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
-
방영 전 뜨겁던 ‘화랑’, 어쩌다 미지근해졌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2. 2. 08:51
'화랑', 도대체 언제까지 사랑타령만 하고 있을 건가방영 전 KBS 월화드라마 에 대한 기대감은 그 어느 작품보다 높았다. 중국과 동시방영을 추진했고, 따라서 100% 사전 제작된 작품이다. 한류를 노리는 드라마였다는 것. 게다가 신라의 화랑을 본격적인 소재로 삼아 꽃미남들을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도 시선을 잡아끌었다. 박서준과 박형식은 물론이고 도지한이나 김태형 같은 새 얼굴들도 기대되는 지점이었다. 그리고 첫 회는 이런 기대감이 실제가 될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마저 들게 했다. 그저 꽃미남들의 화랑이라는 소재를 빙자한 연애담이 아닐까 하는 우려를, 무명(박서준)의 등장과 그의 친구 막문(이광수)의 죽음이 전하는 골품이라는 신분제에 억눌린 청춘들의 현실이 단박에 날려주었기 때문이다. 은 현재의 금수저 흙..
-
가시 같은 '기억', 이성민이 떠올리게 하는 가장이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4. 09:45
, 삼킬 수도 뱉을 수도 없는 가시 같은 기억이란 마치 가시 같다. 뺑소니로 아이를 잃은 박태석(이성민)은 그 기억이 가시처럼 뇌리에 걸려 있다. 그건 잊고 싶은 아픈 기억이면서도 동시에 잊어서는 안 되는 기억이기도 하다. 전처인 나은선(박진희)은 그래서 그 기억의 지옥 속에서 살아간다. 아이를 잃은 기억의 고통을 자신과 박태석이 평생을 짊어지고 가야할 일로 여긴다. 그녀는 태석에게 한시도 그 고통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말고 살아가라고 말한다. 아마도 그 기억의 고통이 너무나 컸기 때문이었을 지도 모른다. 서영주(김지수)와 재혼한 박태석이 하루도 쉬지 않고 일에 빠져 살아왔던 것은. 그런데 그 몸부림의 끝에 그는 알츠하이머 판정을 받는다. 기억이 서서히 지워져가는 병.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잊고 싶은 기..
-
'따뜻한 말 한마디', 사실 불륜은 중요한 것도 아닌데옛글들/명랑TV 2013. 12. 12. 11:53
, 왜 제목을 이렇게 잡은 걸까 라니. 이 드라마 일단 제목이 수상하다. 그래서 드라마를 들여다보면 뭐 딱히 새롭다기보다는 그저 불륜을 다루는 드라마 정도로 처음에는 다가온다. 실제로 극 중에서 유재학(지진희)과 나은진(한혜진)은 불륜관계이고 그 사실은 물론이고 그 상대방이 나은진이라는 것도 유재학의 아내 송미경(김지수)은 알고 있다. 그녀는 짐짓 모르는 척 넘어가려 하지만 곧 도무지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하고는 폭발하고 만다. 불륜은 어쨌든 가장 강한 소재라는 점에서 이 드라마를 오인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서 불륜은 사실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 단박에 드러난다. 그것은 나은진의 남편 김성수(이상우)라는 인물을 통해서다. 그는 과거 불륜을 저질렀었고 그걸로 아내와 ..
-
‘슈퍼스타K2' 그 후, 가요계 본래대로 돌아갈 것인가옛글들/명랑TV 2010. 10. 24. 07:50
‘슈퍼스타K2' 그 전과 그 후 ‘슈퍼스타K2'가 보여준 건 희망이었다. 단지 중졸 학력에 환풍기 수리공으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노래를 놓지 않았던 허 각이라는 한 청년의 성공담 때문만은 아니다. ‘슈퍼스타K2'는 현 획일화의 길로만 걷고 있는 가요계에도 큰 희망을 주었다. 물론 아이돌 가수들의 활약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마치 그들만이 우리네 가요의 전부인 양 비춰지고 조명되는 것은 큰 문제. 5분 내외의 짧은 시간 동안 무대 위에서 모든 것을 보여줘야 하는 현 가요 프로그램들의 성격상, 파격적인 비주얼에 가수들이 집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선정성 논란도 바로 여기서 비롯한다). 이런 흐름 속에서 ‘슈퍼스타K2'의 무대는 비주얼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진심이 담긴 노래를 통해 충분히 대중들..
-
'슈퍼스타K', 진정한 슈퍼스타 배출하려면옛글들/네모난 세상 2010. 9. 30. 10:00
'슈퍼스타K'가 배출해야할 슈퍼스타는 어떤 가수일까 장재인이 기타 하나 달랑 들고 나와서 "바닥이 더 편해요"하며 털썩 주저앉아 또박또박 가사를 음미하듯 노래할 때, 아주 오랜만에 가슴 한 켠을 가득 채우는 어떤 설렘을 느낀 것은 거기에서 '음악'을 보았기 때문이다. 일렉트릭 사운드와 현란한 댄스, 그리고 음악 자체는 물론이고 비주얼조차 점점 찍어낸 듯 비슷비슷해진 작금의 가요계에서 그 노래를 들으며 어떤 정서적 감흥을 느끼기란 실로 어려운 일이 되었다. 아마도 음악이라기보다는 프로듀서에 의해 잘 포장된 하나의 음악상품을 보는 것 같은 느낌 때문일 것이다. 심사위원으로 경쟁자들을 심사하던 윤종신이 한 후보자에게 "당신은 좋은 프로듀서를 만나야 될 것"이라는 지적은 작금의 현실을 잘 말해주는 것이다. 목소..
-
‘아주 특별한 손님’, 여자 한효주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6. 11. 29. 17:27
김지수에서 배종옥과 박진희, 그리고 한효주까지 이윤기 감독의 카메라는 늘 여자와 그녀의 일상을 따라간다. 그것이 여자의 섬세한 감정을 포착해 켜켜이 쌓아놓는 것으로 영화적인 성취를 이루어내는 감독의 능력 때문인지, 아니면 감독이 다룬 영화의 이야기가 여자 주인공들의 감정변화를 따라갔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렇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확실한 것은 이윤기 감독은 지금까지 찍은 영화 세 편에서 모두 여자 주인공들의 섬세한 감정선을 잘 잡아냈고, 그것이 성공적이었다는 점이다. 그 여자 주인공들의 계보는 ‘여자 정혜’의 김지수에서, ‘러브 토크’의 배종옥과 박진희로 이어져 이번 ‘아주 특별한 손님’에서 한효주로 이어진다. 그의 카메라에 잡히면 여성 캐릭터들은 전에 보지 못했던 혹은 숨겨져 있던 독특한 페르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