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 라미란의 매력에 물든 까닭

 

몸매가 아주 자연스럽죠. 꾸며지지 않았어요. 얼굴도 그렇고 몸도 그렇고 물론 아름다운 외모를 가꿔야 될 분들도 있지만 저는 제가 대한민국의 표준 정도라고 생각해요. 배도 좀 나오고.. 나이가 이렇게 됐는데. 팔뚝도 좀 굵을 수 있는 거고.”

 

'라디오스타(사진출처:MBC)'

MBC <라디오 스타>에 출연한 라미란은 자신의 외모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영하 22도의 방산시장에서 공사(?) 안하고 베드신도했고, 데뷔작이었던 <친절한 금자씨>에서도 목욕탕 장면이 있는데 자신의 엉덩이에서 카메라가 빠져 나오면서 시작한다고 했다. 그러자 몸매를 인정받은 게 아니냐는 김구라의 말에 자신의 외모를 자평한 것.

 

그녀는 자신이 노안이라고 스스로 밝히기도 했다. 영화 <댄싱퀸>에서는 엄정화 친구로 나왔는데 보기에는 정화언니 이모뻘인 외모 때문에 자신이 언니 언니하는 것에 주변에서 많이 놀라더라는 것. 그녀는 자신의 외모가 실제로 보는 것보다 화면으로 보면 10년 정도 늙어보이고 10킬로 정도 쪄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녀가 말하듯 그 노안과 자연스러운 외모는 그녀의 장점이기도 하다. 이미 열 아홉 살 때 70대 노인 역할을 했던 그녀는 그 후로 몸종, 천민 역할 등을 했지만 요즘은 노처녀 역할로 격상됐다고 한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거꾸로 젊은 역할을 하게 된 것. “환갑 때도 이 얼굴일 거예요라고 말하는 라미란은 자신의 외모가 가진 강점을 확실히 알고 있었다.

 

캐릭터 이름은 기억하는데 제 이름이나 얼굴은 잘 기억 못하세요.” 이 말은 배우로서는 라미란이 굉장히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연기란 배우 자신보다 배역으로 남았을 때 빛나기 마련이 아닌가. 물론 확실한 존재감을 보여주는 건 중요하지만 그것은 배우 자신을 드러낸다기보다는 배역에 대한 완전한 몰입을 통해서다.

 

“<더 킹 투하츠><패션왕>을 같이 했는데 두 사람이 같은 사람인 줄 잘 모른다는 그녀의 너스레에는 많은 작품을 해도 잘 알려지지 않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도 있지만 동시에 그것이 배우로서 중요한 장점이라는 인식도 깔려 있다. 어떤 역할을 하더라도 사람들이 처음 본 느낌을 준다는 것. 이보다 배우에 적격인 인물이 있을까.

 

<괴물>에서 이른바 발동동 아줌마, <헬로우 고스트>에서는 노상방뇨를 하는 차태현에게 어딜 넘봐라는 애드리브로 변태 아줌마, <스파이>에서는 야쿠르트 요원으로, <차형사>에서는 홍석천의 즉석 애드리브로 기습키스까지 당한 그녀는 그래서 지난 청룡영화상에서 <소원>으로 여우조연상을 받으며 그 연기를 인정받았다.

 

<라디오스타>에서 BMK물들어를 선곡한 이유에 대해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저도 연기를 하면서 보시는 분들에게 제 연기가 물들어서 다 스며들고 잘 침투했으면 좋겠어요.” 거꾸로 생각해보면 그녀의 이 자연스럽게 물드는연기 덕에 그 많은 영화와 드라마들이 빛났던 것은 아니었을까.

 

라미란은 그래서 모두가 주연이라고 말할 때 묵묵히 조연으로서 그 옆을 지켜주고 만들어주는 수많은 우리네 평범한 서민들의 얼굴을 닮았다. 아마도 <라디오 스타>의 라미란을 보며 그 매력에 빠져들었다면, 그것은 그녀의 얼굴에서 우리의 얼굴을 발견했기 때문일 게다.


'런닝맨'의 게임 예능 한계 극복기

'런닝맨'(사진출처:SBS)

'런닝맨'에서 '스파이 콘셉트'는 게임의 차원을 한 단계 높여준 대단히 중요한 요소다. 그 전까지 '런닝맨'은 어떤 미션을 두고 개인전 혹은 팀 대결을 벌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스파이 콘셉트'가 들어가면서 미션은 이중구조를 갖게 됐다. 겉으로 주어진 미션이 있지만, 그 안에 스파이가 들어가 있는 또 다른 미션이 숨겨져 있는 방식이다.

