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하이', 1세대 한류가 2세대 한류를 만났을 때

배용준이 얼굴을 보인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기대감을 높여놓은 드라마, '드림하이'. 제목처럼 그 꿈은 컸다. 제2의 한류가 아이돌로 이어지고 있는 현재, 제1의 한류를 이끌었던 배용준이 드라마로 이를 다룬다는 건 꽤 야심찬 기획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한류의 선봉장으로서 배용준의 이미지는 이어질 것이고, 이제 새로운 한류로 피어나는 아이돌들은 그 품 안에서 드라마로 그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배용준과 박진영을 위시한 아이돌들의 만남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실제 가수들이 드라마 주인공으로 출연한다는 점에서 이 드라마는 반 리얼이다. 물론 설정된 캐릭터들의 상황들이 분명히 있지만, 스타를 꿈꾸던 그들이 차츰 성장하고 한류돌로서 세계무대에 우뚝 서는 과정은 지금 그들에게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라마는 시작부터 2018년이라는 미래의 한 시점을 세워두고 그래미 어워드를 휩쓴 한국이 낳은 초특급 스타 K라는 존재를 미리 상정한다. 누가 K가 될 것인가를 찾아간다는 점에서 이 드라마는 저 '슈퍼스타K'가 보여준 성장스토리를 그대로 재연한다.

만일 드라마 내용처럼 이 드라마가 제2의 한류로서 아이돌들의 성공적인 드라마 안착까지를 해낼 수 있다면 그 주인공들은 진짜 K가 될 가능성도 있다. 그는 택연, 우영, 은정, 수지, 아이유, 그리고 유일하게 연기자 출신인 김수현 중 한 명이다. 그래서 드라마 첫 회에서는 '슈퍼스타K'의 시작이 그렇듯이, 이들의 사연과 함께 오디션이 벌어진다. 스타 사관학교로 설정된 기린예고에 들어가기 위한 오디션. 배용준은 그 심사위원으로 존재감을 드러낸다.

어찌 보면 리얼 스토리 같은 이 드라마는 하지만 초반부 조금은 산만한 전개를 보여줬다. 엄친딸이었으나 아버지의 부도로 사채업자에게 쫓기는 고혜미(수지)라는 캐릭터는 그 비현실적인 설정이 이해되기가 어려웠다. 사채업자가 돈을 갚게 하기 위해서 성악 전공인 고혜미를 기린예고에 들어가게 한다는 건 아무리 코믹으로 설정되었다고 해도 드라마 몰입을 방해할 정도로 비현실적이다. 그녀의 연기가 자꾸 엇나가 보이는 건 이런 캐릭터의 문제 탓이다. 한편 진국(택연)이나 윤백희(은정)는 그래도 캐릭터가 무리가 없어 연기에 있어서도 안정적이다.

다행스러운 건 이렇게 흩어진 초반 스토리를 후반부에서 배용준이 단 몇 분 만에 집중력 있는 스토리로 바꾸어놓았다는 점이다. 오디션 과정에서 고혜미와 윤백희 사이에 존재하는 권력 관계와 그들이 갖고 있는 대중음악에 대한 태도를 간파한 배용준이 판결(?)을 내리는 장면은 '드림하이' 첫 회의 가장 주목되는 시퀀스였다. 역시 드라마 지존의 연기가 아직까지는 어색한 아이돌들의 연기와 비교되는 대목이었다.

배용준과 박진영이 '드림하이'라는 드라마를 통해 만나게 된 것은 대중문화사적으로 꽤 의미있는 일이다. 그것은 이미 드라마와 대중음악 사이의 장벽이 서서히 무너져가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징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1세대 한류와 2세대 한류의 결합의 순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야심찬 기획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배용준과 박진영 양자에게 돌아갈 한류 선봉장으로서의 이미지는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 될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드라마는 기획이 아니고 연출이고 연기이고 대본이라는 점이다. '드림하이'이라는 제목처럼 높은 꿈을 꾸는 건 나쁜 일이 아니지만, 꿈이 기획에서 끝나면 안될 것이다. 좀 더 탄탄한 스토리와 좀 더 열정적인 연기 그리고 세련된 연출이 앞으로 대중들에게 선보여지길 기대한다. 그래서 보다 높은 꿈이 실현될 수 있기를.

태왕에 의한, 태왕을 위한, 태왕의 드라마, ‘태왕사신기’

‘태왕사신기’에서 고우충(박정학)은 태왕 담덕(배용준)에게 전황을 브리핑한다. “나머지 3만은 두 개의 길로 남하하여 가야와 왜의 연합군을 퇴치하는 중입니다.” 담덕이 “미적미적 싸우고 있으면 곤란해요. 빗자루로 쓸어내듯이 그렇게 내려가야 한다구.” 이렇게 말하자 고우충은 웃으며 이렇게 답변한다. “염려 마십시오. 흑개장군입니다.” 이 짤막한 대화를 통해 ‘태왕사신기’의 전쟁 신은 굳이 보여질 필요가 없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고우충이 전황을 묘사하면서 ‘흑개장군(장항선)’이라는 인물을 거론한 점이다. 시청자는 흑개장군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용맹성과 앞뒤보지 않고 뛰어드는 과감성 같은 것을 통해 전쟁의 그림을 유추하게 된다. 구구절절이 전쟁상황을 보여주거나 설명하지 않아도 캐릭터 하나를 통해서 그것이 설명되는 것. 이것이 ‘태왕사신기’가 가진 독특한 드라마의 색깔이자 힘이다.

