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삼킬 수도 뱉을 수도 없는 가시 같은

 

기억이란 마치 가시 같다. 뺑소니로 아이를 잃은 박태석(이성민)은 그 기억이 가시처럼 뇌리에 걸려 있다. 그건 잊고 싶은 아픈 기억이면서도 동시에 잊어서는 안 되는 기억이기도 하다. 전처인 나은선(박진희)은 그래서 그 기억의 지옥 속에서 살아간다. 아이를 잃은 기억의 고통을 자신과 박태석이 평생을 짊어지고 가야할 일로 여긴다. 그녀는 태석에게 한시도 그 고통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말고 살아가라고 말한다.

 


'기억(사진출처:tvN)'

아마도 그 기억의 고통이 너무나 컸기 때문이었을 지도 모른다. 서영주(김지수)와 재혼한 박태석이 하루도 쉬지 않고 일에 빠져 살아왔던 것은. 그런데 그 몸부림의 끝에 그는 알츠하이머 판정을 받는다. 기억이 서서히 지워져가는 병.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잊고 싶은 기억은 지워지지 않고 오히려 선명해지고 잊지 말아야 할 기억들은 자꾸만 잊혀진다. 술에 취해 그는 전처인 나은선의 집을 자꾸만 찾아간다.

 

<기억>이라는 드라마가 다루고 있는 건 제목처럼 기억이라는 인간만이 가진 능력이자 천형에 대한 것이다. 무언가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이지만 바로 그 잊혀지지 않는 기억 때문에 고통 속에서 살아간다. 하지만 그 가시 같은 기억은 죄의식같은 걸 자극해 인간다운 선택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태석의 아이를 뺑소니 친 채 그 사실을 숨기고 살아가는 이승호(여회현)는 잊지 못할 가시 같은 기억 때문에 아이가 죽은 곳에 꽃다발을 갖다 놓는다.

 

잊고 싶은 기억, 잊혀지는 기억, 잊지 말아야할 기억. 태석이라는 인물이 살아가는 하루는 그 기억과의 사투 속에서 너무나 길게 느껴진다. 그는 일터에서 잊지 말아야할 기억을 잊어버려 낭패에 빠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하지만 그렇게 뛰고 또 뛰면서도 잊혀지지 않는 죽은 아이의 기억 때문에 괴로워한다. 술 취해 나은선의 집에서 잠든 자신을 아내 영주가 찾아왔다는 그 기억에 미안해하고, 착한 영주의 심성을 빼닮은 아들 정우(남다름)가 학교에서 집단 따돌림을 당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아채고 가슴 아파한다.

 

태석의 하루는 실로 전쟁터 같다. 실제로 벌어지는 사건들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가 동시에 자신의 사라져가는 기억과 사투를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태석은 조금씩 자신에게 진정 소중한 것이 무엇인가를 알게 된다. 집단 따돌림 때문에 자살 시도까지 하려던 정우를 찾는 태석은 그 누구보다 간절해진다. 또 아이를 잃게 되는 건 아닌가 하는 두려움. 정우를 찾아낸 태석은 자신이 지켜내야 할 가족에 대한 소중함을 새삼 깨닫는다.

 

<기억>이 그리고 있는 태석이라는 인물은 여러모로 우리 시대의 가장들의 모습을 기억하게 한다. 누구에게나 태석 같은 존재가 기억 속에 아른거릴 것이다. 가족을 위해 헌신하고 어느 순간 떠나버렸지만 여전히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살아있는 그 가장의 모습. 태석의 안간힘을 보며 어떤 슬픔 같은 걸 느끼게 됐다면 그건 이 인물이 우리 모두의 기억 속에서 저마다 소중한 누군가를 떠올리게 했기 때문일 것이다.

