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영화 악당들의 전성시대, 더 지독한 놈들을 잡으려면

 

한 마디로 ‘악당들의 전성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종영한 KBS 드라마 <닥터 프리즈너>에서 나이제(남궁민)는 주인공이지만 액면으로 보면 범죄를 수시로 저지르는 악당 중의 악당이다. 교도소 VIP들을 ‘형 집행 정지’로 풀려나게 하려고 약물을 주입하거나 갖가지 몸을 망가뜨리는 처치를 내려 심지어 죽을 위기에까지 환자를 몰아넣는다. 의사지만 ‘활인(活人)’이 아닌 ‘살인(殺人)’을 하는 의사.

 

하지만 그런 악당을 지지하고 더 악독하게 하라고 만드는 건 그보다 더 지독한 악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선민식(김병철) 같은 교도소 의료과장이라는 위치를 이용해 치부를 해온 인물이 그렇고, 이재준(최원영)처럼 욕망을 위해 존속살해도 서슴지 않는 싸이코가 그렇다. 그들과 싸워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악독해지는 주인공이 허용된다는 것.

 

OCN 수목드라마 <구해줘2>에도 비슷한 악당이 등장한다. 김민철(엄태구)가 바로 그 악당이다. 툭하면 사고치고 동네 사람들 괴롭히고 얼마나 지독했으면 감옥에서 나와 고향에 돌아오자 고향사람들이 보고 화들짝 놀랄 정도다. 하지만 그는 이 드라마의 주인공이다. 이렇게 된 건 이 수몰예정지구 마을에 슬쩍 들어와 그 보상금을 통째로 털어먹으려는 사기꾼 최경석(천호진)이라는 악마 같은 인물이 있어서다.

 

김민철은 악당이지만 그가 최경석과 맞붙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그가 가장 싫어하는 게 ‘구라치는 놈’이기 때문이다. 최경석은 갖가지 감언이설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그래서 영혼까지 빼먹으려는 사기꾼. 순박한 마을 사람들이(심지어 목사까지) 그에게 하나둘 넘어가기 시작하는 상황, 김민철만이 이들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처럼 보이는 건 워낙 최경석이 용의주도한 사기꾼이어서다.

 

최근 개봉해 화제가 되고 있는 마동석 주연의 영화 <악인전>의 사정도 똑같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눈에 보이는 이들을 마구 죽이고 다니는 연쇄살인범을 잡기 위해 조직 보스 장동수(마동석)와 강력반 미친 개 정태석(김무열)이 손을 잡고 공조한다는 이 범죄액션은 ‘악당이 악마를 잡는다’는 그 지점이 가장 매력적인 관전 포인트다.

 

장동수는 조직의 보스로서 주먹으로 피떡을 만들고 살해를 사주하기도 하는 잔인한 인물이지만 이 끔찍한 연쇄살인마 앞에서 어딘지 ‘든든한’ 느낌을 주는 주인공이 된다. 정태석도 형사지만 나쁜 놈이기는 마찬가지다. 살인범을 잡기 위해 뭐든 하는 이 형사는 어떨 때는 장동수보다 더 잔인한 느낌마저 준다. 그래서 이들이 공조(?)를 하는 장면 속에서 누가 형사이고 누가 조폭인지 알 수 없는 유머러스한 장면까지 연출된다. 그래서 <악인전>의 대결구도는 두 명의 나쁜 놈들(조폭과 형사)이 악마 연쇄살인범을 잡는 방식으로 그려진다.

 

그런데 악당이 악을 잡는 이런 스토리들이 부쩍 늘고 있는 건 왜일까. 그건 우리네 사회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듯싶다. 누가 봐도 뻔히 아는 범죄자들조차 법망을 빠져나가고, 갈수록 흉악한 범죄들이 사회면을 장식하고 있는 요즘, 이런 악들과 대적하기 위해서 더 이상 ‘순진한 선이나 정의’가 힘을 발휘할 수 없다고 대중들이 생각하기 때문이다. 악당조차도 좋게 보일 정도로 더 악독한 현실. 그것이 악당들의 전성시대를 불러온 이유다.(사진:영화'악인전')

'안시성', 호불호 갈리는 압도적 볼거리와 약한 스토리 사이

영화 <안시성>은 지축을 뒤흔드는 말발굽 소리로부터 시작한다. 달리는 말과 창과 칼을 들고 맞붙는 당 태종의 군대와 고구려군의 치열한 전장. 살점이 잘려져 나가고 피가 튀는 그 현장이 마치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 상황을 고스란히 들여다보고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재연된다. 

