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승장구 <기황후>, 제목만 달랐더라도...

 

<기황후>는 예상대로 승승장구다. 시청률이 4회 만에 14%를 넘겼고 매회 끝날 때마다 쏟아져 나오는 기사들은 이 드라마가 화제성면에서도 압도하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물론 언플이라고 비난받지만 드라마 내용을 주로 다루는 기사도 호평 일색이다. 만일 <기황후>라는 제목을 달고 나오지 않았고 역사와는 상관없는 창작물이었다면 칭찬이 쏟아졌을 사극이다.

 

'기황후(사진출처:MBC)'

남장여자라는 설정은 흔할 수 있지만 이 사극에 등장하는 기승냥(하지원)이라는 인물은 특성상 여러 극적인 코드를 동시에 갖고 있다. 기승냥을 사이에 두고 왕유(주진모)와 타환(지창욱)이 벌이는 삼각구도는 바로 그 남장여자라는 설정 때문에 남자들 사이의 우정처럼 읽히면서도 동시에 남녀 사이의 멜로가 된다. 남녀 시청층을 동시에 끌어안을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라는 얘기다.

 

게다가 많은 남장여자 캐릭터들이 나왔지만 하지원만큼 이를 잘 소화해내는 배우도 드물다. 잔뜩 눈에 힘을 줄 때는 여장부의 카리스마를 보여주다가도, 남자들 앞에서 짐짓 부끄러워하고 두근거림에 토끼 눈을 할 때는 전형적인 여자 신데렐라로 돌변한다. 무엇보다 액션 연기를 이만큼 강렬하게 해낼 수 있는 여배우는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 이미 <대조영>같은 대하사극에서부터 <자이언트>같은 시대극까지 넘나들며 마치 삼국지 같은 스케일의 인간사를 즐겨 그리는 타고난 이야기꾼 장영철 작가의 스토리는 지지부진함 없는 속도감을 선사한다. 팽팽한 스토리에 흥미로운 캐릭터 설정 그리고 그걸 최대치로 연기해내는 배우까지 있으니 드라마에 눈길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게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모든 좋은 요소들은 역사 왜곡이라는 문제 앞에서 이 드라마가 돌팔매질을 당하는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기승냥이라는 인물에 우리를 몰입시키는 것이 이 드라마의 성패일 수밖에 없는데, 바로 그것은 동시에 더 철저한 역사 왜곡의 문제로 비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는 고려 말, 공녀로 끌려가 원나라 황후가 된 기황후의 이야기를 모티프로 했으며, 일부 가상의 인물과 허구의 사건을 다루었습니다. 실제 역사와 다름을 밝혀드립니다.’ 이 같은 사전고지를 하고 있지만 기황후라는 제목은 여전히 실제 역사의 이름 그대로이고, 그녀의 이야기를 모티프로 했다는 것은 가상과 허구지만 그것이 긍정적인 재해석이라는 뉘앙스를 깔고 있다. 고려의 정사를 농단하고 침공하려고까지 한 인물을 입지전적인 성공사례처럼 재해석하는 건 국민정서상 용납되기가 어렵다.

 

애초에 제목을 달리하고 누구나 허구임을 알 수 있는 판타지라던가 무협적인 요소를 덧붙였다면 이런 아이러니한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을 게다. 연기자가 연기를 잘 하고 작가가 작품을 잘 쓰고 있지만 그것이 칭찬이 아니라 비난이 되는 상황. 잘 하면 잘 할수록 고려를 핍박한 인물을 오히려 미화하게 되는 이런 상황은 작가는 물론이고 연기자에게도 고스란히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가장 안타까운 건 하지원이라는 늘 대중들의 호감을 받는 여배우가 겪는 부담이다. 하지원은 연기자로서 자신이 맡은 역할에 최선을 다할 뿐이지만 그 결과는 혹독한 비난으로 돌아오고 있다. 이것은 재능의 이중성으로까지 비춰진다. 좋은 재능은 잘 사용될 때 좋을 수 있지만 반대로 사용되면 독이 된다는 것. 도대체 무엇이 하지원이라는 괜찮은 배우를 이런 시험대에 오르게 했단 말인가. <기황후>는 앞으로도 승승장구할 가능성이 높지만 바로 그것 때문에 두고두고 거기에 편승한 이들에게 부담으로 남을 공산이 크다.