 

마음대로 지워버릴 수도 없고, 또 그렇다고 잊어서도 안되지만 때로는 자의와 상관없이 사라져가는 기억. 우리는 어쩌면 태석과 그리 다르지 않은 기억의 존재들이 아닐까. 물론 그는 알츠하이머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겪고 있지만 그게 아닌 우리가 그와 다를 게 뭐가 있을까. 기억과의 사투를 벌이는 그 모습은 어쩌면 우리들의 자화상인지도 모른다. 그 모습이 또 누군가에게는 잊혀지지 않는 기억으로 남겨질 지도 모를

<시그널>은 왜 과거와 현재를 이어 붙였을까

 

갑자기 지지직대며 울려대는 무전기.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그 무전기 소리에 이제 박해영(이제훈)도 이재한(조진웅)도 경기를 일으킬 정도로 민감해져 있다. 그 안에서 들려오는 다급한 목소리는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과거로 넘나들며 잊혀졌던 과거의 사건을 들춰내거나 앞으로 벌어질 사건을 예고한다. tvN 금토드라마 <시그널>은 그렇게 무전기라는 판타지 장치를 이용해 과거와 현재를 이어 붙였다.

 


'시그널(사진출처:tvN)'

아무 생각 없이 그 무전기로 경기남부연쇄살인사건의 현풍역 기찻길에서 벌어질 살인을 예고하게 된 박해영 경위는 그 얘기를 듣고 현장에 간 이재한 순경의 개입에 의해 일어날 살인이 미수로 바뀌게 되는 걸 목도한다. 과거를 바꾸자 현재의 기록들이 모두 바뀌는 걸 확인하게 된 것. 박해영은 이 놀라운 변화를 보고는 1989년에 살아가고 있는 이재한에게 보내는 무전을 통해 그 끔찍했던 연쇄살인사건을 막아보려 한다.

 

다시 수사를 하면서 박해영은 연쇄살인사건이 한 버스노선을 따라 벌어지고 있다는 걸 알아낸다. 그리고 그 날 현풍역 기찻길에서 도주한 범인인 이전 범행과는 달리 주거지 근처에서 살인을 벌이는 등 폭주하고 있는 걸 확인한다. 범인의 목격자인 버스에 탔던 승객들을 하나하나 죽이고 있었던 것. 하지만 당시의 목격자를 추적하다가 박해영은 당시 연쇄살인사건과 동일한 수법으로 살해당한 피해자를 발견하고 자책하게 된다.

 

과거와 현재를 잇는 판타지를 담고 있지만 <시그널>의 이야기가 전하는 현실적인 함의는 놀랍다. 즉 살인사건을 막아내자 살인이 미수로 바뀌는 장면이 고스란히 전하는, ‘과거가 변하면 현재도 변한다는 명제가 그렇고, 26년 만에 다시 나타난 동일 수법의 살인이 전하는 기억에 사라졌어도 사건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경고가 그렇다. 무전기의 지직 대는 소리가 그저 귓가에 울리는 소음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망각의 저편으로 던져놓았던 것들을 긁어서 다시 깨워내는 소리로 느껴지는 건 그래서다.

 

<시그널>의 이야기는 그래서 그저 판타지가 섞여있는 형사물 정도가 아니라 우리 사회에 던지는 준엄한 경고가 되고 있다. 화성연쇄살인사건은 물론이고, 삼풍백화점 붕괴와 성수대교 붕괴, 가까이는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까지 무수한 사건 사고들로 점철되어 있는 게 우리 사회의 맨얼굴이다. 당시에는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된다고 목 놓아 외치며 한 목소리를 내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고 나면 누구도 관심을 보내지 않고 결국은 기억에서 조금씩 사라져간다. 제대로 된 해결도 없고 사후대책도 나오지 않았지만 망각은 그것을 애초에 없던 일처럼 만들어버린다.

 

<시그널>의 무전은 그 망각을 파고들어오는 휘발된 과거의 경고가 아닐 수 없다. 그 사건은 기억 속에서 묻혀 졌을 뿐 여전히 진행형이라는 소름끼치는 이야기를 이 드라마는 전하고 있고, 과거의 벌어진 사건들이 결국은 현재를 만든다는 지극히 당연하지만 우리가 잊고 있던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다. 평범한 판타지 형사물로 보기에는 그 깊은 함의와 신랄함이 묻어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시그널>이 던지는 무전은 그래서 저들 드라마 속 형사들만이 아니라 과거를 기억 속에서 휘발시켜온 우리들에게도 날아오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