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 K팝 한류 타고 예능 한류도 전파하나

 

싸이의 성공에 <무한도전>의 지분이 있다면 얼마나 될까. ‘강남스타일’이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으로 뮤직비디오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뮤직비디오의 성공에 <무한도전>은 상당한 역할을 했다. 이것은 싸이가 <무한도전>에 출연해 노홍철에게 직접 밝힌 얘기다. “여기 할로윈 때 너 옷하고 재석이형 옷이 제일 많았어. 너한테 고맙다는 얘길 해야 되는 게 어떤 네티즌분들이 그런 얘길 많이 하시더라고. 이 뮤직비디오에 지분이 있었으면 노홍철 지분이 한 30%는 된다고. 외국 애들은 제일 터지는 게 이 장면이야. 되게 좋아해. 너무 더럽다고(웃음).”

 

'무한도전'(사진출처:MBC)

이것은 아마도 싸이의 진심일 것이다. 싸이가 한창 미국에서 국제가수로서의 주가를 올리며 눈코 뜰 새 없는 바쁜 스케줄을 소화하는 와중에도 시간을 내서 <무한도전>에 출연했던 것은 그가 진정으로 고마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는 노홍철을 만나기 위해 심지어 지인의 도움을 얻어 헬기를 타고 한달음에 달려왔다. 이 정도면 버선발로 나선 격이다. 그것만이 아니다. 타임스퀘어의 신년맞이 행사에서 싸이는 <무한도전>을 초청했고 노홍철과 유재석, 하하는 그와 함께 무대에 올라 ‘강남스타일’의 뮤직비디오를 재연하기도 했다.

 

싸이의 신곡, ‘젠틀맨’의 뮤직비디오에 <무한도전> 멤버들이 대거 출연한 것은 그래서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무한도전>은 이제 마치 싸이의 곡과 항상 같이 할 것만 같은 크루의 이미지마저 풍긴다. ‘젠틀맨’에서 유재석은 화장실이 급해 엘리베이터에 오르지만 싸이가 층층의 버튼을 모두 눌러버리는 바람에 고통스러워하는 장면에 출연한다. 노홍철은 여전히 저질댄스를 일관되게 보여주고, 정준하와 박명수는 특유의 ‘불장난 댄스’를 선보였다. 하하는 ‘하이브리드’ 콘셉트로 미친 듯 춤을 추는 장면을, 길은 민머리를 드라이하는 장면을 보여주었고, 정형돈은 넘어진 여자를 일으켜줄 듯하면서 다시 넘어뜨리는 장면에 출연했다. <무한도전>의 캐릭터들이 거의 그대로 사용된 것이다.

 

<무한도전>의 관점에서 보자면 ‘강남스타일’은 일종의 맛보기였던 셈이다. ‘젠틀맨’은 <무한도전>의 캐릭터들이 모두 소개되었고, 그 안에는 과거 ‘서해안 고속도로 가요제’에서 이른바 ‘겨땀’으로 큰 웃음을 주었던 싸이의 영상이 그대로 들어가 있기도 하다. 장차 전 세계를 강타할 ‘젠틀맨’의 뮤직비디오에 <무한도전>의 영상을 넣었다는 건 애정을 넘어 일종의 동반자의 의미까지 담겨진다. 거기에는 아마도 뮤직비디오에 얼굴을 드러내지 않은 김태호 PD에 대한 헌사도 들어 있었을 것이다.

 

‘젠틀맨’에 <무한도전> ‘서해안 고속도로 가요제’의 영상이 들어 있는 것은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서해안 고속도로 가요제’와 무관하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당시 이 가요제가 보여준 이른바 B급 정서는 이른바 개가수들의 열풍으로까지 이어졌다. 애초에 전 세계를 겨냥했던 것이 아니라 국내의 트렌드에 충실했던 ‘강남스타일’은 여러 모로 당시 음원시장에 파란을 일으켰던 <무한도전> 가요제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었을 게다. 우연인지 아니면 의식된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무한도전> 가요제의 음악이 갖는 B급 정서는 그만큼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중요한 것은 싸이의 이 남다른 <무도>에 대한 애정이 K팝 한류를 타고 예능 한류까지 전파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강남스타일’로 주목받은 ‘엘리베이터 가이’ 노홍철과 ‘옐로우 가이’ 유재석이 그렇다. 만일 ‘젠틀맨’이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킨다면(이미 현실화되고 있지 않은가!) 그 뮤직비디오에 계속 출연하고 있는 이들에 대한 관심으로 자연스럽게 옮아갈 수 있지 않을까.

 

싸이의 전 세계적인 성공에서 유머의 지분은 결코 낮지 않다. 싸이 스스로도 웃음이 없었다면 세계의 벽을 그렇게 쉽게 넘지 못했을 거라 증언하고 있다. 그러니 싸이의 성공을 그저 K팝 한류의 성공으로 치부하는 것은 어딘지 우리네 예능으로서는 억울할만한 일이다. 드라마, 영화, K팝이 모두 한류의 선봉으로 나서고 있는 지금 예능이라고 가능성이 없을까. 이미 일반인 리얼리티쇼가 트렌드로 자리잡은 해외의 예능계에서는 실제로 한류 예능이 가진 연예인 출연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런 시점에 싸이의 성공과 그와 함께한 <무한도전>은 한류 예능에 큰 의미가 있다. 의식했든 의식하지 않았든 싸이는 K팝 한류와 예능 한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중이다.

