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그래와 장백기, 스펙과는 상관없는 사회생활

 

<미생>에서 장그래(임시완)라는 인물은 하나의 판타지처럼 보인다. 현실적으로 스펙 없는 그가 원 인터내셔널 같은 대기업에 입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얘기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는 회사 내에서의 자잘한 일들 속에서도 그 누구보다 잘 적응하고 또 위기상황을 넘기는 기지를 발휘한다.

 

'미생(사진출처:tvN)'

새롭게 온 박과장(김희원)의 비리를 파헤치는데 결정적인 한 방을 날리는 장그래의 행동은 일개 사원으로서 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사회생활을 경험하지 못한 신입사원이라면 그런 핍박받는 상황에서 장백기(강하늘)처럼 행동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드라마 속에서 스펙 좋은 장백기는 바로 그 점 때문에 자신의 자존심을 꺾지 못한다. 당장의 것들만 눈에 보이고 좀 더 큰 그림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장그래는 다르다. 그는 이 박과장 같은 상식 이하의 선임의 명령을 반발 없이 수행하며 집으로 돌아와 자기가 바둑공부를 할 때 적어뒀던 내용을 펼쳐든다. ‘위험한 곳을 과감하게 뛰어드는 것만이 용기가 아니다. 뛰어들고 싶은 유혹이 강렬한 곳을 외면하고 묵묵히 나의 길을 가는 것도 용기다. 순류에 역류를 일으킬 때 즉각 반응하는 것은 어리석다. 상대가 역류를 일으켰을 때 나의 순류를 유지하는 것은 상대의 처지에서 보면 역류가 된다. 그러니 나의 흐름을 흔들림 없이 견지하는 자세야말로 최고의 방어수단이자 공격수단이 되는 것이다.’

 

웬만큼 회사생활을 경험한 사람도, 또 스펙이 아무리 좋은 사람도 결코 생각해내기 어려운 삶의 지혜다. 바로 이 지점은 왜 <미생>이 굳이 주인공 장그래를 스펙 없는 청춘으로 그리는 대신, 그에게 유년시절을 온통 바둑이라는 세계 속에서 살게 했는가가 잘 드러나는 지점이다. <미생>은 그저 직장생활의 애환을 다루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또한 그 애환 속에서도 어떻게 버텨내는가에 대한 노하우도 담겨져 있다.

 

<미생>에서 그것은 바둑의 세계로 제시된다. 장그래라는 인물이 비현실적이지만 그래도 수긍이 가는 이유는 그가 스펙은 없어도 바로 이 바둑을 이해하고 있다는 설정 때문이다. 겉으로 보면 평범 이하처럼 보이지만 그는 비범한 인물이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해지는 점이 있다. 왜 하필 바둑을 세상살이의 지침으로 삼았을까. 바둑의 어떤 점이 그토록 힘겨운 상황 속에서도 장그래 같은 인물조차 회사생활을 잘 할 수 있게 하는 걸까.

 

이것은 바둑이라는 세계가 가진 현실을 내려다볼 수 있는 특징 때문이다. 바둑판이 하나의 현실이라면 그 위에 바둑돌 하나씩을 얹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끊임없이 확인할 수 있는 세계가 바로 바둑의 세계다. 그러니 이러한 관조적 자세는 바둑이 세상 현실을 한 발 뒤로 물러나 바라볼 수 있게 하는 힘을 만들어준다.

 

바로 이 한 발 뒤로 물러난다는 것은 아마도 세상살이에서 가장 중요한 일인지도 모른다. 시스템이라는 괴물과 싸우고 있는 우리네 샐러리맨들은 그 시스템 안에 있기 때문에 괴물의 정체를 발견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장그래처럼 바둑 같은 자신만의 축소판을 갖고 있는 이들에게는 한 발 물러나 그 시스템을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식견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스펙사회에 대해 <미생>이라는 작품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일 것이다. 영어, 수학 점수 좀 더 많이 나온다고 사회생활을 더 잘하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그보다는 세상을 보는 눈을 가져야 한다는 것. <미생>은 바둑을 예로 들고 있지만, 그것은 여행 같은 세상 경험일 수 있고, 인문학 서적 같은 세상 공부일 수도 있다. 장백기가 보여주는 것처럼 스펙은 어쩌면 자신의 발목을 오히려 잡는 족쇄가 되기도 한다. 이것이 <미생>이라는 작품을 통해 장그래라는 판타지적인 인물이 현실에 던지는 질문이 결코 비현실적이지 않은 이유다.

