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션은 식상해? <팬텀싱어>가 뛰어넘은 한계

 

듣고만 있어도 빠져든다. 뮤지컬과 클래식이라는 장르는 낯설기보다는 놀라움의 연속이었다. 거기에는 가요와는 다른 무언가가 있었다. 듣는 이의 귀가 아니라 영혼을 건드리는 어떤 것. 요즘처럼 가슴이 턱턱 막히는 시국에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한 자락을 듣거나 <노틀 담의 꼽추>대성당의 시대같은 노래를 듣는다는 건 남다른 경험이 될 수밖에 없다. 마치 답답한 마음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듯한 영혼의 손길이 느껴지는 그런 경험.

 

'팬텀싱어(사진출처:JTBC)'

JTBC <팬텀싱어>에 대한 반응이 심상찮다. 첫 회 시청률이 1.7%(닐슨 코리아)에 머물렀다는 건 시청자들에게 오디션 프로그램이란 형식 자체가 식상한 포맷이 되어버렸다는 반증이다. 하지만 그것이 일종의 선입견이라는 걸 깨주겠다는 듯 소름끼치는 실력을 갖춘 출연자들이 하나 둘 무대에 올라오면서 <팬텀싱어>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2회에 가볍게 2%를 넘긴 시청률은 3회에는 2.6%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다.

 

보통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면 첫 회 첫 출연자에 대한 주의 집중이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첫 출연자는 마지막까지 간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 하지만 <팬텀싱어>의 첫 출연자 무대는 사뭇 달랐다. 첫 출연자인 대학생 최경록이 <오페라의 유령>‘Music of the night’을 부르고 나자 윤종신과 윤상 같은 기존 가요 오디션 심사를 했던 심사위원들은 적이 놀라는 얼굴이었다. 하지만 뮤지컬 음악감독 김민정 심사위원은 달랐다. 그런 가창력의 소유자들이 많다는 것. 그래서 최경록의 첫 무대는 시청자들에게 이 <팬텀싱어>의 최고점을 보여줬다기보다는 일종의 기준점을 제시한 무대가 되었다.

 

두 번째로 나온 고은성은 마치 그 기준점을 넘어선 무대가 무엇인가를 보여주겠다는 듯 안정되면서도 속으로 꾹꾹 감정을 눌러 담으며 부르는 <노틀담의 꼽추> ‘대성당의 시대로 심사위원들을 소름 돋게 만들었다. 너무 독특한 카운터테너의 놀라운 기량을 보여줘 중창단을 뽑는 이 오디션에서는 떨어질 수밖에 없었지만 중학생 이준환 군의 무대는 마치 모차르트 시대로 우리를 돌려놓는 듯한 감동을 선사하기도 했다.

 

뮤지컬의 강점이 노래를 하는 것만이 아니라 연기를 통해 스토리를 전해준다는 점에서 듣는 이들을 더욱 몰입시켰다면, 성악은 갈고 닦여진 그 목소리를 자유자재로 구사해낸다는 점에서 놀라움을 안겨줬다. 윤민수의 보컬트레이너였던 성악가 유슬기가 부르는 ‘Granada’나 맨해튼 음대출신의 이동신이 부르는 ‘Nessen Dorma’ 같은 무대는 단번에 성악의 매력에 빠뜨리기에 충분했다.

 

여기에 이어진 건 김문정 감독의 지휘가 가진 마법 같은 힘이었다. 뮤지컬을 준비하고 있는 박유겸은 뮤지컬 <Love never dies>‘Till I here you sing’을 혼자 부를 때와 김문정 감독의 지휘를 받으며 들을 때 확연히 달라지는 무대를 확인시켜줬다. 결국 <팬텀싱어>가 추구하는 건 개개인의 역량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 역량들이 하나로 뭉쳐져 하모니를 이룰 때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는 걸 확인시켜준 무대였다.

 

<팬텀싱어>는 첫 출연자부터 현재의 11대결 미션 무대까지 점층적으로 뮤지컬과 클래식 그리고 가요가 엮어지며 만들어낼 수 있는 음악의 다양한 매력들을 하나씩 쌓아가며 보여줘 왔다. 뮤지컬의 묘미를 순차적으로 보여줬고 여기에 성악이 가진 매력이 곁들여졌으며 나아가 곽동연과 이동신이 함께한 카루소같은 록과 성악이 완벽한 조화를 만들어내는 하모니의 힘을 보여줬다.

