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 판타지가 섞이니 달라진 멜로 방식

 

갑자기 뺨을 때리더니 그 다음에는 갑자기 키스를 한다. 마치 바바리맨처럼 느닷없이 자신의 벗은 몸을 보여주더니 이제는 총을 겨눈다. 강철(이종석)이 오연주(한효주)의 이런 행동을 맥락 없다고 말하는 건 당연하다. 너무나 뜬금없는 행동들이기 때문이다.

 

'W(사진출처:MBC)'

하지만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은 그녀가 왜 그런 이상한 행동을 하는 지 이해한다. 웹툰 속으로 빨려 들어간 그녀는 사실 현실로 나져 나오려 안간힘을 쓰는 중이다. 주인공 강철이 어떤 충격적인 감정 변화를 느껴야 웹툰의 한 회가 마무리되고 그래야 현실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MBC 수목드라마 <W>의 멜로는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있다. 멜로에서 남녀 관계의 진전이란 그래도 기승전결의 맥락이 중요하다. 어떻게 만나고 그 만남이 서로에 대한 좋은 감정으로 이어지며 그것이 다시 사랑으로 발전해 가는가는 멜로의 성패를 가르는 관건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W>의 멜로는 강철이 말하듯 맥락 없이진행된다. 아마도 이토록 빨리 남녀가 키스하는 드라마도 없을 게다. 첫 회에 등장해 두 사람이 만나자마자 키스라니. 그런데 바로 그 맥락 없이 마구 돌진하는 이런 멜로의 속도감은 <W>의 가장 큰 강점이다. 이것이 가능해진 건 이 드라마가 가진 판타지 덕분이다.

 

웹툰의 세계와 현실 세계의 만남. <W>의 멜로는 바로 이 독특한 판타지 설정으로 인해 멜로의 전개 양상 또한 달라졌다. 이 과정에서 오연주라는 캐릭터는 조금은 엉뚱하면서도 귀여운 인물로 시청자들의 마음속으로 들어왔다. 그녀의 어쩔 줄 몰라 하는 귀여운 모습과 현실로 돌아가 강철을 도우려는 따뜻한 마음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물론 이러한 조금은 다를 수밖에 없는 멜로의 흐름은 그 판타지 설정 때문에 향후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실의 여자와 웹툰 속 가상의 남자 사이의 멜로이니 더욱 절절해질 수 있을 테고, 그 가상의 남자를 죽이려는 장본인이 바로 현실의 여자의 아버지이니 그 안에 복잡한 심사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 현실에서 웹툰 속으로 여자가 들어가듯, 웹툰 속에서 현실로 남자가 튀어나올 수 있을까도 궁금해진다. <W>의 판타지 설정은 뻔할 수 있는 멜로 구도마저 흥미진진하게 바꿔 놓았다.

 

최근 들어 드라마들이 판타지를 부쩍 찾고 있다. tvN <또 오해영>의 멜로를 독특하게 만든 것 역시 미래를 보는 남자 주인공의 특별한 능력이 판타지로 들어있었기 때문이다. 그 남자 주인공이 보게 되는 미래 속에서 여자 주인공이 위기에 처하게 되는 장면들은 시청자들마저 그 긴장하게 만들었으니까.

 

<별에서 온 그대>는 불사의 외계인이라는 설정으로 그 멜로가 독특해졌고, <시그널> 같은 본격 스릴러 장르 속에서도 무전기를 통해 연결과 과거와 현재는 그 속에 등장하는 남녀의 시간을 뛰어넘는 절절한 관계를 만들어냈다. 판타지가 로맨틱 코미디 같은 뻔한 장르와 만나 만들어내는 시너지들이다.

