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가 키워낸 송중기, 소년 얼굴의 상남자

 

군 제대 후 바로 찍은 드라마라서 그럴까. 아니면 군 생활을 통해 갖게 된 새로운 면모일까. KBS <태양의 후예>의 송중기는 확실히 다른 느낌을 준다. 물론 2011년 찍었던 <뿌리 깊은 나무>에서 이도 역할로 의외의 강단을 보여줬던 그다. 2012<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 남자>에서도 웃는 얼굴 뒤로 쓸쓸함을 느끼게 해줬던 그였다. 하지만 <태양의 후예>의 송중기에게서는 강한 남자가 갖는 여유 같은 것이 느껴진다.

 


'태양의 후예(사진출처:KBS)'

이미 <성균관 스캔들>에서부터 꽃미남이라 불렸던 그 소년의 얼굴은 여전하지만 아마도 군대에서 만들어졌을 그의 몸은 군살 하나 보이지 않는 상남자의 그것이다. 칼 하나를 들고 북한 군과 대치해 싸우는 장면이나, 맨 몸으로 덩치가 두 배는 되어 보이는 미군과 맞붙는 장면에서는 그의 거친 면모가 도드라진다. 웃을 땐 소년 같은 얼굴이지만 자못 진지해지는 대목에서는 남자의 진중함이 묻어난다. 소년 얼굴의 상남자. <태양의 후예>가 송중기를 통해 그리려고 하는 유시진이라는 군인 캐릭터에 딱이다.

 

멜로드라마에서 남자 캐릭터는 절대적이다. 그 캐릭터의 면면은 그래서 당대의 이상적인 남성상을 지향할 수밖에 없다. <태양의 후예>가 유시진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제시하는 이상적인 남성상은 늘 상처 입고 피를 흘리며 일터(?)에서 전쟁을 치르는 남자지만 여자 앞에서는 그토록 부드러울 수 없는 그런 남자다. 오랜만에 만난 여자가 내 생각 많이 했어요?”라고 묻자, “많이 했죠. 남자답게.”라고 말하는 그런 남자.

 

하지만 군인이라는 직업은 갑자기 걸려온 출동 명령 전화 하나로도 그를 굳게 만들어버린다. 영화를 보러 왔다가 전화 한 통에 먼저 영화관을 나서는 유시진은 그래서 결코 다가서기 쉽지 않은 인물이다. 여기에 강모연(송혜교)이 의사라는 점은 군인 유시진과 직업적으로 부딪치는 면을 만들어낸다. 그녀는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는 일이 직업이다. 하지만 유시진은 무고한 사람들을 지켜내기 위해 누군가를 죽일 수도 있는 직업을 갖고 있다. 의사로서 생명은 누구에게 존엄하고 지켜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강모연이 유시진에게 이별을 통보하는 이유다.

 

그렇지만 유시진과 강모연이 다시 우르크에서 만나게 되면서 이 군인과 의사라는 직업의식은 그들 사이에 벌어질 화학작용으로 흔들릴 수밖에 없게 되었다. 명령에 복종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일로 생각하는 군인으로서의 유시진의 행보는 모든 생명을 중요하게 여기는 의사로서의 강모연과 부딪치겠지만 그러면서 서로가 지켜주고 치료해주는 관계로 발전해갈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시 중요해지는 것이 유시진이라는 캐릭터다. 사실상 우르크라는 거친 분쟁 지역은 유지진이라는 캐릭터를 공간화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멜로드라마는 그래서 거친 남자들의 전쟁 같은 삶 속에서 그 반대급부로 피어나는 강렬한 사랑의 감정을 다루고 있다. 유시진이 전쟁과 사랑을 모두 껴안는 이미지를 가져야 하는 이유다.

 

그 거침과 부드러움을 모두 겸비한 존재로서 송중기는 확실히 독보적이다. 과거의 그 꽃미남의 얼굴이 이제는 상처가 나도 잘 어울리는 단단함을 갖게 됐으니 금상첨화다. <태양의 후예>는 이 송중기가 가진 미소년과 상남자의 면면이 가진 힘만으로도 충분히 몰입하게 만드는 드라마가 되고 있다

<태양의 후예>, 바쁜 의사와 빡센 군인의 로맨스로 펄펄

 

의사면 남친 없겠네요. 바빠서.” “군인이면 여친 없겠네요. 빡세서.” KBS 새 수목드라마 <태양의 후예> 첫 방송은 김은숙 작가의 작품답게 거침이 없었다. 첫 회에 유시진(송중기)과 강모연(송혜교)이 만나고 가까워지는 과정이 물 흐르듯 빠르게 전개되었고 또한 서대영(진구)과 윤명주(김지원)의 계급이 다른 군인들 간의 관계는 향후 전개될 두 사람의 이야기에 궁금증을 자아내게 하기에 충분했다.