싸이 ‘젠틀맨’ 반응, 왜 극과 극으로 나눠질까

 

싸이의 신곡 ‘젠틀맨’에 대한 반응은 그 자체로 놀랍다. 신곡이 나오자마자 전 세계에서 관심을 갖는다는 건 분명 지금껏 우리네 가요사에서 없던 일이다. 그것도 남북한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이 상황에서조차 싸이의 신곡이 해외에서 대서특필되고 있다는 것은 놀랍기까지 하다. 물론 그 반응은 극과 극이다. “역시 싸이다”라는 반응이 있는 반면, “<강남스타일>의 반복”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왔다.

 

사진출처 : 싸이의 '젠틀맨' 뮤직비디오

곡보다 더 관심을 갖게 만든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자 그 반응은 더 뜨겁다. “여전히 싸이 다운 모습을 여실 없이 보여줬다”는 반응이 있는 반면, “너무 선정적이고 더러워 다시는 보고 싶지 않다”는 극단적인 반응까지 보인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상반된 반응을 만들어내고 있는 걸까. 그것은 본래 싸이의 본류였던 B급 풍자가 훨씬 더 강해짐으로써 선정성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더 파더 젠틀맨-” 이렇게 반복되는 후렴구는 분명 욕을 패러디 한 것이다. 그래서인지 양복 차림에 어딘지 근엄한 척 하는 ‘젠틀맨’을 뒤트는 싸이의 이 신곡은 입에 담기 아슬아슬한 거북함을 주면서도 동시에 속을 시원하게 해주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 뮤직비디오에 대한 반응이 노래보다 더 양극단으로 갈라지는 것은 뮤직비디오가 좀 더 직접적으로 ‘젠틀맨’에 대한 조롱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젠틀맨’ 뮤직비디오는 시작부터 파격이다. 양복을 잘 차려입은 노인들이 쇼핑한 물건들을 들고 마치 비서처럼 싸이의 뒤를 따르는 장면이 그렇다. ‘동방예의지국’이라는 우리네 풍습에서 노인들을 하인 부리듯 데리고 다니며 그 폼 잡는 모습을 비웃듯 주차금지 판을 발로 차고, 마네킹의 가슴을 만지고 노인들 옆에서 아랫도리를 흔들며 춤을 추는 장면은 대단한 도발이 아닐 수 없다.

 

노래가 갖고 있는 ‘젠틀맨’에 대한 공격과 혐오는 왜 싸이가 이 곡에 시건방춤을 붙였는가를 이해하게 만든다. 시건방춤의 핵심은 상체와 하체의 표현을 달리하는 것이 아닌가. 상체는 어딘지 폼을 잔뜩 잡고 있지만, 하체는 골반을 노골적으로 좌우로 흔들어대는 것. 상체가 젠틀맨의 겉면이라면 하체는 그 속내의 음흉함을 표현하는 것일 게다.

 

노인 앞에서 하체를 흔드는 성적인 춤을 추는 건 일종의 모욕감을 안겨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노인에 이어서 싸이는 여자들에게 신사의 탈을 벗어버린 속내를 보여준다. 런닝머신을 타고 있는 여자에게 다가가 속도를 높여 넘어뜨리고, 커피를 마시는 여자에게 컵을 쳐 커피를 얼굴에 쏟게 만들며, 도서관에서 방귀를 뀌어 그걸 여자 얼굴에 냄새를 뿌리고, 앉는 여자의 의자를 빼서 넘어뜨리고 일으켜주는 척 하면서 잡아당기는 행위나, 오일을 발라주다가 수영복 끈을 잡아당기는 행위들은 신사의 틀을 벗어난 장난기 가득한 본능을 드러내는 것들이다.

 

‘젠틀맨’이라면 응당 배려해야할 노인과 여성에 대한 노골적인 모욕은 노는 아이들의 공을 빼앗아 뻥 차리고 좋아하는 장면이나, 화장실이 급해 엘리베이터를 탄 사람을 놀리며 층마다 버튼을 눌러놓는 장면마저 그저 소소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싸이가 이런 파격적인 장면들과 노래가사를 통해 전하려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괜히 신사인 척 폼 잡지 말라는 얘기다. 포장마차에서 노골적으로 욕망을 드러내며 가래떡을 칭칭 감고 먹는 싸이나 그 앞에서 소스를 바른 어묵을 야릇하게 빠는 가인, 그리고 맥주를 흔들어 온통 주변을 젖게(?) 만드는 장면들 속에는 그래서 신사 이면에 자리한 성적 환상들을 거침없이 끄집어낸다.

 

‘젠틀맨’에 대한 반응이 극과 극으로 나뉘는 것은 그래서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 도발적인 풍자는 받아들이는 입장에 따라서 속이 시원해질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속이 불편해질 수도 있다. 물론 이 반응은 또한 싸이의 신곡에 대해 엄청나게 커진 기대감(‘강남스타일’ 때는 전혀 없었던!)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도 있다. 무언가 음악적으로 새로운 것을 기대했다면 실망감을 느꼈을 수 있다. 그것은 ‘젠틀맨’이라는 곡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젠틀맨’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싸이가 늘 해왔던 그런 곡 중 하나일 뿐이다.

 

음악적으로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또 스스로도 얘기했듯이 ‘강남스타일’을 뛰어넘을 수는 없는 곡이지만, 뮤직비디오가 보여주듯이 그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분명 파격적이고 도발적이다. ‘젠틀맨’은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다시는 보기 싫은 그런 곡일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지극히 싸이 다운 것이기도 하다. 싸이는 늘 그래왔듯이 격식을 벗어던지고 한바탕 놀아보자는 그 얘기를 하며 하체를 돌리는 시건방춤을 추고 있다. B급 풍자와 선정성이라는 아슬아슬한 줄 위에 서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