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OST만 틀어놔도 확 달라지는 여행

 

이명세 감독의 <인정사정 볼 것 없다>1999년 개봉 당시 봤던 분들이라고 해도 그 영화 속 줄거리들을 줄줄이 꿰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절대로 잊혀지지 않는 명장면들이 있다. 마지막 클라이맥스에서 철길에서 안성기와 박중훈이 치고 박던 장면들이 그것이고, 추적추적 내리며 빗 속 계단을 내려오는 안성기를 배경으로 흐르던 OST, 비지스의 ‘Holyday’가 그것이다. 듣기만 해도 시간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노래, 그것도 영화의 한 장면과 연결되는 OST. 그 장면의 촬영지로의 여행. 실로 탁월한 조합이 아닐까.

 


'1박2일(사진출처:KBS)'

<12>이 이른바 ‘OST로드를 따라가는 여행을 제안한 것은 그것이 가을의 감성과 너무나 잘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물론 과거에 이미 <12>은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옛 노래와 함께 하는 여행을 선보인 바 있다. 하지만 이건 OST. 노래가 순식간에 우리의 시간을 과거로 되돌려준다면, 그 노래가 흘러나왔던 영화의 한 장면은 그 때의 감성들을 새록새록 다시 깨워낸다. 바로 그 장면이 찍혀진 장소로의 여행은 그래서 과거의 한 때로 떠나는 여행이 된다.

 

영화 <봄날은 간다>가 촬영된 대나무숲이 있는 삼척 신흥사는 2001년 개봉 당시 꽤 많은 관광객들의 발길을 잡아끈 촬영지였다. 영화 속 남자주인공이었던 유지태가 하던 일이 바로 소리를 채집하는 것이었는데, 대나무들이 서로 바람에 부대끼며 내는 소리를 유지태와 이영애가 함께 앉아 담아내던 그 장면이 촬영된 곳이었다. 시간이 흘렀어도 여전히 바람에 흔들리며 내는 대나무들의 아우성이 들릴 그 곳이 주는 아련한 감성이란.

 

물론 <12>은 이 추억 돋는 영화OST라는 타임머신을 타고 떠나는 시간여행에서도 본분인 웃음을 잊지 않는다. 영화 속 장면들은 기발한 복불복 게임으로 패러디되어 포복절도의 웃음을 만들어낸다. <인정사정 볼 것 없다>의 마지막 격투신은 <12>의 물 풍선을 옷 안에 넣고 벌이는 복불복 게임으로 바뀌어 기묘하고 이상야릇한 장면들을 연출해낸다. 격투신이 에로틱한 분위기의 브로맨스(?) 장면처럼 바뀌고, 멋진 액션이 얼굴에 검댕을 묻히는 드잡이로 바뀔 때 <12>만의 웃음이 피어난다.

 

<봄날은 간다>의 그 유명한 명대사 라면 먹고 갈래요?”<12>을 통해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게임으로 변모했고 각종 컵라면을 먹으며 술래에게 다가서는 장면들이 <12> 특유의 캐릭터들과 만나면서 큰 웃음을 주었다. 라면 하나하나의 특성까지 파악해 자막으로 끼워 넣고 거기에 난이도를 부여하는 디테일들은 게임의 묘미를 더욱 흥미있게 만들었다.

 

돌아보면 모든 게 아름답다고 했던가. <12> OST로드는 누구나 공유했던 한 시절을 영화 OST라는 장치 하나로 떠올리게 하고는 그 감성을 되살려 놓는 동시에 그걸 뒤집어 복불복 게임의 웃음으로 이어가는 변주를 보여줬다. 추억의 한 자락이 주는 흐뭇한 공감대와 동시에 어딘지 가라앉을 수 있는 가을의 감성을 명랑한 웃음으로 전화시켜 놓았던 것.

 

가을은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 계절이다. 바쁘게 봄과 여름을 달려왔다면 이제 조금은 멈춰 서서 되돌아보고 싶은 계절이기도 하다. 그렇게 떠난 여행에 한 때의 추억을 돋워주는 OST가 함께 한다면 어떨까. 마치 영화 속 주인공이 된 양, 흐뭇하고 유쾌한 추억의 시간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12>이 음악과 영화와 여행의 기막힌 조합을 통해 보여준 것처럼.



