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놀이 같은 윤계상과 유나의 반격이 특히 통괘한 건(‘유괴의 날’)

유괴의 날

마치 살벌한 어른들과 천진한 아이들의 대결 같다. ENA 수목드라마 <유괴의 날>이 드러낸 최로희(유나)를 두고 벌어졌던 사건의 전말은 ‘천재 아이 프로젝트’라는 끔찍한 실험이었다. 두뇌 기능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이 실험을 위해 최진태(전광진) 원장은 아이들을 입양했고, 성과가 없으면 파양하는 걸 반복해왔다. 최로희는 그렇게 입양되어 실험대상이 됐던 아이이고 그 실험의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던 아이였다. 

 

그런데 이 끔찍한 실험은 최진태 원장이 시작한 게 아니라 그 부친에서부터 이어져온 것이었다. 딸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최로희를 유괴하라고 부추겼던 김명준(윤계상)의 아내 서혜은(김신록) 역시 최진태 원장의 부친에 의해 실험됐다가 성과가 나오지 않아 파양됐던 아이였다. 게다가 이 실험에는 모은선(서재희) 박사나 제이든(강영석) 같은 연구비 투자자들이 있었다. 물론 목적은 달랐다. 모은선 박사가 아픈 딸을 위해 최로희가 필요했다면, 제이든의 목적은 오로지 돈이었다. 

 

천재 아이를 만들어내는 실험을 하고, 그 성과가 보이지 않으면 파양시키는 비정한 어른들의 이야기는 마치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엘리트주의’를 은유하는 것처럼 보인다. 성적 상위 몇 프로인 엘리트들만이 살아남고 나머지는 버려지거나 소외시키는 사회가 그것이다. 그 목적은 돈이거나 혹은 가족이기주의 같은 것들이다. 

 

최진태 원장이 살해되자 그 막대한 유산이 최로희에게 갈 것을 우려해 아이를 죽이려고까지 하는 최동준(오만석) 같은 유족들의 모습도 저 천재 아이 프로젝트를 2대에 걸쳐 해온 비정한 어른들과 다를 바 없다. 이들에게는 아이도 하나의 소유물 같은 실험대상이고, 성과를 내지 못하면 버려지는 소모품 같은 존재로 치부된다. 

 

그래서 뒤늦게 밝혀진 ‘천재 아이 프로젝트’의 전말은 애초 어설픈 유괴범 김명준이 최로희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온 사실이 유괴가 아니라 구조였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만들어낸다. 처음에는 기억을 잃어 김명준을 아빠라 착각하지만, 기억이 되돌아온 후에도 최로희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김명준에게 최진태 원장에게서는 결코 느끼지 못했을 끈끈한 정을 느낀다. 

 

흥미로운 건 김명준이 과거 유도를 하다 사고로 상대 선수를 죽게 만들었을 정도의 괴력의 소유자지만, 하는 짓은 어딘가 아이 같다는 점이다. 어른들의 눈으로 보면 모자라다고 느껴지는 이 인물은 그러나 최로희와 함께 할 때는 어른과 아이가 아닌, 아이들 같은 관계를 보여준다. 오히려 천재적인 두뇌를 발휘해 이 복잡하게 욕망들이 꼬여버린 상황들을 헤쳐 나가는 최로희가 어른 같은 역할을 한다. 

 

제이든과 최동준(오만석)이 공조해 최로희를 김명준이 살해한 것처럼 꾸미지만, 그게 사실이 아니라는 걸 폭로하겠다며 저들을 협박해 300억을 내놓으라고 하는 최로희와 김명준의 공조는 그래서 마치 아이들의 놀이처럼 그려진다. 제이든에 의해 납치 구금되어 있고 300억을 두고 벌어지는 치열한 싸움이 있는 상황에서도 최로희와 김명준은 이 판세를 다 읽어가며 여유있게 바닷가에서 모래 놀이를 한다. 

