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유괴의 날’, 윤계상과 유나의 본격화된 어른들과의 대결

728x90

아이들 놀이 같은 윤계상과 유나의 반격이 특히 통괘한 건(‘유괴의 날’)

유괴의 날

마치 살벌한 어른들과 천진한 아이들의 대결 같다. ENA 수목드라마 <유괴의 날>이 드러낸 최로희(유나)를 두고 벌어졌던 사건의 전말은 ‘천재 아이 프로젝트’라는 끔찍한 실험이었다. 두뇌 기능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이 실험을 위해 최진태(전광진) 원장은 아이들을 입양했고, 성과가 없으면 파양하는 걸 반복해왔다. 최로희는 그렇게 입양되어 실험대상이 됐던 아이이고 그 실험의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던 아이였다. 

 

그런데 이 끔찍한 실험은 최진태 원장이 시작한 게 아니라 그 부친에서부터 이어져온 것이었다. 딸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최로희를 유괴하라고 부추겼던 김명준(윤계상)의 아내 서혜은(김신록) 역시 최진태 원장의 부친에 의해 실험됐다가 성과가 나오지 않아 파양됐던 아이였다. 게다가 이 실험에는 모은선(서재희) 박사나 제이든(강영석) 같은 연구비 투자자들이 있었다. 물론 목적은 달랐다. 모은선 박사가 아픈 딸을 위해 최로희가 필요했다면, 제이든의 목적은 오로지 돈이었다. 

 

천재 아이를 만들어내는 실험을 하고, 그 성과가 보이지 않으면 파양시키는 비정한 어른들의 이야기는 마치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엘리트주의’를 은유하는 것처럼 보인다. 성적 상위 몇 프로인 엘리트들만이 살아남고 나머지는 버려지거나 소외시키는 사회가 그것이다. 그 목적은 돈이거나 혹은 가족이기주의 같은 것들이다. 

 

최진태 원장이 살해되자 그 막대한 유산이 최로희에게 갈 것을 우려해 아이를 죽이려고까지 하는 최동준(오만석) 같은 유족들의 모습도 저 천재 아이 프로젝트를 2대에 걸쳐 해온 비정한 어른들과 다를 바 없다. 이들에게는 아이도 하나의 소유물 같은 실험대상이고, 성과를 내지 못하면 버려지는 소모품 같은 존재로 치부된다. 

 

그래서 뒤늦게 밝혀진 ‘천재 아이 프로젝트’의 전말은 애초 어설픈 유괴범 김명준이 최로희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온 사실이 유괴가 아니라 구조였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만들어낸다. 처음에는 기억을 잃어 김명준을 아빠라 착각하지만, 기억이 되돌아온 후에도 최로희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김명준에게 최진태 원장에게서는 결코 느끼지 못했을 끈끈한 정을 느낀다. 

 

흥미로운 건 김명준이 과거 유도를 하다 사고로 상대 선수를 죽게 만들었을 정도의 괴력의 소유자지만, 하는 짓은 어딘가 아이 같다는 점이다. 어른들의 눈으로 보면 모자라다고 느껴지는 이 인물은 그러나 최로희와 함께 할 때는 어른과 아이가 아닌, 아이들 같은 관계를 보여준다. 오히려 천재적인 두뇌를 발휘해 이 복잡하게 욕망들이 꼬여버린 상황들을 헤쳐 나가는 최로희가 어른 같은 역할을 한다. 

 

제이든과 최동준(오만석)이 공조해 최로희를 김명준이 살해한 것처럼 꾸미지만, 그게 사실이 아니라는 걸 폭로하겠다며 저들을 협박해 300억을 내놓으라고 하는 최로희와 김명준의 공조는 그래서 마치 아이들의 놀이처럼 그려진다. 제이든에 의해 납치 구금되어 있고 300억을 두고 벌어지는 치열한 싸움이 있는 상황에서도 최로희와 김명준은 이 판세를 다 읽어가며 여유있게 바닷가에서 모래 놀이를 한다. 

 

<유괴의 날>의 이야기는 이제 본격적인 ‘아이들의 반격’에 들어갈 작정이다. 어른들이 지금까지 해왔던 비정한 짓들을 하나하나 폭로하고 저들의 욕망을 역이용해 저들을 궁지로 몰아가는 것. 그리고 아이 같은 어른 김명준이 끝내 원하는 건 최로희가 ‘천재’가 아닌 그저 평범한 아이로 살아가는 그런 세상이다. 마치 아이들이 놀이하듯 펼쳐지는 김명준과 최로희의 반격이 특히 통쾌하게 다가오는 건 그래서다. (사진: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