예능 속에서 보이는 달라진 시대의 화법

1인 토크쇼의 부활을 알리며 화려한 게스트로 기대를 모았던 ‘박중훈쇼’는 기대만큼 쉽게 허물어져 버렸다. 1인 토크쇼가 일종의 복고주의 토크쇼라면, 그저 과거의 토크쇼를 답습하는 형태에 머물러서는 안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박중훈쇼’는 전형적인 1인 토크쇼의 예상 가능한 ‘친절한 질문들’과 어색하기 이를 데 없는 짜여진 핑퐁식 대화로 장동건, 정우성, 김태희 같은 초특급 게스트를 모셔놓고도 지루한 시간만을 연출했다.

박중훈의 ‘친절한 질문들’에 게스트들도 정답에 가까운 얘기만을 반복했다. 그나마 정우성은 그 틀을 깨려고 꽤나 노력한 면이 있지만 다른 게스트들의 답변은 거의 예상 가능한 것들뿐이었다. 그 게스트들이 ‘박중훈쇼’에 출연한다는 것이 화제가 된 것은 바로 그들이 자의든 타의든 갖고 있는 신비주의의 속살을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쇼는 평범한 그들의 모습을 비춰주려고 노력했으나, 결과적으로 그 담화는 아침 토크쇼의 수준을 넘지 못함으로써 오히려 그 신비주의를 더욱 공고하게 했다.

‘박중훈쇼’의 초특급 게스트들이 연달아 등장하면서 갑자기 언급된 프로그램이 있다. 강호동이 진행하는 ‘무릎팍 도사’다. ‘무릎팍 도사’가 그토록 섭외하려고 했으나 끝내 고사한 장동건이 ‘박중훈쇼’에 등장했다는 것이 그 표면적이 이유였다. 하지만 그 이면에 있는 이유는 이 초특급 게스트들이 ‘박중훈쇼’보다는 차라리 ‘무릎팍 도사’에 나와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깔려 있다.

가정이지만 만일 이들이 ‘무릎팍 도사’에 출연했다면 상황은 꽤 달라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강호동의 탐문식 질문들 속에서 어쩌면 그들은 자신들도 꽤 버거워하는 그 신비주의의 틀을 일부 깨뜨릴 수도 있지 않았을까. ‘박중훈쇼’에 출연한 이들은 모두 하나 같이 자신들도 똑같이 평범한 사람이라고 강변했다. 하지만 신비주의의 껍질은 그런 강변 하나로 깨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좀더 본질적인 상황이나 그런 상황에 대한 질문들을 통해 조금씩 허물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1박2일’에 출연해 강호동의 리드 하에 신비주의의 탈출에 성공한 박찬호의 경우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1박2일’박찬호 특집은 ‘무릎팍 도사’의 버라이어티쇼 버전과 같다. 강호동은 스포츠 선수로서의 선후배를 들먹이면서 조금씩 분위기를 잡아나갔고, 게임을 통해 때론 박찬호를 자극했다. 거기에 화답하듯 박찬호는 강호동을 업고 산을 오르기도 하고, 서슴없이 옷을 벗고 차가운 계곡 물에 몸을 담그기도 했다. 이 둘이 함께 계곡 물 속에서 자존심 대결을 하는 장면은 강호동과 박찬호의 성공적인 만남을 예시하는 것이었다. 박찬호는 ‘1박2일’을 만나 동네형 같은 이미지를 얻었다. 그리고 그것을 끌어낸 것은 다름 아닌 강호동 속에 꿈틀대는 ‘무릎팍 도사’의 근성이었다.

‘박중훈쇼’의 화법과 장동건 같은 게스트들의 화답에 대한 대중들의 냉담함은 거꾸로 ‘1박2일’과 ‘무릎팍 도사’의 강호동의 화법과 박찬호 같은 게스트들의 화답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과 정확히 대조된다. 말로 아무리 자신이 보통사람임을 얘기한다고 해서 대중들이 갖고 있는 그에 대한 이미지는 좀체 깨지지 않는다. 그것은 의도되지 않은 어떤 틈입을 통해 자신도 모르게 보여졌을 때 깨지는 것이다. 늘 그렇게 의외성을 갖고 있는 강호동의 화법이 왜 지금 시대에 통하는 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장동건-박중훈식의 토크시대는 지나갔다. 지금은 강호동-박찬호식의 토크시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