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이성민만 봐도 빠져드는 까닭

 

역시 이성민이라는 말이 실감나는 드라마다. 새로 시작한 tvN 금토드라마 <기억>은 인물의 감정선이 드라마에 얼마나 몰입감을 주는가를 잘 보여줬다. 사실 이 드라마가 다루고 있는 알츠하이머라는 소재는 그리 새로운 건 아니다. 심지어 기억상실이란 소재는 과거 드라마에서 툭하면 나오던 설정이 아닌가.

 


'기억(사진출처:tvN)'

하지만 <기억>은 기억상실이란 소재를 그저 극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하는 드라마는 아니다. 대신 이 드라마는 기억을 잃어가게 되면서 차츰 삶의 본질을 찾게 될 한 중년 사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결코 가벼울 수 없고 어떤 면에서는 너무나 진지한 삶에 대한 질문이 담길 드라마다.

 

드라마는 박태석(이성민)이 방송 녹화 도중 전화를 받고는 지금 농담 하는거야?”하고 소리치는 장면에서부터 시작한다. 다짜고짜 치고 들어오는 이 드라마는 한 시간 동안 그에게서 벌어졌던 며칠 전의 이야기를 빠른 속도로 담아낸다.

 

그는 성공한 변호사다. 하지만 그 성공은 그냥 된 것이 아니다. 가진 자들을 비호하기 위해 심지어 할 수 있는 비열한 짓까지 모두 동원해서 얻어낸 성공이다. 그는 의료사고를 덮으려는 병원 측을 변호하기 위해 내부고발을 한 의사의 자식이 과거 유학 중 마약을 했었다는 사실을 약점으로 잡아 거래를 하는 이른바 속물변호사다.

 

물론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주치의인 재민(최덕문)이 그 사실을 알고 그를 포장마차에서 나쁜 놈이라고 욕할 때, 본래 태석이라는 인물이 속물은 아니었다는 게 슬쩍 드러난다. 그는 변호사로서 별로 빛을 보지 못한 인물이었고 심지어 아들을 뺑소니로 잃고는 그 충격으로 이혼까지 하게 된 인물이었다. 결국 바닥까지 내려왔던 그는 어떻게든 성공하고 힘을 갖기 위해 속물이 되는 것조차 받아들였던 인물이다.

 

하지만 내부고발을 한 의사가 말했듯, “인생은 언제 어떤 일이 벌어질지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그는 단 며칠 사이에 로펌의 최고 승률을 달리는 변호사에서 알츠하이머를 앓고 기억을 잃어가는 중년 남자로 추락한다. 마침 그가 협박과 거래를 통해 무마시킨 의료사고 사건의 내부고발자였던 의사가 자살하게 됨으로써 태석은 새로운 삶의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속물변호사라는 자책감, 그러면서도 성공이 주는 달콤함에 취해 너무나 능숙하게 일처리를 해내는 자신에 대한 자신감, 아이의 죽음과 이혼이라는 깊은 상처, 재혼해서 살고 있지만 여전히 잊지 못하는 것 같은 옛 아내에 대한 감정, 재벌가 사람들에 빌붙어 살고 있지만 거기서도 슬쩍슬쩍 느껴지는 어떤 구토감 등등. 태석이란 인물은 굉장히 복잡한 감정선을 갖고 있다.

 

<기억>은 이 태석이란 인물이 계기를 통해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드라마이기 때문에 그 동기가 되는 여러 감정선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놀라운 건 이 복잡해 보이는 감정선이 하나도 부자연스럽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짧은 시간에 다양한 감정들이 뒤얽혀 있는 태석이란 인물의 여러 사건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그것이 그리 복잡하게 여겨지지 않는 건 역시 이성민의 믿음직한 연기력 덕분이다. 그의 감정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드라마는 그만한 몰입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알츠하이머라는 병을 갖게 되면서 자신의 실체를 알게 된 태석은 어떤 삶의 변화를 겪게 될까. 속물이지만 성공한 변호사라는 위치가 주는 달콤함에서 벗어나 자신이 본래 서려 했던 그 자리로 돌아올 것인가. 그것은 추락인가 아니면 진정한 행복을 위한 길인가. 태석의 행보가 궁금하다. 그 행보를 일으키는 다양한 감정의 변화. 이성민의 연기를 통해 드러날 그 감정변화를 들여다보는 맛이 <기억>이라는 드라마가 끌리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애인있어요>, 김현주의 13역이 만든 놀라운 결과

