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프들이 대세, 정보와 쇼와 인성까지 갖췄다

 

셰프들의 시대가 맞긴 맞나보다. SBS <힐링캠프>에서 이경규는 요리사들의 시대가 왔다고 말했다. 그건 그저 그날 출연한 이연복 대가와 최현석 셰프를 위한 멘트가 아니었다. 월요일 밤, <힐링캠프>는 물론이고 JTBC <냉장고를 부탁해> 그리고 MBC <다큐스페셜>이 모두 셰프들을 방송에 내보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힐링캠프(사진출처:SBS)'

이것은 단지 월요일만의 얘기가 아니다. 화요일에는 tvN <집밥 백선생>의 백종원 셰프가 나와 네 명의 요리무식자들을 상대로 쉽지만 효과적인 요리 비법을 알려준다. 목요일 올리브 TV에서는 심영순, 백종원, 최현석 셰프가 심사위원으로 자리하는 <한식대첩>이 방영된다. 토요일 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도 단연 주목받는 건 백종원의 쿡방이다.

 

항간에는 너무 이 프로그램 저 프로그램에서 셰프들을 캐스팅해 쉽게 방송을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사실이다. 이미 하나의 방송 트렌드가 되어버린 상황이기 때문에 셰프들을 출연시키면 확실히 주목을 끌 수 있다. 웬만한 연예인을 섭외하느니 셰프가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셰프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만의 콘텐츠를 갖고 있다. 그것은 요리 비법이다. 그것을 선선히 알려주고 때로는 쇼를 보여주듯 시연을 해주는 것만으로도 방송은 흥미로워진다. 일종의 정보와 쇼가 결합된 프로그램이 되는 것. 여기에 자연스럽게 먹방이 이어지고 대결구도까지 조미료처럼 처지면 금상첨화다. 요리의 즐거움과 함께 마치 스포츠 경기를 보는 듯한 긴장감까지 만들어주니 말이다.

 

그런데 <힐링캠프><다큐스페셜>을 들여다보면 셰프의 전성시대가 단지 요리라는 콘텐츠 때문만은 아니라는 게 느껴진다. 물론 요리가 주는 푸근함과 넉넉함, 요리하는 모습이 주는 그 신기함이 어떤 아우라를 만드는 건 사실이지만 그것보다 주목되는 건 이들의 인간적인 면모다.

 

<힐링캠프>에 출연한 최현석 셰프와 이연복 대가는 너무나 상반된 매력을 드러내 보여주었다. 허세라고 불릴 정도로 유쾌한 요리를 보여주는 최현석 셰프는 멘트에서도 자신감과 진지함이 묻어났다. 물론 거기에는 시청자들을 즐겁게 하기 위한 유머 코드가 섞여 있었지만 그 근원은 결국 자신감에서 나오는 것이었다.

 

반면 이연복 대가는 그 인간적인 매력이 돋보였다. 고생했던 과거의 경험들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그 푸근함은 소탈함과 소박함의 끝을 보여주었다. 이런 상반된 매력은 자신들의 음식점에서의 모습에서도 드러났다. 최현석 셰프가 저 드라마 <파스타>에서의 카리스마 넘치는 셰프 스타일이라면, 이연복 대가는 솔선수범해 굳은 일을 도맡아 하는 스타일이었다.

 

결국 이들 셰프들은 요리라는 정보와 함께 요리기술이 주는 쇼적인 요소 게다가 자신들의 인성까지를 보여줌으로써 전성기를 갖게 됐다는 점이다. 이건 최근 점점 방송에서 입지가 줄어들고 있는 연예인들이 한번쯤 생각해봐야 하는 지점이 아닐 수 없다. 과거 연예인들은 말주변이 좋거나, 웃기거나, 개인기가 있으면 그걸로 족하다고 여겨졌었다. 하지만 지금의 시청자들은 무언가 방송을 통해 얻어가고 싶어한다. 콘텐츠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또한 지금의 시청자들은 그저 연기하듯 자신의 역할을 보여주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그들의 인성을 들여다보고 거기에 공감하고 싶어 한다. 좀 더 자신의 진면목을 드러내주고 그것이 인성적으로 호감을 갖게 해줘야 한다는 점이다. 셰프들의 시대는 그냥 만들어진 트렌드가 아니다. 거기에는 달라진 대중들의 요구가 느껴진다. 이러한 셰프들의 면면은 이제 연예인들이라면 한번쯤 고려해봐야 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맹기용 셰프 출연, <냉장고>가 간과한 몇 가지

 

단 한번 출연하고 받는 비난 치고는 과할 정도다. JTBC <냉장고를 부탁해>에 새롭게 들어온 맹기용 셰프는 방송이 된 하루 만에 들끓는 대중들의 비난을 받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아마도 맹기용 셰프나 <냉장고를 부탁해> 제작진들은 전혀 예상치 못한 파장이었을 것이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생긴 걸까.