 


'태양의 후예(사진출처:KBS)'

바쁜 의사와 빡센 군인의 로맨스. 사실 멜로드라마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목됐던 것이 극성이 약하다는 점이라면 왜 <태양의 후예>가 이 같은 의사와 군인의 로맨스를 다뤘는가가 이해될 법도 한 부분이다. 사극을 빼놓고 보면 현대극에서 가장 극성이 강한 장르가 의학드라마와 전쟁드라마가 아닌가. 물론 최근에는 연쇄살인범이 등장하는 스릴러 장르가 힘을 발휘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멜로드라마가 스릴러를 덧붙이기는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관계와 갈등이 상처를 넘어서 죽고 사는 문제와 연결되는 직업군으로 의사와 군인만큼 센 극성을 만드는 인물군도 없을 것이다.

 

그러니 이미 첫 회가 충분히 입증한대로 총알이 날아다니고 칼부림이 다반사인 전쟁터가 일터가 된 유시진과 역시 생사가 오가는 응급실이 일터인 강모연의 만남은 강렬할 수밖에 없다. 그저 평범하게 만나서 감정을 나누는 식의 일상적인 멜로드라마가 아니라 전쟁터를 오가는 이들의 멜로드라마다. 갑작스런 긴급 상황에 데이트 약속을 미루고 떠나는 유시진이 강모연에게 병원 건물 옥상에서 헬기를 타고 떠나기 전 다음 데이트 약속을 하는 장면은 이 멜로드라마가 가진 특별한 스케일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마치 슈퍼히어로물에서 지구를 구하러 떠나는 듯한 남자 주인공과 그를 보내는 여자 주인공의 모습을 보여주는 듯한.

 

향후 이 드라마는 우르크라는 총알이 날아다니는 가상의 낯선 땅에서 벌어지는 군인과 의사들의 사랑 이야기를 담을 것이라고 한다. 첫 회 마지막 장면에서 아프가니스탄의 분쟁지구로 날아가는 비행기가 보여주는 것처럼 이 드라마는 그 성격상 스펙터클을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많은 블록버스터 드라마들이 스펙터클에 치중하다 엄청난 투자비에도 불구하고 실패했던 그 전철을 적어도 이 드라마만큼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전쟁과 사랑이라는 거대한 스케일의 스펙터클 속에서도 김은숙 작가의 확고한 지향점은 결국 사랑과 휴머니즘 같은 사람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드라마의 블록버스터란 볼거리가 아니라 그 인물과 스토리의 촘촘함에서 나오는 것이란 걸 이 멜로의 대가는 잘 알고 있다. 군인이라는 여성들에게는 조금은 낯선 남성적인 등장인물을 세우면서도 첫 회부터 달달한 로맨스의 설렘을 만들어내는 건 이 작가가 가진 공력을 실감하게 한다.

 

여기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송중기, 송혜교, 진구, 김지원의 대본을 맛깔스럽게 살려내는 연기다. 군 제대 후 더 남성적인 매력을 보여주는 송중기와 귀여우면서도 당찬 매력의 송혜교, 그리고 진지한 남성의 향기가 느껴지는 진구와 톡톡 쏘는 차가움과 뜨거움을 동시에 갖고 있는 듯한 김지원의 괜찮은 조합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케이블 드라마의 성장으로 최근 지상파 드라마들은 그 위기의식이 확실히 높아졌다. 하지만 적어도 <태양의 후예>만큼은 지상파 드라마의 자존심을 제대로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 커진 스케일과 멜로와 액션이 넘나드는 스토리. 그리고 지상파 드라마 시청자들이 좋아하는 요소들을 가져오되 그것을 세련되게 구사하는 대본. 어쩌면 이 드라마는 위기에 빠진 지상파 드라마의 대안을 보여줄 지도 모르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