 

삼포세대에게 멜로보다 강력한 <미생>의 판타지

 

최근 들어 드라마 속 멜로는 왜 그렇게 시들해져버렸을까. 여전히 멜로가 들어가야 시청률을 담보한다는 방송사 드라마 기획자들의 진단은 틀린 것이 아니다. 그것은 늘 수치로서 분명한 결과를 보여주니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단순한 양적 시청률과는 무관하게 멜로는 외면받기도 한다. 각기 다른 계층의 남자와 여자가 만나 그 계층의 벽을 뛰어넘어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는 적어도 이 시대에는 너무나 공허해진 이야기가 되었다.

 

'미생(사진출처:tvN)'

연애, 결혼, 출산’. 이 세 가지를 이미 포기한 삼포세대라는 신조어가 나오는 시대에 통상적인 멜로는 마치 현실의 고통을 잠시 잊게 해주는 진통제가 되거나, 때로는 전혀 효과가 없는 엉뚱한 처방약처럼 보인다. 그래서 요즘은 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현실이 아닌 TV 프로그램으로 대리 경험하는 일이 다반사가 되었다. <마녀사냥>이 그렇고 <우리 결혼했어요>가 그러하며 <슈퍼맨이 돌아왔다> 같은 육아 예능이 그렇다. 이를 다루는 멜로는 <밀회>처럼 그나마 사회적 의미를 덧붙였을 때만 잠깐 주목되는 어떤 것일 뿐, 이제는 현실과 동떨어진 공허함만 남았다.

 

<미생>이라는 대박 리메이크가 지상파가 아닌 케이블에서 방영되게 된 이유가 멜로를 굳이 넣지 않으려는 윤태호 작가의 의지때문이었다는 사실은 그래서 흥미롭다. 윤태호 작가는 드라마라면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되는 멜로가 <미생>이 그리는 세계를 변질시킬 것을 저어했다. 그것은 다름 아닌 회사라는 살벌한 전쟁터에서의 삶에 멜로의 달콤함을 덧붙인다는 건 어딘지 맞지 않을뿐더러, 이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에게도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미생>에는 그래서 멜로가 없다. 장그래(임시완)와 안영이(강소라)의 알게 모르게 느껴지는 감정의 공기는 있지만 그건 멜로라고 말하기 어렵다. 선차장(신은정)이라는 워킹맘에서 결혼과 출산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지만 그것은 멜로가 그리는 결혼과 출산의 달콤함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없는 우리 시대의 비애가 그 인물이 그려내려는 결혼과 출산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그것은 삼포세대와 동일한 입장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를 낳으면 축복해주기는커녕 또냐?”고 인상을 찡그리는 게 우리네 직장의 현실이다.

 

그런데 이 멜로를 대치하는 더 강력한 관계가 <미생>에는 존재한다. 그것은 남녀 관계의 차원을 넘어선 인간관계의 이라고 할만하다. 장그래라는 사회 초년생이 어찌 어찌해 들어와 살게 되는 영업 3팀의 오과장(이성민)과 김대리(김대명)는 직장이라는 조직이 갖는 어쩔 수 없는 갈등들을 보여주면서도 마치 때론 형 같고 때론 삼촌 같은 훈훈한 공동체의 모습을 그려낸다. 오과장은 이 스펙 없는 장그래라는 청춘을 겉으로는 신뢰하지 못하고 밀어내는 듯 보이지만 속으로는 그 누구보다 안타까워한다. 장그래가 억울한 누명을 쓰게 되고 그 사실을 오과장이 알아주는 딱풀에피소드는 두 사람 사이의 밀당처럼 보는 이들을 흐뭇하게 한다.

 

<미생>이 직장을 꿈꾸는 이들이나 직장을 다니는 이들에게 열렬한 반응을 얻은 것은 회사라는 어쩔 수 없이 인간의 노동(육체적 정신적 감정적)을 극한으로 밀어붙이는 시스템에 대한 이 작품의 태도 덕분이다. 이 작품은 아예 시스템 자체를 거부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시스템에 굴복하지도 않는다. 원 인터내셔널이라는 시스템이 가진 부조리들 속에서 어쩔 수 없이 하루하루를 버텨내야 하지만 영업 3팀이라는 작은 공동체는 그 안에서도 나름대로의 작은 저항과 다독임을 통해 이 밥벌이로 치부되는 일터에 그만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 과정을 만들어가는 건 다름 아닌 그 구성원들이다. 장그래와 오과장, 김대리가 엮어가는 회사생활 관계의 썸들은 그래서 그 어떤 비현실적인 멜로의 썸보다 우리의 시선을 잡아끈다. 오과장 같은 상사가 있다면, 장그래 같은 부하직원이 있다면 또 김대리 같은 중간 책임자가 있다면... 이런 상상을 하면서 그들 간에 벌어지는 관계의 성장은 그저 판타지라기보다는 도무지 변하지 않을 것 같은 세상에 던지는 작은 대안이 아닐는지. 그런 점에서 장그래와 오과장은 요즘 드라마에서 가장 뜨거운 커플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