사랑의 다양한 차원을 보여준 '별을 따다줘'

멜로드라마가 사랑을 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별을 따다줘'처럼 사랑의 다양한 차원을 담는 것은 이색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별을 따다줘'의 기본적인 뼈대는 진빨강(최정원)과 원강하(김지훈)의 사랑이지만, 이 뼈대만 본다면 이 드라마의 많은 살점들을 놓치게 된다.

먼저 진빨강의 동생들이 보여주는 동심어린 사랑이 그 첫 번째다. 사실 이 동심은 '있으나 마나 미스 진'을 정신 차리게 만든 사랑의 실체이자, '마음이라는 것 자체가 없이 살아온' 원강하에게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한 장본인이다. 모든 것을 포기하려는 그녀에게 옹알이를 해준 막내 남이는 그녀에게 가족이 짐이 아니라 살아가게 하는 힘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아무도 침입(?)을 허락하지 않고 요새처럼 벽을 쌓으며 살아온 원강하는 어느 날 갑자기 침대로 무단 침입한 파랑(진보근)이에 의해 무장해제된다.

이 누군가를 사랑하기에는 한없이 부족한 상황 속에 놓여있던 문제의 남녀는 바로 이 동심으로 인해 깨어나 비로소 사랑이란 것을 하게 된다. 진빨강은 자신의 머리를 스스로 자르며 난 이제 여자가 아니라고(아이들의 보호자라고) 선언하는 순간, 그녀는 비로소 사랑의 진짜 실체를 알게 되고, 이 도무지 눈치라고는 보지 않는 아이들의 무차별적인 들이댐을 귀찮지 않게 여길 즈음, 원강하는 마음을 열게 된다. 즉 이 둘의 사랑은 단지 남녀 간의 사랑의 귀결만으로 애초부터 귀결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 밑바탕에는 좀 더 다른 차원의 사랑, 동심의 사랑 같은 것들이 깔려 있었다.

멜로가 깊어질 즈음, 등장하는 것이 형제애와 우정이다. 즉 원강하를 차지하려는 정재영(채영인)과 진빨강에게 자꾸만 마음이 가는 원준하(신동욱)로 인해 관계가 복잡하게 치달을 때, 원강하와 원준하의 형제애가 등장한다. 동생 없이는 살 수 없는 원강하와 늘 형의 것을 빼앗지 않고 살아가려는 착한 동생 원준하는, 진빨강을 사이에 두고 결국 두 사람의 형제애를 확인한다. 또한 원강하를 포기한 정재영은 늘 자신 옆에 있어준 원준하와의 우정을 확인한다. 실연을 당한 두 사람이 "우리 오랫동안 함께 술 마셔야겠지?"하고 나누는 대화 속에는 우정을 넘어서는 어떤 발전의 계기까지 감지하게 된다.

중요한 것은 원강하와 원준하가 피가 섞이지 않은 배다른 형제라는 사실이다. 이 부분에서 다시 '별을 따다줘'의 사랑은 인간애로 확장된다. 늘 진빨강과 동생들의 할아버지로 주변에 서 있는 JK생명의 회장 (정국)이순재, 어딘지 덜 자란 듯 하지만 여전히 동심을 가진 채 진빨강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우태규(이켠), 그리고 마치 자기 일인 양 아낌없이 진빨강을 도와주는 한진주(박현숙)와 최은말(김지영). 이들은 피가 섞이지는 않았지만 혈연관계 이상의 유사가족을 형성한다. 이들이 보여주는 따뜻한 정은 이 드라마를 단지 멜로드라마의 사랑타령 그 이상으로 보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이유다.

'별을 따다줘'가 우리에게 따다준 것은 바로 이 다양한 차원의 사랑이다. 조금은 투박하고 조금은 트렌디한 느낌을 주면서도 우리가 기꺼이 이 드라마에 '착한 드라마'라는 수식어를 아끼지 않은 이유는 바로 이 다양한 사랑들이 드라마 곳곳에 별처럼 반짝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