 

확실히 요즘의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이제 그 패턴이 읽힐 정도로 식상해진 게 사실이다. 그나마 새로운 출연자들이 등장한다는 것이 기대를 주기도 하지만 그 이상을 보여주기가 힘들어졌다는 것. 그러니 복면을 쓰거나 차양막에 가려진 곳에서 얼굴을 숨긴 채 노래를 하는 히든콘셉트가 오디션에 추가된 건 이런 읽히는 패턴을 지워내고 게임적 요소들을 가미함으로써 식상함을 넘어서려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안간힘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건 결국 오디션의 본질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결국 오디션은 음악이 주는 감동 그 자체에 맞춰질 때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팬텀싱어>는 시청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았던 클래식과 뮤지컬을 소재로 가져옴으로써 음악이 주는 감동이라는 그 오디션의 본질에 다가가고 있다. 결국 쏟아지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숙제는 아직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음악의 새로운 묘미나 매력들을 꺼내놓는 것에 있다는 걸 <팬텀싱어>는 그 영혼을 울리는 무대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찬란한 유산', 핏줄의식에 대한 애증을 넘어서

'찬란한 유산'이 40% 시청률을 넘었다. 이런 드라마를 우리는 국민드라마라고 부른다. 도대체 무엇이 '찬란한 유산'을 국민드라마로 만들었을까. 그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은 극중 주인공인 고은성(한효주)이라는 캐릭터다. 고은성이라는 캐릭터가 국민들을 때론 울리고 때론 기쁘게 했던 것은 그녀가 가진 두 가지 측면, 즉 그녀의 추락과 상승 때문이다. 그녀가 추락할 때 우리는 그녀를 한없는 동정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고, 그녀가 상승할 때 그 승리의 기쁨을 함께 가질 수 있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바로 이 추락과 상승에 한 가지 모티브가 얽혀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핏줄의식이다. 고은성을 추락시키는 것은 백성희(김미숙)의 친딸인 승미(문채원)에 대한 엇나간 모성애 때문이다. 자기 핏줄을 챙기기 위해 자식이지만 남의 핏줄을 내치는 비정한 모성애는 물론 극화된 것이지만, 우리네 스토리텔링 전통 속에 무의식적으로 잠재되어 있는 비뚤어진 욕망이다. 우리네 옛이야기 속에 무수히 다른 판본으로 등장하는 잔인한 계모의 이야기는 우리의 남다른 핏줄의식의 또 다른 얼굴이기도 하다.

한편 고은성이 그 핏줄의식으로 인해 떨어진 나락에서 벗어나는 과정이 흥미롭다. 그것은 핏줄을 넘어서는 그녀의 사랑(이것은 거의 인류애에 가깝다)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길바닥에서 봉변을 당한 할머니를 그저 지나치지 못하고 데려와 극진히 보살펴주는 일은 혈연과 같은 핏줄의식의 배반이다. 핏줄의식으로 버려졌지만 바로 그 핏줄의식을 넘어서 자식 이상으로 인정받는 고은성의 성장담은 그래서 우리의 마음을 건드린다. 그녀는 자신이 핏줄의식으로 인해 버려진 경험을 함으로써 비로소 그 핏줄의식을 버리고 누군가에게 손을 내밀 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는 또 얼마나 자기 핏줄만 챙기며 살아가는 이기적인 존재들인가. 강렬한 핏줄의식 속에는 강렬한 죄의식 또한 자리한다. 고은성을 바라보며 핏줄의식의 사회가 내동댕이친 그녀가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생기는 것은 바로 그 부채감 때문일 것이다. 타인을 자기 자식처럼 받아들이는 장숙자 여사(반효정), 그녀를 사랑하면서 변화하게 되는 선우환(이승기), 그녀의 삶을 안타깝게 바라보며 조용히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박준세(배수빈)는 모두 우리의 부채감을 대신해주는 분신들이다.

따라서 드라마는 바로 그 핏줄의식의 욕망을 넘어선 자리에 비로소 진정한 관계가 드러난다고 말한다. 장숙자 여사는 친 자식이 아닌 고은성을 유산의 상속녀로 지목함으로써, 박준세는 아버지가 아닌 사회의 정의를 선택함으로써 그 핏줄의식의 욕망을 넘어선다. 물론 선우환의 사랑 역시 이것과 관련이 있다. 자신의 유산(핏줄로 물려받게 될)을 빼앗아갈 지도 모르는 고은성을 그는 사랑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대를 넘나드는 핏줄의식의 배반이 말해주는 것은 우리네 사회가 가진 혈연의 문제가 어느 특정 세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장숙자 여사는 잘못된 자식들을 일깨웠고, 박준세는 잘못된 아버지를 일깨운다.

'찬란한 유산'은 고은성이라는 캐릭터를 내세워 우리가 마음 속에라도 가지고 있었던 핏줄의식의 욕망들이 가진 죄의식을 일깨워 눈물로 정화시킨다. 이것이 바로 '찬란한 유산'이 40%가 넘는 국민드라마가 될 수 있었던 원동력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보면 고은성은 우리가 그토록 핏줄의식을 외치며 살아가는 삶 속에서 잊은 것처럼 저 편에 묻어두었던 타인에 대한 죄의식을 바라보게 만드는 캐릭터다. 우리가 그녀들에게 한 짓은 도대체 무엇일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