 

사실 연기라는 건 경험이 쌓여가며 깊어지는 법이다. 하지만 그 경험도 괜찮은 배역을 만나야 비로소 빛을 발할 수 있다. 김현주라는 배우가 그렇다. 최근 그녀는 SBS <애인있어요>라는 드라마를 만나 연기의 꽃이 활짝 피고 있다.

 


'애인있어요(사진출처:SBS)'

13. <애인있어요>에서 김현주는 혼자서 세 가지 캐릭터를 소화해내고 있다. 도해강과 그녀의 동생인 독고용기는 쌍둥이라도 성격이 너무 다르다. 도해강이 차가운 커리어우먼이라면 독고용기는 무뚝뚝해보여도 속 깊고 정 많은 사람 냄새나는 캐릭터다. 김현주는 이 두 캐릭터를 동시에 모두 소화해내야 하는 역할을 맡았다.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다. 도해강이 기억을 잃고 살아온 4년의 세월 동안 그녀는 과거의 도해강이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새로운 삶을 살았다. 백석(이규한)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으며 기억을 잃기 전에는 그토록 미워했던 전 남편 최진언(지진희)과 다시 사랑에 빠지는 인물이다. 그러니 김현주는 기억을 잃기 전의 도해강과 기억을 잃은 후의 도해강 그리고 그녀의 쌍둥이 동생인 독고용기의 세 인물을 연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건 도해강이 기억을 되찾긴 하지만 기억을 잃었던 4년 간의 기억을 모두 잃어버리게 됐다는 점이다(물론 그것은 도해강이 기억상실인 척 했다는 사실이 후에 밝혀지지만). 과거의 기억을 지워버리고(잃어버리고) 다시금 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은 이 되찾은 기억에 의해 다시 반전을 맞이하게 된다. 도해강이 다시 과거로 돌아가 버리자 4년 간 관계를 키워온 최진언과 백석은 갑자기 달라진 그녀 앞에서 절망하게 된다.

 

<애인있어요>는 결국 기억의 문제를 다룬다. 좋은 기억들이 좋은 관계를 만들어내지만 안 좋은 기억들은 관계 자체를 파괴한다. 제 아무리 미워했던 관계라도 기억을 지워버리면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물론 그건 의도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결국 우리네 삶과 관계를 지배하는 건 기억이라는 걸 <애인있어요>는 도해강이라는 인물의 변화하는 기억과 그로 인해 변주되는 관계에 의해 보여주고 있다.

 

기억 상실이라는 코드는 흔히 막장드라마에서 자주 활용되는 클리셰다. <애인있어요>의 외양이 막장드라마처럼 보이는 건 이 드라마가 기억 상실 코드를 가져와 상황을 급전시키는 그 스토리 진행방식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극복하는 힘은 이 기억과 관계의 문제를 그저 점 하나 찍고 다른 인물이라고 말하듯 엉성한 방식으로 풀어내지 않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문제의식과 진지함이 깔려 있다.

 

이럴 경우 가장 중요해지는 건 연기자들의 연기 내공이다. 만일 김현주가 13역을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했다면 어땠을까. 그 기억 상실로 인해 널뛰는 성격과 그로 인해 달라지는 관계를 연기력이 감당하지 못했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애인있어요>는 막장드라마라는 오명을 벗어던지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애인있어요>는 그간 경험치를 조금씩 쌓아온 김현주의 만만찮은 연기내공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그리고 그것은 이 드라마가 막장으로 치부되지 않을 수 있는 든든한 힘이 되어주었다. 물론 그와 호흡을 맞춘 지진희나 이규한의 연기를 빼놓을 수 없지만 그 중심에 서 있는 김현주의 지분이 그 누구보다 크다는 걸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