유재석이 스파이가 되어 다른 런닝맨들의 이름표에 물총을 쏘았던 미션은 그래서 '런닝맨' 게임이 새로운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는 물꼬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런닝맨들은 미션을 주는 제작진은 물론이고 동료 런닝맨들을 신뢰하지 않게 되었다. 두뇌싸움이 치열해졌고 그만큼 게임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스토리가 가능해졌다.

그런데 이다해가 게스트로 출연한 '런닝맨'은 이 스파이 콘셉트의 게임 방식을 한 번 더 뒤집었다. 통상 한 명 혹은 두 명에게 주던 스파이 카드를 이다해를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줌으로써 서로가 서로를 견제하게 만들었고, 이 모든 사실을 알고 있는 이다해는 바로 그 점을 역이용해 '스파이 런닝맨들'을 하나하나 제거해나간다. 여기에는 이다해의 전작인 '미스 리플리'의 캐릭터가 활용되었다. 즉 목적을 위해 특유의 미모와 거짓말로 타인을 이용하는 캐릭터다.

이다해가 출연했던 '스파이 런닝맨' 게임을 우리가 즐기기 위해서는 꽤 많은 정보들을 알고 있어야 가능하다. 런닝맨의 게임 방식(즉 이름표를 뜯거나 어떤 지령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는 식)은 기본이고 새롭게 만들어진 스파이 콘셉트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 게스트의 정보나 이미지 콘셉트를 미리 꿰고 있다면 게임은 더 흥미진진해진다. 물론 '런닝맨' 특유의 공간에 대한 지식도 즐거움을 부가해주는 요소 중 하나다.

하지만 이런 사전 정보들을 하나도 모르는 상태에서 이다해가 출연한 '스파이 런닝맨'을 봤다면 어땠을까. 그다지 큰 감흥을 얻기 어려웠을 것이다. 바로 이 점은 '런닝맨'이라는 게임 예능이 지금껏 달려온 길이 얼마나 어려우면서도 대단한 것인가를 일깨워주는 대목이다. 우리는 어느새 초기 '런닝맨'의 그 단순했던 게임 형식에서 한참 멀리 달려온 지금의 진화된 '런닝맨'을 그다지 큰 어려움 없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 아주 조금씩 '런닝맨'은 우리에게 자신들의 세계가 가야할 길들의 법칙들을 일러주고 있었던 셈이다.

사실 유람선에서 벌어진 셜록 홈즈 콘셉트의 '런닝맨'은 예능적으로 보면 대단한 성과가 아닐 수 없다. 런닝맨들이 한 명씩 아웃되는 의문의 사건들이 연쇄적으로 벌어지고 그러다 결국 숨겨진 루팡 캐릭터가 등장하는 반전은 게임 형식에 미스테리와 스릴러 액션까지 덧붙인 놀라운 결과물로 탄생했다. 즉 '런닝맨'은 이제 다양한 외부 콘텐츠들(혹은 캐릭터)이 갖고 있는 스토리들을 게임 형식으로 풀어낼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최민수를 출연시켜 '런닝맨 헌트'를 하고, 이다해를 출연시켜 미스 리플리 캐릭터를 부여하는 게 가능해졌다.

이즈음에서 '런닝맨' 이전의 예능에서 우리가 봐왔던 게임들을 생각해보자. 그것은 거의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게임들이었다. 특정 공간에서 가위바위보를 하거나, 쿵쿵따를 하거나 닭싸움을 하거나 레이싱을 하는 식의 그런 게임들. 이것은 지금도 대부분의 리얼 예능들이 하고 있는 게임들이다. 하지만 '런닝맨'이 보여주고 있는 게임들은 이보다는 몇 단계 앞에 서 있는 것들이다.

게임이라는 것이 너무 어려워도 시청자가 적응할 수 없고 또 너무 쉬워도 시시해질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이 균형과 적절한 진화 속도를 유지해온 '런닝맨'의 끈기와 근성에 놀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조효진 PD는 그래서 여전히 "하고 싶은 아이디어가 넘쳐나지만 그 속도 조절을 하는 것이 너무 힘들다"고 말한다. 초기에 비하면 엄청나게 복잡해진 현재의 '런닝맨'을 아무런 이물감 없이 오히려 더 흥미진진하게 즐길 수 있게 된 건, 바로 이런 제작진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런닝맨'의 성공적인 진화는 곱씹으면 곱씹을수록 놀랍기만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