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인과 아벨’, 의드의 경계를 넓히다

의학드라마가 힘을 발하는 이유는 도시 속에서 그 병원이라는 공간이 주는 특별한 의미 때문이다. 야생의 도전을 인공의 안락함으로 변모시킨 도시적 삶 속에서, 생과 사의 문제가 가장 치열하게 드러나는 공간이 바로 병원이다. 과거 야생에서 삶을 도전 받았던 삶과 달리, 도시인들의 삶은 병원에서 시작해 병원에서 끝난다 해도 이제는 그다지 틀린 얘기가 아닌 시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의학드라마라고 하면 병원이라는 공간에 포획되는 것이 당연할까. 어찌 보면 당연해 보이는 이 질문은 그러나 ‘카인과 아벨’을 만나면 한갓 고정관념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카인과 아벨’은 병원 밖에서도 의드의 묘미를 느끼게 해주는 드라마다.

이초인(소지섭)의 전공이 응급의학과라는 사실은 이 의드가 그리는 공간이 단지 병원 내 응급실이라는 공간을 넘어선다는 것을 암시한다. 병원 밖에서도 얼마든지 응급 상황은 있게 마련이고 그것은 의드가 주목하는 생과 사의 긴박한 순간들을 응급실 바깥에서도 그려낼 수 있게 해준다.

바로 이 점은 그다지 중요한 것처럼 느껴지지 않지만, 실상은 여러 장르들이 뒤섞이게 되는 ‘카인과 아벨’에서는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 수 없다. 만일 이초인이 중국에서 기억상실의 시간 속에 액션 드라마를 보여주고 있을 때, 그가 가진 응급의학이라는 경력이 없다면, 한편으로 병렬적으로 이어지는 국내에서의 병원이야기(그리고 앞으로도 이어질)와의 봉합은 매끄럽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초인은 중국의 야생 상황에서도 병원에 갈 수 없는 탈북자인 오영지(한지민)를 수술해주고, 기억상실이 된 채 탈북자 신세가 되어 쫓기는 상황에서도 동료를 야생에서 수술해준다. 그는 병원 바깥에서도 여전히 의사라는 입장을 버리지 않고 있으며, 수술대 앞이 아니라도 메스를 든다.

재미있는 것은 바로 그의 사람을 살릴 수 있는 능력은 거꾸로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능력으로 변모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중국 공안에 잡혀 수용소에서 거구와 벌이게 되는 죽음의 대결에서 오강철(박성웅)은 이초인에게 이렇게 말한다. “너같이 사람을 살릴 수 있는 사람은 절대로 때려서는 안 되는 곳이 있지. 거길 때려라.” 이것은 의드의 새로운 변용이다.

물론 ‘카인과 아벨’은 후에 다시 병원이라는 공간으로 돌아와 본격적인 의드의 이야기를 이어갈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도 이초인의 응급의학이라는 전공은 형인 이선우(신현준)의 뇌의학과 병원 내 권력 구도를 두고(물론 그 밑에는 복수극의 전제가 깔릴 것이 분명하다) 각을 세울 것이다. 이 점에서도 응급의학이라는 이 의드의 새로운 선택은 탁월했다 생각된다.

지금까지 의드의 선택은 거의 대부분이 그 중심에 외과(그 중에서도 흉부외과)를 두고 있었다. ‘하얀거탑’이 ‘외과의사 봉달희’가 그리고 ‘뉴하트’가 그랬다. 이렇게 된 데는 외과가 가장 생명과 직결되고 힘겨운 과이면서도, 바로 그렇기 때문에 외면받는 과로서 의학의 본령을 건드릴 수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제 의드의 계보를 세울 수 있을 정도가 된 상황에서 의드는 어떤 변화가 필요한 게 사실이다. 그것은 새로운 장르와의 결합이 될 수도 있고, 의학의 새로운 분야가 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카인과 아벨’은 이 두 가지를 응급의학의 선택을 통해 넘어서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의학, 멜로, 액션, 정치, 휴머니티까지 봉합하려는 ‘카인과 아벨’

장르 속에서도 새로운 것을 찾기 때문일까. 아니면 완전히 새로운 장르의 시도가 갖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백화점식 나열일까. 장르 드라마들은 한 가지 이상의 장르를 봉합하며 진화해 왔다. ‘하얀거탑’은 의학드라마에 법정드라마와 정치드라마를 칵테일했고, ‘외과의사 봉달희’는 의학드라마에 멜로드라마를 성공적으로 봉합했다. ‘개와 늑대의 시간’은 액션드라마에 가족드라마의 관계망을 접목해 한국형 느와르를 선보였다. 그렇다면 ‘카인과 아벨’은 어떨까. 놀랍게도 이 드라마는 이 모든 장르 드라마들의 디테일들을 하나로 끌어 모으고 있다.

‘카인과 아벨’에는 ‘하얀거탑’이 가진 권력대결구도가 있다. 그것은 이초인(소지섭)으로 대변되는 응급의학 센터와 이선우(신현준)로 대변되는 뇌의학 센터 건립을 두고 벌어지는 권력의 충돌이다. ‘하얀거탑’에서 긴장감 넘치게 그려졌던 투표 장면은 이 드라마에서도 여전히 효력을 발휘한다. 한편 ‘카인과 아벨’은 의드로서 ‘외과의사 봉달희’가 가진 멜로드라마와 휴먼드라마의 요소도 숨겨져 있다. 형제의 한 여자를 두고 벌어지는 삼각관계와 새롭게 멜로의 축으로 들어올 오영지(한지민)가 멜로드라마의 구도를 이루고 있고, 한편으로는 인술을 향해 달려가는 이초인의 휴머니티가 기술에 편향된 이선우와 대결구도를 이룬다.

‘카인과 아벨’에는 또한 ‘개와 늑대의 시간’의 그림자도 어른거린다. 이 드라마는 의드이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그 권력 대결구도의 극한으로 끌어올려지면서 액션드라마와 복수극의 양상을 띄기도 한다. 재미있는 것은 여기에 기억의 문제를 끼워 넣었다는 것이다. 이초인의 탄생이 교통사고로 뇌사상태에 빠진 어머니로부터 꺼내지는 것이나, 자신을 아버지처럼 키워준 이종민 원장(장용)이 뇌사상태에 빠져있었던 것, 그리고 자신도 음모에 빠져 기억상실에 빠지는 것이 그렇다. 무엇보다 이 의학드라마에서 그 분야로 잡고 있는 것이 뇌 의학이라는 점은 이 드라마가 그만큼 기억에 천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물론 ‘개와 늑대의 시간’이 그려낸 기억의 문제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겠지만, 일정부분 모티브가 연결되어 있는 것은 부정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카인과 아벨’은 이처럼 꽤 많은 장르 드라마들의 속성들을 끌어들이고 있으며, 그 봉합은 현재까지는 꽤 성공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판단된다. 화두로서 제시했듯, 이렇게 많은 장르적 요소들을 한 틀 안으로 끌어 모은 데는 이제는 장르적 재미에만 머무는 것만으로는 어딘지 부족하게 되어버린 현 드라마 소비층들의 높아진 안목에서 기인된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장르 드라마라는 아직까지도 여전히 낯선 그 틀에 전통적인 드라마의 형식을 접목하면서 생겨난 것일 수도 있다. 모쪼록 그 장르 실험이 백화점식 나열에 그치거나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기를 기대하는 것은 그 시도가 작금의 정체된 장르 드라마들에 꽤 괜찮은 의미를 던져주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