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의 다큐예능, SBS의 유-강 체제, KBS는?

 

KBS <해피선데이>는 위기다. MBC가 <아빠 어디가>의 성공에 이어 <진짜 사나이> 역시 첫 방에 7.8%라는 좋은 성적과 호평을 받고 있는데다가, SBS는 유재석이라는 발군의 MC에 의해 고정 시청층을 이미 확보한 <런닝맨>에 이어, 복귀한 강호동의 <맨발의 친구들>까지 가세한다. 리얼 버라이어티의 전성기를 구가했던 유-강 체제가 구축된 셈이다. 반면 KBS는 <남자의 자격>을 폐지하고 세운 <맘마미아>는 물론이고 최재형 PD와 김승우가 빠지고 이세희 PD와 유해진이 투입된 <1박2일> 역시 아직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한 상태다.

 

'맘마미아'(사진출처:KBS)

도대체 어쩌다 <해피선데이>가 이런 지경에까지 이른 것일까. 몇 년 전만 해도 예능 프로그램으로서는 40%라는 경이적인 시청률을 기록했던 <해피선데이>가 아닌가. 하지만 지금 현재 <해피선데이>는 시청률 10%에 가까스로 머물러 있다. 물론 타 방송사의 시청률도 월등하진 않다. 겨우 13% 정도에 머물러 있을 뿐이니까. 하지만 프로그램에 대한 화제성에서는 너무나 큰 차이가 생겼다. MBC의 <아빠 어디가>나 신설 예능인 <진짜 사나이>가 모두 호평을 받고 있고, SBS의 <런닝맨>에 이어 앞으로 신설될 <맨발의 친구들>이 벌써부터 화제가 되고 있는 반면, KBS <해피선데이>는 그만한 화제가 되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명백하다. MBC나 SBS의 주말예능은 끊임없이 무언가 새로운 실험과 도전을 해왔던 반면, KBS는 <해피선데이> 전성기 시절의 힘만 소진시키며 <남자의 자격>과 <1박2일>에 기대왔던 것이 사실이다. 시즌2를 세우며 MC를 바꾸고 PD를 바꿨지만 이건 변화라기보다는 소진되어가는 힘을 새로운 인물들로 충전시켰을 뿐이다.

 

가장 뼈아픈 건 <해피선데이> 전성기를 만들었던 인물들을 모두 빼앗겼다는 점이다. <1박2일>에 이어 <남자의 자격>을 런칭시켰던 이명한 PD, <1박2일>의 나영석 PD, <남자의 자격>의 신원호 PD 게다가 이 모든 예능 프로그램에 관여했던 이우정 작가까지 지금은 모두 CJ에서 새 둥지를 틀었다. 여기에 <1박2일>의 실질적인 힘이었던 강호동이 잠정은퇴를 선언하며 빠져나가면서 프로그램도 힘을 잃었고, <남자의 자격>은 신원호 PD가 나간 후 초심을 잃고 흔들리다 결국은 폐지되는 운명을 맞았다.

 

이제 <해피선데이>는 이른바 스타가 부재한 상황이다. PD도 MC도. 게다가 프로그램 역시 신선함을 잃은 지 오래다. <1박2일>은 사실상 시즌2를 치르면서 본래 갖고 있던 어딘지 구수하고 고향 같은 그 정서를 대부분이 잃어버렸다. 당장의 시청률에 급급해 복불복과 게임이 주는 재미에 너무 치중한 탓이다. 새 메가폰을 잡은 이세희 PD는 그나마 그 정서를 복원하려 노력하는 흔적이 보인다. 성시경과 <1박2일> 멤버들이 통영 비진도에서 현지 주민들을 상대로 한 미니 라디오방송은 오랜만에 그 정서를 느끼게 해주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단기간에 그 본래의 정서와 초심을 가져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남자의 자격>이 폐지되고 새롭게 투입된 <맘마미아>는 사실 주말 예능에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다. 아마도 MBC <아빠 어디가>를 의식해서 엄마를 대항마로 내세우겠다는 의도가 크지만 아무리 좋게 봐도 명절 특집으로 일회적으로 해야 어울릴 프로그램처럼 보인다. 형식도 너무 구식이라 MBC와 SBS가 한껏 트렌디한 상차림을 꾸리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시간이 거꾸로 간 느낌이다. 차라리 이 시간대에 화요일 밤에 방영되고 있는 <우리 동네 예체능>이 어울릴 법 하지만, 그건 아마도 SBS에서 예능을 시작하는 강호동에게는 어려운 문제일 게다. 동시간대에 자신이 출연한 두 프로그램이 경쟁을 한다는 건 문제의 소지가 많다.

 

MBC가 다큐 예능이라는 새로운 형식 도전으로 대중들의 시선을 잡아끈 반면, SBS는 유재석과 강호동이라는 명MC들을 전면에 내세워 이에 맞서고 있다. 결과적으로 보면 <해피선데이>는 형식도 신선하지 않고 그렇다고 스타 MC도 부재한 상황이다. 결국 이런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은 한 때 막강했던 맨파워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책임이 가장 크고, 그저 과거의 영광만을 쥐고 그 브랜드에만 매달린 도전정신의 부재 또한 그 책임이 적다 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KBS는 <해피선데이>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1박2일>은 그 형식 자체가 너무 훌륭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어떻게 하면 과거 이 프로그램이 대중들에게 부여했던 그 정서를 되살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주말만 되면 <1박2일>을 보며 그렇게 여행을 한 번 떠나고픈 판타지를 갖게 했던 그 정서 말이다. <맘마미아>는 여러 모로 편성의 실수다. 형식이 가진 의미는 이해되지만 방송3사 예능의 최고 격전지에 세우기에는 너무 역부족이다. <해피선데이>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과거 초창기 <1박2일>과 <남자의 자격>이 시도되었던 그 시절의 도전정신을 다시 일깨워야 한다.

