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사업가 소유진 남편 그리고 서글서글 요리사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의 최종 우승자는 요리사 백종원에게 돌아갔다. 6명의 출연자가 전후반으로 나뉘어 인터넷 개인방송을 하고 그 시청률이 가장 높은 사람을 우승자를 가리는 이 프로그램에는 백종원을 포함해 김구라, 정준일, 홍진영, 김영철, AOA 초아가 참여했다. 전반전에는 중간 순위 정도의 시청률을 내던 백종원이 후반전에 이르러 우승자가 된 원동력은 뭘까.

 

'마이 리틀 텔레비전(사진출처:MBC)'

물론 쿡방과 먹방을 오가는 그 콘셉트가 최근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다는 점이 요리 방송을 보여준 백종원을 유리하게 작용한 면이 있지만 거기에는 또한 단지 그것만으로 단정할 수 없는 그만의 매력이 있었다. 샘킴이나 최현석 셰프처럼 최근 일련의 쿡방으로 주목받는 셰프들이 젊고 잘 생긴 훈남들이 대부분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차라리 동네 아저씨 같은 푸근한 외모의 백종원에게 이토록 열화와 같은 반응이 쏟아진 건 이례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보여준 백종원의 개인 방송은 그만의 구수하게 고급진쿡방의 매력을 보여주었다. 이런 방송 자체가 익숙하지 못해 어색해하면서도 요리사 특유의 자기만의 요리 노하우를 살짝 살짝 알려주는 모습과, 요리할 때 어떻게 하면 멋있게 보이는가에 대한 팁까지 백종원은 그 방송에 참여한 네티즌들의 반응처럼 준비된 방송인의 면모를 과시했다.

 

물론 여기서 준비됐다는 얘기는 무언가를 준비해왔다는 것이 아니라 요즘처럼 가식 없는 방송에 백종원 같은 인물이 잘 어울린다는 뜻이다. 계란말이를 쉽게 하는 노하우를 알려준다면서 실패하게 되자 이런 저런 변명을 늘어놓는 모습은 차라리 귀엽게까지 다가왔다. 야채를 손질할 때 자신이 쓰는 커다란 칼을 사용하는 이유가 그게 더 있어 보인다는 얘기도 여타의 요리사들이 보이는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그는 네티즌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무얼 만드는 걸 보여줬으면 하냐고 즉석에서 물었고, 거기 올라온 의견들을 반영해 요리를 해 보이는 소통의 자세도 보여줬다. 다른 출연자의 공격으로 소리가 나가지 않게 되자 스케치북에 삐뚤빼뚤 글씨로 요리에 대한 정보를 적어 보여주는 모습은 오히려 더 네티즌들을 반하게 만들었다. <러브 액추얼리>의 스케치북 프로포즈를 연상시키기도 하는 그 장면에 네티즌은 백종원의 스케치북이라는 댓글을 달아주었다.

 

무엇보다 백종원에 대한 반응이 좋았던 것은 그의 쿡방이 요리 실력을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 요리를 매개로 네티즌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그가 거기서 만든 요리들은 샌드위치, 닭볶음탕, 계란말이, 짜장 같은 일상적으로 누구나 시도해볼만한 것들이었다. 다만 그 일상 요리에 요리사로서의 자신만의 쿨팁을 알려주었기 때문에 훨씬 더 매력적으로 다가왔던 것.

 

우승을 한 백종원에게 주어진 1분 간의 자기 PR시간에 그는 아내 소유진에 대한 사랑을 재확인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사업가와 소유진 남편으로 더 알려져 온 백종원은 이 방송을 통해 서글서글한 요리사로서 시청자들에게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실로 구수한 아저씨처럼 털털하지만 자기 분야에 확실한 노하우를 가진 고급진 백종원을 재발견하는 시간이었다.

