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타자기
-
문학적 묘미와 대중적 설득 사이, '시카고 타자기'의 가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4. 10. 09:56
‘시카고 타자기’, 이토록 문학적 상징들이 가득한 드라마라니독특한 드라마. 아마도 tvN 새 금토드라마 를 한 마디로 말한다면 그런 표현이 적당하지 않을까. 총소리가 타자기 치는 소리를 닮았다고 해서 톰프슨 기관단총에 붙여진 별칭에서 따온 라는 제목은 이 드라마가 어떤 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그것은 일종의 문학적 해석이 가능한 상징들을 주요 모티브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한세주(유아인)가 시카고에서 발견한 한 타자기는 그에게 기묘한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그 타자기는 1930년대 경성에서 글을 쓰던 자신과 친구인지 동료인지 알 수 없는 미스터리한 인물 유진오(고경표), 그리고 심부름을 도맡아 하는 듯한 전설(임수정)이 함께 어울렸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그것이..
-
MBC드라마가 처한 위기, 무엇이 관건인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 17. 09:36
외주 제작의 시대, 좋은 인력들이 참여를 원해야 MBC드라마가 위기라는 건 여러 지표들이 이미 예견한 바 있다. 작년 을 통해서 확연히 알 수 있는 것처럼 한 편을 빼놓고 나면 MBC드라마에서 이렇다 할 큰 성과를 찾기는 쉽지 않다. 나 같은 작은 성취들이 있었지만 이 역시 모두 만족할만한 성과라 말하긴 어렵다. 이런 흐름은 올해도 여전하다. 최근 월화에 방영되고 있는 은 심지어 시청률이 3%대까지도 떨어졌고 화제성도 그다지 없다. 최근 종영한 는 작품은 호평을 받았지만 시청률은 5%대를 전전했다. 그나마 MBC가 성과라고 내세우는 건 주말드라마다. 와 는 각각 19%, 14%대의 최고 시청률을 낸 바 있다. 하지만 주말드라마가 작품성보다는 관성적인 고정 시청층에 기대고 있다는 점을 두고 볼 때 주중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