 

<W>맥락 없는멜로 전개는 판타지를 바탕으로 오히려 더 흥미진진한 과정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본래 익숙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인간의 본능일 수밖에 없는 남녀 간의 사랑은 판타지를 덧붙이면서 신선함까지 갖게 되었다. 흔히들 만찢남(만화를 찢고 나온 남자)’, ‘만찢녀라고 표현하지만 그걸 실제 드라마 설정으로 그려내다니. <W>의 로맨틱 코미디가 시청자들을 매료시키는 이유다.

<용팔이> 논란, 앞뒤 맥락 없이 대사만 갖고 침소봉대

 

차세윤이 너한테 한 짓은 죽어 마땅하지만, 쉽게 연예인이 되고 싶어서 그의 호텔방에 제 발로 걸어 들어간 너의 잘못이 없어지지 않아. 그리고 너의 자책감을 덮기 위해서 아무 이유 없이 사람들을 죽게 해서는 안 돼.”

 


'용팔이(사진출처:SBS)'

SBS <용팔이>에서 주인공인 김태현(주원)이 성폭행 피해자 여성에게 던진 이 말은 논란의 빌미가 되었다. 이 대사만을 놓고 보면 성폭행을 당한 피해 당사자 역시 그 잘못이 있다는 것처럼 들린다. 대사 속의 자책감을 덮기 위해서라는 말이나 호텔방에 제 발로 걸어 들어간 너의 잘못이라는 말이 그렇다.

 

이 대사 한 줄이 만들어낸 논란은 점점 확대 해석되었다. 마치 이 드라마가 성폭행에는 피해자의 잘못도 있다는 식으로 일반화시킨 것처럼 해석되었고, 이런 대사를 버젓이 내놓는 지상파의 의식수준까지 거론되었다. 그럴만한 일이다. 대사 한 줄에만 집중한다면 말이다.

 

중요한 건 이 대사가 어떤 상황에서 나온 것인지에 대한 앞뒤 맥락이 다 빠져 있다는 점이다. 즉 이 드라마에서 이 여성은 성폭행을 당한 피해자인 것은 맞지만 거기에는 자발적인 면도 있었다는 점이다. 즉 그녀 스스로는 전혀 이런 일이 벌어질지 몰랐는데 성폭행을 당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거기에는 일종의 거래같은 것이 깔려 있다. 연예인이 되게 해주겠다는 것에 함께 호텔에 갔다는 것.

 

따라서 대사가 지적하고 있는 너의 잘못이란 성폭행을 당한 그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자발적으로 거래에 임했던 그녀의 잘못을 얘기하는 것이다. 성폭행은 그 호텔방에 들어간 이후에 생겨난 변수다.

 

무엇보다도 이 드라마의 이 시퀀스은 성폭행 피해자의 잘못을 드러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성폭행이라는 범죄를 저지르고도 버젓이 살아가는 이른바 VIP들의 갑질 하는 세상을 비판하고자 했던 장면들이다.

 

게다가 이 대사를 한 김태현이라는 의사는 이상을 얘기하는 인물이 아니다. 즉 당연히 성폭행 같은 건 언제 어디서든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건 이상이지만, 그는 그런 이상이 비현실적이라는 걸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인물이다. 돈이 없으면 살 수 있는 환자도 죽을 수 있다는 현실을 목도한 그에게 일종의 거래를 위해 그런 류의 남자와 호텔에 갔다는 건 현실적으로 성폭행의 위험 속에 스스로를 노출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는 속으로는 따뜻한 휴머니스트지만 겉으로는 속물인 척 말하는 그런 의사다.

 

물론 이 대사가 민감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이 드라마 전체에서 어떤 맥락을 갖고 사용되었으며, 그런 대사를 던진 캐릭터가 어떤 인물인가를 염두에 둔다면 이해되지 않는 대사도 아니다. 대사 한 줄이 가진 파장은 물론 민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부분만 떼어내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논란으로 몰아세우는 건 너무 악의적이다. <용팔이>는 그런 거래상황을 수용한 것이 잘못이라고 말했지 성폭행이 피해자에게도 잘못이 있다고 일반화한 적이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