PD가 리얼 버라이어티에 미치는 영향

 

나영석 PD가 최재형 PD로 바뀌고 멤버들도 대거 교체되면서 <1박2일>의 가장 큰 공백은 PD의 자리였다. 내성적이고 유순한 성격의 최재형 PD는 방송에 얼굴을 내미는 것을 꺼려했다. <1박2일> 같은 미션형 리얼 버라이어티에서 PD의 캐릭터는 상당히 중요하다. 미션을 전달하고 수행시키는 PD의 캐릭터에 따라 연기자들의 캐릭터도 달라질 수 있고 따라서 미션 내용도 팽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박2일'(사진출처:KBS)

<1박2일>의 초대 PD였던 이명한 PD는 ‘독한 PD'로서의 캐릭터를 세움으로써 프로그램에 야생의 느낌을 불어넣었다. 그간 예능에서 연예인들이 복불복으로 쫄쫄 굶기도 하고 또 텐트치고 1박을 보내는 장면 자체가 화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이명한 PD의 독한 캐릭터가 프로그램의 분위기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바톤을 이어받은 나영석 PD는 독하다기보다는 장난꾸러기 같은 캐릭터로 연기자들을 몰아세웠다. “안됩니다!”와 “땡!”으로 이승기가 재현해냈던 것처럼, 그의 캐릭터는 누가 뭐래도 복불복 룰은 지켜져야 한다는 고집불통의 이미지에다, 악동 같은 귀여운 면모까지 덧붙여져 사실상 <1박2일>의 연기자들 못지않은 캐릭터로 급부상했다.

 

새롭게 <1박2일>을 맡게 된 최재형 PD는 그러나 초반 이런 분위기에 적응하기가 힘들었다. 룰을 세웠다가도 “처음이니까...”라며 양보를 해주는 모습은 그의 선한 성격 그대로였지만, 프로그램을 이끌어가는 PD 캐릭터로서는 너무 심심해보였다. 그러던 그는 조금씩 자신의 캐릭터를 드러냈다. 그는 새를 닮았다고 새PD라 불리며 전 PD였던 나영석 PD와 비교 당하기도 했고, 연기자들과의 족구대회에서 헛발질을 하면서 ‘족구계의 엄태웅’이라는 굴욕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다가 '여름방학특집 3탄-백투더베이직(BACK TO THE BASIC)'에서 최재형 PD는 디비디비딥 게임으로 무려 15연패를 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확고한 그만의 캐릭터를 만들었다. 그를 따라다니며 한 게임 더 하자는 김승우를 뿌리치며 도망가는 모습이 만들어낸 굴욕 캐릭터는 김종민과의 오목대결에서도 이어졌다. 김종민에게 진 최재형 PD는 김승우를 이긴 후에 그에게 복수하듯 “김종민 아래 아래”라고 김승우를 놀리기도 했다. 자신의 굴욕을 감수하면서까지 김승우에게 당한 걸 설욕하려는 모습은 독특한 최재형 PD만의 캐릭터 색깔을 분명히 했다.

 

최재형 PD의 캐릭터는 기존 PD들과 달리, 연기자들을 몰아세우려다가(당한 것 때문에) 오히려 자신이 당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 나온다. 어딘지 <1박2일>이라는 복불복 프로그램에 잘못 걸려든 것 같은 인상을 보여주는 최재형 PD는 그래도 열심히 하려 하지만 이미 적응할 대로 적응되어 여우가 되어있는 연기자들에게 오히려 당하는 캐릭터. <톰과 제리>에서 강한 힘을 가졌지만 오히려 당하기만 하는 톰을 닮았다고 할까. 이 당하는 이미지는 어딘지 최재형 PD의 어리숙함 속에 담겨진 선한 심성을 들여다보게 만든다.

 

사실 연기자들도 자신의 캐릭터를 세우기까지는 그만한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이수근이 지금처럼 <1박2일>의 중추가 될 수 있었던 것도 그가 캐릭터를 잡기까지 무려 1년이 넘게 기다려준 덕분이다. 하물며 역할이 다른 PD는 오죽할까. 최재형 PD도 사실상 자신의 캐릭터를 끄집어내는데 그만한 시간이 필요했던 법이다. 지나와서 생각해보면 그에게 이명한 PD나 나영석 PD가 보여주었던 캐릭터를 강요했다면 그것은 오히려 부자연스러웠을 것이라 여겨지기도 한다. 그 부자연스러움은 자칫 연기자들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최재형 PD가 제 역할과 캐릭터를 찾아내면서 <1박2일>은 훨씬 생기를 되찾게 되었다. 리얼 버라이어티는 그 성격상 누군가 당하면 당한 대로 돌려주기를 반복하면서 그 역학의 힘에 의해 추동력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제 당했던 최재형 PD가 좀 더 강한 미션으로 연기자들을 몰아붙이는 것이 자연스러워질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와중에도 연기자들은 제리가 톰을 곯려주듯 반격을 가할 것이지만.

 

물론 <1박2일>은 여행이 그 핵심적인 소재이지만, 그 여행을 즐겁게 이끌어가는 과정으로서의 연기자들과 제작진 사이의 역학관계가 중요한 프로그램이다. 유독 ‘망했어요’라는 자막이 많이 등장하게 된 이 프로그램에서, 새 되는(?) 입장으로 캐릭터를 세운 새 PD는 이제 프로그램을 기대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1박2일>의 부활은 어쩌면 새 PD의 캐릭터가 생겨나는 과정과 비슷한 궤를 그리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