그 영화의 도입 부분을 채운 전투 장면은 앞으로 이 영화가 어떤 걸 보여줄 건가를 말해준다. 제목만 들어도 그 내용을 모를 우리네 관객은 없을 소재. 20만 당나라 최강의 대군을 맞아 고작 5천의 병사들로 이를 물리친 양만춘 성주가 이끈 안시성 전투가 그것이다. 

KBS 대하사극 <대조영>에서도 다뤄졌고, SBS 드라마 <연개소문>에서는 제작비 400억 중 상당한 액수를 소진시켜 결국 전체 드라마를 휘청하게 만들었던 게 바로 초반 안시성 전투 스펙터클이었다. 그 정도로 안시성 전투라는 소재를 재연해내려는 역사 콘텐츠들의 야심은 계속 있어왔다. 그러니 영화 <안시성>이 다루는 이야기는 이미 우리네 관객들이 대부분 아는 것이다. 다만 그것을 어떻게 재연해낼 것인가가 이 영화가 가진 관건이었다.

<안시성>이 그려내는 인물들은 다소 전형적이고 도식적이다. 백성들에게 자애로운 성주 양만춘(조인성), 그와 정치적으로 부딪치는 연개소문(유오성), 양만춘을 따르는 무사들로 부관인 추수지(배성우), 도끼를 쓰는 부월수장인 활보(오대환), 그와 티격태격하면서도 서로를 챙기는 환도수장 풍(박병은)이 있고, 양만춘의 여동생인 백하부대장 백하(설현)와 그의 연인인 기마부대장 파소(엄태구)가 등장한다. 캐릭터 설명만으로도 그들이 앞으로 어떤 일들을 해나갈 것인가가 어느 정도는 예측 가능한 그런 인물들을 <안시성>은 배치해놓는다. 

이렇게 쉽게 전형적인 인물을 사용하고, 안시성 전투라는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 소재를 가져왔다는 건, 이 영화가 주력하고 있는 것이 바로 그 전투 장면의 스펙터클이라는 걸 명백히 해준다. 그래서 영화는 이야기의 재미보다는 볼거리의 재미가 훨씬 더 관객을 몰입시킨다. 특히 우리네 사극에서 이렇게 다양한 방법으로 ‘공성전’을 다룬 적이 있나 싶을 정도로 밀고 당기는 전투의 스펙터클은 관객의 시선을 압도하기에 충분하다. 

성을 부수고 들어오려는 당 태종과 이를 막아내면서 반격을 가하는 양만춘의 치열한 두뇌싸움은 흥미롭고, 도저히 이겨낼 수 없을 것 같은 공격 속에서 이를 뒤집는 전략들은 ‘전쟁 스펙터클’이 보여줄 수 있는 극점들을 보여준다. 특히 공간감을 잘 인지하게 만든 연출은 관객이 안시성에서 벌어지는 전투의 여러 국면들에 함께 하고 있다는 느낌을 전해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다만 이렇게 스펙터클이 강렬하게 전편에 채워지다 보니 가끔씩 전투의 소강상태에서 이어지는 드라마들이 너무 소소하게 느껴진다는 점이다. 이것은 인물을 다소 전형적으로 그려 놓은데서 빚어진 결과이기도 하고, 애초부터 인물을 파기보다는 전쟁의 양상에 더 집중하겠다는 영화의 전략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안시성>은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영화다. 볼거리를 찾는 관객이라면 <안시성>의 시종일관 이어지는 전쟁 스펙터클이 압도적인 재미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보다 섬세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원하는 관객이라면 인물에 대한 평이한 이야기에 아쉬움을 느낄 수 있다. 다만 분명한 건 <안시성>은 극장에서 봐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영화라는 점이다. 시각과 청각이 아우러진 그 시스템 속에서 더더욱 생생하게 느껴질 수 있는.(사진:영화'안시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