 

'냉장고를 부탁해(사진출처:JTBC)'

실력이 문제인걸까. 맹기용 셰프가 처음으로 선보인 맹모닝은 꽁치통조림을 이용한 샌드위치라는 파격적인 선택이었지만 비린내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바람에 좋은 반응을 얻어내지 못했다. 특히 초딩 입맛을 강조했던 지누에게는 더욱 그랬다. 그 요리는 거기 스튜디오에 앉아 있는 출연자들뿐만 아니라 방송을 보는 시청자들에게도 그다지 매력적으로 다가오진 못했다.

 

하지만 음식을 한번 실패했다고 해서 이 정도의 비난이 쏟아진다는 건 이해하기가 어렵다. <냉장고를 부탁해>는 대단한 타이틀이 걸린 오디션 경연 자리도 아니고 그저 하나의 예능 프로그램일 뿐이다. 그러니 요리의 실패는 예능의 재미일 수 있다. 실제로 <냉장고를 부탁해>에서는 그런 장면들이 간간이 등장해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준 적이 있다. 처음 이 프로그램에 등장했던 요리사들 대부분이 15분 동안 요리를 해내야한다는 것에 압박감을 느꼈던 것이 사실이다. 대가인 이연복 셰프도 손을 떠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던가.

 

이기거나 지는 것도 비호감이나 비난으로 작용하지 않는 게 <냉장고를 부탁해>라는 프로그램의 특징이다. 김풍에게 연거푸 진 샘 킴을 떠올려보라. 그는 오히려 이렇게 비전문가에게 지는 모습을 통해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냉장고를 부탁해>는 또한 여기 출연하는 셰프들의 요리 실력을 100% 보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도 아니다. 이것은 15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재빨리 요리를 해내야 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니 중식처럼 빠른 요리는 더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더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요리에는 그 실력발휘를 하기가 어렵다. 즉 이 프로그램에서의 우승이 요리 실력에서의 우승을 가름해주는 건 아니라는 얘기다.

 

이런 실력의 문제가 아니라면 도대체 맹기용 셰프가 한 번 요리를 실패한 것에 대해 대중들의 비난이 쏟아진 걸 어떻게 봐야할까. 여기에는 몇 가지 방송이 만들어낸 이미지의 문제들이 깔려 있다. <냉장고를 부탁해>는 맹기용 셰프를 처음 포지셔닝할 때 잘 생기고 젊은셰프라는데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이건 잘못된 선택이다. 실력이 매력으로 자리하는 이런 프로그램에서 외적인 요소가 주 이미지로 작용하면 실패했을 때 비난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요리 잘하는 셰프가 잘생기기까지 하면 박수를 받지만, 잘 생긴 셰프가 요리를 못하(는 것처럼 비춰지)면 그것은 비난의 빌미가 된다.

 

게다가 <냉장고를 부탁해>는 이 젊은 셰프를 신입 셰프라고 불렀다. 과거 새롭게 등장한 셰프를 인턴 셰프라고 불렀던 것과는 다른 느낌이다. ‘인턴 셰프라면 언제든 프로그램에서 하차할 수 있다는 뜻처럼 읽히지만 신입 셰프는 처음부터 자리를 차고앉은 듯한 뉘앙스를 준다. 회사를 떠올려보라. 누구는 힘들게 들어와 인턴과정을 밟고 있는데 누구는 떡하니 신입으로 앉아 있다면 어떤 마음이 들 것인가.

 

<냉장고를 부탁해> 측이 간과한 또 한 가지는 새로운 인물을 들이면서 그 이유를 정확히 밝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이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이 그 출연자들을 가족처럼 여길 만큼 친숙해졌다. 따라서 출연 셰프들이 나가거나 들어오는 것에 대해 시청자들은 더 민감해한다. 이번 맹기용 셰프의 출연과 동시에 박준우 기자가 하차하는 것 아니냐는 소문이 돌면서 더 사안이 민감해진 건 그래서다.

 

하지만 제작진을 통해 전해들은 바에 따르면 셰프의 하차는 따로 없다는 점이다. 다만 최근 셰프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스케줄이 많아졌고 따라서 기존 8명으로는 프로그램을 꾸려가기가 어렵다고 했다. 그래서 셰프진을 10명까지 만들어놓고 그 때 그 때 스케줄 상황에 따라 인물을 구성하기 위해 새로운 셰프들을 넣은 것이라는 얘기다. 중요한 건 이런 중요한 정보가 시청자들에게 잘 알려졌는가 하는 점이다.

 

맹기용 셰프에 대한 비난에는 상당부분 제작진들이 간과한 몇 가지 실수들이 들어 있다. 물론 이런 실수는 이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이 이 정도로 뜨겁다는 걸 제작진이 실감하지 못한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이제 제작진들은 알았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 시청자들이 얼마나 몰입하고 있으며 또 그렇기 때문에 이토록 민감해져 있다는 것을. 지금부터라도 이런 시청자들을 충분히 고려하고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