 

설 연휴 파일럿, 어떤 프로그램이 가능성이 있을까

 

설 연휴는 끝났지만 파일럿 프로그램들이 남았다? 방송사들은 이제 설 연휴 기간 동안 방영되었던 파일럿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어떤 것들이 정규 가능성이 있는가를 두고 고민에 빠지게 되는 시간을 맞았다. 이제 명절 연휴는 파일럿 프로그램들의 각축장이 된 지 오래. 올 설 연휴에는 특히 가능성 있는 몇몇 시도들이 눈에 띄었다. SBS<아빠를 부탁해>, <썸남썸녀>, MBC<복면가왕>, <마이 리틀 텔레비전>, KBS<왕좌의 게임>, <스타는 투잡중>이 그것이다.

 

'아빠를 부탁해(사진출처:SBS)'

먼저 이 중 가장 두드러진 프로그램은 단연 <아빠를 부탁해><복면가왕>이다. 명절이라는 특수한 시간대이기 때문에 더욱 그랬을 수 있지만 이 두 프로그램은 첫 방송에도 높은 시청률을 보였다. 특히 <아빠를 부탁해>는 첫 방송에 무려 13.5%의 시청률을 기록해 정규가능성을 거의 확정하고 다만 편성의 문제만을 남긴 프로그램이 되었다.

 

<아빠를 부탁해>50대 아빠들의 일상과 가족 간의 관계를 돌아본다는 점에서 기존 관찰 예능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신선함을 보였다. 육아예능이 봇물을 이룬 현재 어른 예능의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 지금껏 주목하지 않았던 50대 아빠라는 존재에 대한 공감대가 프로그램의 가장 큰 파괴력으로 작용했다.

 

<복면가왕>은 마치 영화 <복면달호>를 예능화한 것 같은 독특한 오디션 프로그램의 새 장을 열었다는 호평을 얻어냈다. 얼굴을 드러내는 것이 만들어내는 선입견을 지워버리고 대신 노래의 진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이 이 프로그램이 대중들에게 다가간 이유다. 다만 명절 특집 프로그램에 좀 더 어울리는 포맷이라는 점이다. 정규화를 위해서는 좀 더 레귤러한 포맷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썸남썸녀>40대를 전후해 결혼 적령기에 도달한 남녀 연예인들의 연애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끌었다. 관찰카메라 형식의 이 프로그램은 마치 <>의 연예인 버전처럼 보이면서도 동시에 연예인들이 주는 판타지와 안정감을 준다는 점에서 정규 가능성을 높였다. 다만 시청률이 조금 낮게 나왔다는 것이 한계라면 한계일 것이다. 이것은 이른바 짝짓기 프로그램이라는 전통적인 소재가 부여하는 선입견 때문이다. 이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묘안이 있다면 충분히 정규화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참신한 시도다. 인터넷 개인 방송과 지상파의 연결은 그 자체만으로 요즘 같은 SNS 시대에 앞서가는 느낌을 제공한다. 중요한 것은 이 프로그램이 인터넷 개인 방송이 갖는 묘미를 살려내면서도 이것을 지상파에 걸맞는 형식으로 끌어안았다는 점이다. 개인방송들 간의 시청률 대결은 향후에는 어쩌면 시청자들의 직접적인 참여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 프로그램의 확장 가능성을 엿보게 만든다. 심야시간에도 6%의 시청률을 냈다는 건 고무적인 일이다.

 

반면 KBS의 파일럿 프로그램들은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낮았다. <왕좌의 게임>은 애초 <슈퍼맨이 돌아왔다>팀과 <12>팀의 대결이라는 형식에 관심을 모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주요 출연자들이 대거 빠진 상황에서 만들어진 특유의 명절 스튜디오 게임 프로그램에 머물렀다. <스타는 투잡중>은 스타가 자신의 남다른 재능을 타인들과 나눈다는 시도 자체는 좋았지만 만듦새에 있어서 너무 구태의연한 느낌을 주었다. 만일 스튜디오물이 아니라 관찰카메라 형식으로 담아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프로그램이다.

 

그나마 이번 명절에는 가능성이 있는 파일럿 프로그램들이 꽤 나온 편이다. 하지만 명절에 호평을 받았다고 정규 프로그램으로 들어와서도 반드시 성공할 수는 없다. 만일 명절에 가능성을 보여 정규 프로그램화 된다면 거기에 걸 맞는 구성에 대한 고민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