수 없는 전쟁과 전투를 통해 영토 확장을 한 광개토대왕의 면면을 스펙터클로 보여준다는 것은 어찌 보면 무모한 일이다. 하지만 또한 광개토대왕이라는 역사적 영웅을 다루면서 그 핵심이 되는 전장의 사건들을 빼놓는다는 것 역시 납득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 딜레마를 넘어서기 위해 ‘태왕사신기’가 선택한 것은 캐릭터다. 잘 구축한 캐릭터 한 명은 몇 백 명의 군사들보다 유용하다.

백제와의 전쟁에서 수만 명의 백제군이 등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처로(이필립)라는 일당백의 카리스마를 지닌 캐릭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구려와 백제가 맞붙는 이 전쟁은 고구려를 대변하는 담덕과 백제를 대변하는 처로가 맞붙는 장면으로 충분히 설명된다. 담덕이 수적으로 우위에 있는 연호개(윤태영)의 군대와 맞서는데 있어서 전면전을 피하고 몇몇 별동대와 인물들만으로 충분한 것도 같은 이유다. 스스로도 일당백이라 자처하는 주무치(박성웅)는 실로 수백 명의 엑스트라를 대체하는 효과를 주는 캐릭터다.

즉 ‘태왕사신기’의 개개 인물들은 여러 가지의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광개토대왕의 영토 장악을 태왕이 사신을 얻는 과정으로 설명하면서 태왕은 쥬신의 왕이란 상징을 갖고, 사신은 네 부족을 대변하는 상징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니 태왕이 사신을 얻는다는 것은 그 자체가 영토를 장악한다는 의미로서 전달된다. 여기에 사신이 가진 신물이라는 환타지적인 요소를 덧붙이면서 이 상징은 더 공고하게 구축된다. 네 부족은 각각의 개성을 지닌 존재로서 물(현고-현무), 쇠(주무치-백호), 나무(처로-청룡), 불(수지니, 기하-주작)로 설명된다. 즉 네 부족-사신-신물-네 상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밖에도 절대적인 악을 상징하는 화천회 대장로(최민수)는 화천회라는 조직을 실제 목도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설명해주는 캐릭터다. 담덕이 전쟁터에 나가는 동안 고구려의 모든 행정이 잘 돌아갈 수 있는 것은 연가려(박상원)라는 한 명의 캐릭터 덕분이다. 이처럼 ‘태왕사신기’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 캐릭터들을 세움으로써 최소의 장면만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끄집어낸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그 중심에 서 있는 담덕, 배용준의 힘이다.

사실 이 믿기 어려울 수 있는 상징적 진술은 배용준이라는 아시아적 스타배우와 담덕이라는 역사적 영웅이 만나는 지점에서 가능해진다. 따라서 담덕이란 캐릭터가 세워지는 그 힘을 통해서 주변의 캐릭터들도 구축된다. 담덕을 보위하는 사신들이 납득되는 것은 담덕이 쥬신의 왕이라는 설정 때문이며, 그 설정은 드라마 밖에서의 배용준이라는 배우의 힘과 음으로 양으로 연결된다. 이 사극은 따라서 담덕이 사신을, 아시아적인 영토를 얻는 이야기이면서 동시에 현재의 배용준이 아시아권을 장악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담덕의 적수로 세워졌던 연호개나 사신이 아닌 인간들이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 것은 사극 자체가 담덕과 배용준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구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사극은 태왕에 의한, 태왕을 위한, 태왕의 드라마이며 그 태왕이라는 단어에 배용준으로 대치해도 무방한 드라마이기도 하다. ‘태왕사신기’가 우리 드라마사에 한 획을 그을만한 작품이 된 것은 첫 회부터 마지막까지를 관통하는 짜임새 있는 송지나 작가의 대본과, 그 대본을 시각화하는 김종학 PD의 잘 짜진 연출 위에 그 모든 것을 한 몸으로 지탱해나가는 배용준이라는 아시아적 스타가 있었기 때문이다.

담덕과 사신의 캐릭터만으로 아시아를 정복해가는 이야기가 구축될 수 있었던 것처럼 배용준이라는 배우 한 명의 힘은 그 어느 것 하나 가능할 것 같지 않은 우리 드라마의 현실을 보기 좋게 뛰어넘었다. 이것은 마치 드라마 속에서 아시아를 아우르는 쥬신의 아들들이 그토록 희구하던 쥬신의 왕을 만나는 경험에 비견되는 것이 아닐까. 캐릭터의 힘은 위대하다.

