽃이 튀었고, 이것은 그간 묻혀있던 성모라는 캐릭터를 재발견하게 만들었다. 박상민의 연기가 갑자기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이 재발견된 캐릭터의 힘이기도 하다. 한편 연기력 논란까지 불러 일으켰던 황정음 역시 가족을 만나 미주라는 캐릭터가 살아나면서 '눈물의 여왕'으로 재탄생되었다. 이것은 가족이라는 코드가 그저 뿔뿔이 흩어져만 보이던 사건들 사이에 어떤 강력한 접합제 역할을 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캐릭터는 감정선이 녹여진 사건들 속에서 살아나기 마련이다.

'자이언트'의 시청률이 급상승한 또 하나의 이유는 멜로다. 그간 겉으로만 빙빙 돌던 강모와 정연(박진희)의 멜로가 급물살을 타면서 드라마는 좀 더 애틋해졌다. 정식이 저지른 살인누명을 뒤집어쓰고 도망 다니는 강모를 위해, 정연은 머뭇대던 감정을 드디어 드러낸다. 멜로 역시 가족 코드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사건들에 깊은 감정선을 부여한다.

물론 가족코드나 멜로코드가 가진 단점도 있다. 그것은 사건을 단순화시키고, 선악구도를 너무 뚜렷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가족으로 뭉치기 전에는, 또 멜로로 서로를 사랑하기 전에, 이 드라마는 어떤 방향으로 튈 지 감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선악구도가 불분명했다. 하지만 관계가 명확해지자, 이제 가족을 중심으로, 또 연인을 중심으로 선악구도는 자연스럽게 자리하게 된다. 선악구도보다는 권력과 욕망을 두고 벌어지는 끝없는 전쟁의 양상이 장점이던 '자이언트'라는 시대극에는 조금 아쉬운 점이기도 하다.

결국 '자이언트'의 시청률 급상승에는 우리네 드라마에서 가족코드와 멜로코드가 왜 그리도 오래도록 반복되는 지를 잘 말해준다. 우리에게 이 두 코드는 식상하면서도 강력하다. 따라서 적절히 사용된다면 큰 효과를 가져오지만, 지나치게 매몰되면 오히려 식상해질 위험성도 생긴다. '자이언트'가 계속적인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사건과 이들 코드 사이에 적절한 균형이 필요한 시점이다.

가족드라마의 틀 속에 동성애도 있는 것

최근 보수적인 성향의 한국교회언론회는 "동성애 미화, 사회를 병들게 한다'는 논평을 통해 '동성애를 미화하는 TV프로그램의 방영은 동성애에 대한 동정심을 넘어 심각하게 비호하는 측면이 있다."는 논평을 냈다. 또 기도운동단체인 에스더 기도운동도 최근 회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이대로 TV드라마를 방치한다면 이 땅의 많은 청소년에게 동성애는 아름다운 것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시청거부운동을 촉구했다고 한다.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최근 종영한 드라마 '개인의 취향', 그리고 현재 방영되고 있는 김수현 작가의 '인생은 아름다워'에 등장하는 동성애자를 지목한 것일 게다. 특히 그중에서도 '인생은 아름다워'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폭발적이다.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동성애자 태섭(송창의)에 대한 시선은 극에서 극으로 옮겨졌다. 보는 이를 불편하게 만들었던 동성애자 태섭이란 존재에 대한 반감은 어느새 동감으로 바뀌어버렸다. 어떻게 이 짧은 시간에 이런 변화가 가능했던 걸까.

그것은 커밍아웃을 통해서 비로소 태섭이 가족의 일원이 되었기 때문이다. 태섭이 차마 가족들에게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밝히지 못하고 있을 때, 그는 철저히 타자였다. 드라마 속에서 가족과 섞이지 않는 태섭의 모습은 바로 우리가 이 땅의 동성애자를 바라보는 그 시선 그대로였을 것이다. 나와는 다른 외계인 같은 존재. 하지만 그가 커밍아웃을 하는 순간, 모든 것이 바뀌었다. 양엄마인 민재(김해숙)에게 거듭 '죄송하다'고 말하는 태섭을, 민재는 "오히려 자신이 더 미안하다"고 말한다. 그 사실을 민재에게 전해들은 병태(김영철) 역시 태섭을 탓하기보다는 오히려 자식의 앞날을 걱정해준다.

외계인처럼 겉돌던 태섭은 그 부모인 민재와 병태가 끌어안음으로써 비로소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 바로 이 시점의 변화가 동성애자에 대한 시선을 극에서 극으로 바꿔놓은 김수현 작가의 마법. 그 마법은 다름 아닌 가족애다. 타인으로만 바라보던 시청자들의 시점을 가족의 시점으로 바꿔놓자, 거기에 외계인이 아닌 우리네 가족 중 하나로서의 태섭이 서 있었다. 그 어떤 가족이 자신의 가족이 동성애자라고 해서 그저 손가락질하고 비난할 수 있을까.

민재가 태섭에게 '우리가 너의 든든한 바람막이가 되어줄 것'이라고 선언하는 것처럼, 이 드라마는 김수현 식으로 동성애에 대한 접근을 하고 있다. 그것은 철저히 가족드라마의 시선으로 동성애를 바라보는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분명 동성애에 대한 윤리적인 잣대나 사회적인 맥락 같은 것들이 존재하긴 하지만, 그것은 가족 바깥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들이다. 즉 가족의 눈높이에서 동성애는 윤리적인 문제도 사회적인 문제도 아니다. 그저 부모 자식사이에, 형제 남매 사이에 놓여진 문제일 뿐이다.

따라서 '인생은 아름다워'는 동성애 드라마라기보다는 김수현 특유의 가족드라마가 맞다. 다만 그 가족의 일원 중에 동성애자가 들어있는 것이 다를 뿐이다. '인생은 아름다워'는 양병태네 집안사람들이 저마다 문제들을 갖고 옥신각신하면서도 결국에는 가족애로 그것을 넘어서며 살아가는 우리네 인생을 아름답게 바라보는 드라마다. 거기에는 일부에서 제기하는 '동성애에 대한 미화'가 전혀 들어 있지 않다. 아름다운 것은 동성애 자체가 아니라, 동성애자라도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그 가족애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어쩌면 해묵은 동성애에 대한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접근보다, 훨씬 실질적이고 인간적인 접근방식인지도 모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