 

<유괴의 날>의 이야기는 이제 본격적인 ‘아이들의 반격’에 들어갈 작정이다. 어른들이 지금까지 해왔던 비정한 짓들을 하나하나 폭로하고 저들의 욕망을 역이용해 저들을 궁지로 몰아가는 것. 그리고 아이 같은 어른 김명준이 끝내 원하는 건 최로희가 ‘천재’가 아닌 그저 평범한 아이로 살아가는 그런 세상이다. 마치 아이들이 놀이하듯 펼쳐지는 김명준과 최로희의 반격이 특히 통쾌하게 다가오는 건 그래서다. (사진:ENA)

 

'말모이', 생명력을 불어넣어 주는 배우 유해진의 진가

우리는 조선어학회라는 곳이 있었다는 걸 교과서를 통해 한번쯤 본 적이 있다. 또 아무리 몰라도 주시경 선생이나 최현배 선생의 이름 정도는 알 것이다. 하지만 한글을 지킨다는 것이나 우리말 사전을 편찬한다는 일이 일제강점기에 어떤 의미인가는 크게 실감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직접적인 항일투쟁을 했던 김구 선생이나 김원봉 선생 같은 독립투사의 삶과는 조금 다르게 느낀다는 것.


이것은 아마도 ‘글’이 갖는 엘리트적인 선입견이 그 실상을 바라보는 눈을 가리기 때문일 게다. 그런 점에서 보면 영화 <말모이>의 주인공이 류정환(윤계상) 같은 뜻을 갖고 한글을 지키기 위해 사전 편찬을 해온 엘리트가 아니라, 극장 직원으로 일하다 쫓겨나 길거리에서 소매치기를 하기도 하는 전형적인 생계형 인물 김판수(유해진)라는 점은 굉장히 중요한 시점 선택으로 보인다.

이 작품의 극본을 쓰고 연출을 한 엄유나 감독이 시나리오를 썼던 영화 <택시운전사>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말모이>는 조선어학회 사건이라는 역사적 현장 속으로 들어가면서 김판수라는 평범하고 어찌 보면 밑바닥 인생을 살아가는 인물을 중심으로 세운다. 김판수가 류정환의 가방을 소매치기하며 악연으로 시작된 이들의 관계는, 과거 감방에서 인연이 있던 조갑윤(김홍파)의 추천으로 김판수가 조선어학회에서 잡일을 도와주게 되면서 갈등과 화해를 이어간다.

김판수를 그저 그런 밑바닥 인생으로 바라보며 자신과 선을 그어온 류정환이 조금씩 그의 진심을 알게 되는 과정은 그가 한계를 드러냈던 엘리트주의가 깨져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관객들은 김판수라는 평범한 인물의 시선으로 당대에 한글을 지킨다는 일이 어떤 의미인가를 실감하게 된다. 사전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사투리를 모으고, 전국 교사들이 함께 모여 표준어를 정하는 그 지난한 과정들을, 일제의 감시와 폭력 속에서 해낸다는 건 그 어떤 독립투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이 영화에서 가장 감동적이면서 동시에 중요한 메시지이기도 한 대목은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이 더 멀리 갈 수 있다”는 대사를 김판수가 길거리 사내들을 모아놓고 실연해 보이는 장면이다. 전국에서 올라온 그 길거리 사내들은 조선어학회가 사전편찬을 위해 사투리를 수집하는 일에 날개를 달아준다. 사전을 편찬하고 한글을 지키는 일은 결국 그 말을 사용하는 평범한 사람들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고, 그래서 함께 해나가야 하는 일이라는 걸 그 장면이 보여준다.

결국 류정환은 김판수를 통해 자신이 그토록 한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온 삶이 사실은 저들 민초들을 위한 일이고, 또 저들이 있어 자신이 이 일을 할 수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김판수는 아이들을 위해 어떤 일이든 해온 사람이지만 차츰 류정환을 통해 ‘적어도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아버지’의 길이 무엇인가를 알아간다. 그래서 김판수라는 이름 없이 민들레처럼 스러져간 민초들의 희생이 있어 역사적인 기록에 남은 조선어학회나 몇몇 선구자들 역시 존재했다는 걸 이 영화는 말해준다.

엄유나 감독이 “평범한 대사에도 생명력을 불어넣어 주는 배우”라고 칭찬한 유해진은 이 작품에서 절대적인 힘을 보여준다. 그것은 감독이 말했듯 이 영화가 “평범한 사람들의 귀한 마음을 다룬 작품”이기 때문이다. 유해진은 김판수라는 인물이 가진 평범하지만 귀한 마음을 지극히 보통의 서민들 입장에서 천연덕스럽게 연기해냄으로써 그의 진가가 어디에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그는 교과서에서나 봤던 역사적 사실에 특유의 너스레로 숨결을 불어넣어준다. 영화가 끝나고 나서도 그 거칠지만 선한 웃음이 선연하게 느껴질 정도로 유해진은 스스로가 얼마나 대단한 배우인가를 입증해냈다.(사진:영화'말모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