‘태왕사신기’의 배용준 vs ‘히어로’의 기무라 타쿠야

최근 우리나라와 일본의 드라마 팬들은 두 명의 카리스마에 주목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태왕사신기’로 컴백한 배용준과,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던 동명의 드라마를 영화화한 ‘히어로’로 일본 박스오피스 3주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기무라 타쿠야다. 재미있는 것은 이 두 드라마가 모두 영웅과 카리스마에 대한 이야기란 점이다.

포용하는 카리스마, 담덕
‘겨울연가’의 부드러운 남자, 배용준이 ‘태왕사신기’라는 드라마를 한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우려했던 것은 카리스마 연기가 될까하는 의구심이었다. 하지만 이제 본격적인 대결국면으로 들어서고 있는 ‘태왕사신기’ 속에서 배용준이 연기하는 담덕은 그 어떤 영웅들보다 인상적인 카리스마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포용하는 카리스마다.

‘태왕사신기’는 궁극적으로 이 카리스마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카리스마라고 하면 우린 흔히 무언가 강압적인 힘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카리스마는 막스 베버가 지배형태의 유형을 설명하면서 종교용어에서 차용한 단어다. 베버는 카리스마가 강압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아니고 피지배자의 자발적인 인정, 신뢰, 숭배를 통해 생겨난다고 말한다. 즉 ‘태왕사신기’는 막스 베버가 말하는 지배형태 중 카리스마적 지배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태왕이 태왕으로 서기 위해 사신(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는 드라마 설정이 그걸 말해준다. 사신은 인물이면서 동시에 신화적 영물이고 그것은 또한 네 부족을 말하기도 한다. 따라서 ‘태왕사신기’는 쥬신의 별이 빛나던 날, 신탁을 받고 태어난 두 명의 인물이 사신을 취하는 장기게임 같은 드라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담덕과 연호개(윤태영)가 구사하는 카리스마가 된다.

‘강한 것은 부러지고, 부드러운 것은 강한 것까지를 포용한다’는 말은 배용준이 담덕을 통해 보여주는 카리스마의 전모이다. 부드러운 미소 속에 숨겨진 강인한 결단력과 포용력은 장차 태왕이 될 담덕의 카리스마가 사신들을 어떻게 사로잡을 것인지를 예견케 하는 대목이다. 주목할 것은 마초적인 과거 카리스마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최민수가 화천회의 대장로 역할을 하면서 담덕과 대결한다는 점이다. 달라진 시대는 달라진 카리스마를 요구한다.

숨겨진 카리스마, 쿠리우 코헤이
반면 ‘히어로’에서 중졸에 검정고시로 검사가 된 쿠리우 코헤이를 연기하는 기무라 타쿠야는 일본인 특유의 숨겨진 카리스마를 보여준다. 도무지 검사 같지 않아 보이는 쿠리우에게 팀원들은 모두 불신을 보이고, 부검사가 되고자 열성을 다해 쿠리우의 사무관이 된 아마미야(마츠 다카코)마저 점점 실망하게 되는 상황. 그러나 쿠리우는 자신이 해결한 일마저 남이 한 것처럼 둘러댈 정도로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인물이다.

자신들은 의식하지 못했던 관료주의에 의해 매몰되고 있던 팀원들이 이 쿠리우 검사에 의해 차츰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이 드라마에서, 기무라 타쿠야는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것이 미덕이 된 일본사회의 리더 상을 제대로 연기해낸다. 이 드라마가 역대 시청률 1위에 랭크된 것은, 일본 관료주의사회를 대변하는 듯한 도쿄지검에 벌어지는 변화가 강압적이거나 과격한 양상이 아닌 남 모르는 영웅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데서 많은 공감을 자아냈기 때문이다.

‘숨은 손’과 ‘숨은 발’이 되어 사건을 해결해가는 쿠리우가 보여주는 카리스마는 집단을 이끌어나가기 보다는 ‘원칙에 맞게 솔선수범 하는’ 모습에서 나온다. 지배는 누군가에 의해서가 아니라 말 그대로 자발적인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역시 사무라이로 대변되던 일본 전통의 카리스마와는 달라진 카리스마라 할 수 있다.

달라진 시대, 달라진 카리스마
나라가 다르고 작품이 달라도 거기 표현되는 카리스마의 양상은 유사하다. 그것은 강력한 힘 앞에 굴복시키는 카리스마가 아니라, 저 스스로 진심에서 우러나는 충성심을 끌어내는 카리스마다. 이것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조직 속의 팀장과 팀원의 관계를 대변하기도 한다. 상명하복하던 과거의 수직적인 리더십은 이제 구태가 되었다. 수평적인 관계 속에서 카리스마를 가진 팀장의 리더십이란 팀원들의 마음을 읽어내고 장점을 극대화시켜주는 사람이다.

드라마를 통해 시청자들이 희구하는 영웅들은 시대에 따라 달라져왔다. 이제 영웅은 더 이상 신화적인 숭배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평범한 사람들과 함께 있는 평범 속의 비범을 보이는 자다. 한일 두 드라마 지존이 보여주는 카리스마는 이러한 현재적 가치를 반영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작금에 방영되고 있는 사극들이 일제히 왕의 모습을 버리고 인간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