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시대의 '먹힐까', 파스타도 배달이 가능해?

 

사실 배달의 천국인 우리에게 배달 안 되는 음식이라는 게 있을까 싶지만 의외로 꺼려지는 한 가지가 파스타다. 주로 피자 같은 걸 시키면 사이드 메뉴로 살짝 추가되기도 하지만, 막상 그렇게 배달된 파스타를 먹어보면 말라버려 뚝뚝 끊기는 경우도 많고 간이 맞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데 과연 이 파스타를 배달음식으로 성공시킬 수 있을까.

 

tvN 예능 <배달해서 먹힐까?>는 과거 태국, 중국, 미국 등지에서 우리식의 음식이 먹힐 것인가를 실험했던(?) <현지에서 먹힐까>의 새로운 도전이다. 알다시피 코로나19로 인해 해외로 나가거나 인파가 몰려 음식을 먹으며 리액션 영상을 잡는 건 불가능해졌다. 감염병 전파를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 세계적인 캠페인으로 벌어지고 있어서다.

 

하지만 제작진은 이 상황의 역발상을 아이디어로 내세웠다. 이른바 비대면, 비접촉으로 이뤄지는 언택트 문화를 가져온 색다른 쿡방과 먹방을 시도해 보여주겠다는 것. 식당에서 영업을 하는 게 어려우니 배달을 콘셉트로 가져왔고, 그 배달음식으로서 과연 가능할까 싶은 파스타를 내세웠다.

 

불가능할 것 같지만 다행스럽게도 이태리 요리 장인 샘킴 셰프가 합류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첫 방에 나온 샘킴 셰프가 이끌고 안정환, 윤두준, 정세운이 함께 하는 주방의 일사분란한 모습은 파스타 배달도 충분히 가능하고, 심지어 촉촉한 면발을 배달하는 동안까지 유지시킬 수도 있다는 걸 확인시켜줬다.

 

배달음식의 특이성은 여러 메뉴를 주문했을 때 동시에 나갈 수 있게 시간을 딱 맞춰 조리해야 한다는 것이고, 또 배달될 주소지와의 거리를 계산해 그 이동거리에 맞춰진 요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샘킴 셰프는 여러 음식 프로그램에서 보였던 것처럼, 특유의 섬세함을 잃지 않는 파스타를 선보였고, 배달한 후에도 촉촉한 맛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게다가 파스타에 짝꿍으로 피자도 메뉴에 올라 윤두준이 전담하게 함으로써 가게의 구색이 갖춰졌다. 처음 시도해 실패를 겪었지만 점점 익숙해진 윤두준의 피자는 손님들의 호평에 힘입어 갈수록 좋아지는 느낌이었다. 샘킴 셰프에 그림자처럼 붙어 보조해주는 안정환과 주문과 포장을 전담하는 정세운의 역할도 분명했다. 그냥 출연한 게 아니라 저마다 음식과의 연결고리가 있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안정환은 이태리에서 선수로 뛰었고, 윤두준은 <식샤를 합시다>에서 먹방을 선보였으며, 정세운은 배달앱 VIP였다.

 

물론 요리를 하는 과정도 흥미롭지만 <먹힐까> 시리즈의 가장 중요한 백미는 역시 음식을 먹는 손님들의 리액션이 아닐 수 없다. 언택트를 콘셉트로 하고 있어 모든 메뉴를 배달로 하는 상황에 제작진이 리액션 영상으로 채택한 건 '온라인 소셜 다이닝'이었다. 인터넷에 여러 창을 띄워놓고 배달을 받은 음식을 먹는 이들이 함께 대화도 나누고 음식 맛도 평가하는 것. 결국 직접적인 접촉은 없지만, 화상으로 대신하는 리액션이 채워졌다.

 

사실 '온라인 소셜 다이닝'이 만들어내는 리액션 영상은 지금껏 <먹힐까> 시리즈가 보여줬던 것들과 비교해 보면 약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여러 창이 띄워져 있어 다소 복잡해 보이는데다, 그 영상도 제작진이 찍은 게 아니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나 촬영이 나오기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간 해왔던 외국인들의 먹방이 주는 볼거리도 사라졌다. 저들은 우리 음식을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궁금증과 호기심이 빠져버린 것.

 

코로나 19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언택트를 선택된 것이지만 여러모로 아쉬운 부분이 많아질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이 <먹힐까> 시리즈의 스핀오프로 시도되는 <배달해서 먹힐까?>의 관건은 이 리액션 부분을 어떻게 더 생생하고 긴장감 넘치게 만들까 하는 점이다. 그리고 이 부분은 제작진 역시 충분히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채워주기 위해 미슐랭급 현지 셰프의 시식 장면을 다음 주 예고에 넣을 정도로. <배달해서 먹힐까?>는 그래서 그 제목 같은 궁금증을 갖게 만든다. 과연 언택트로 시도된 이 스핀오프는 시청자들에게 먹힐까.(사진:tvN)

'골목식당', 라면 하나 못 끓이면서 분식집은 왜 여나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던 백종원은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식당을 하라고 부추기는 것이 아니라 “준비 없으면 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성내동 만화거리의 식당들을 보면 왜 백종원이 그런 이야기를 했는가가 이해된다. 이렇게 준비가 하나도 안 된 식당들이 덜컥 장사에 뛰어들고 있으니 말이다.

해외에서 요리를 공부하고 돌아와 와인집을 낸 동생의 제안으로 5년 동안 근무하던 어플회사를 그만두고 피맥집(피자맥주집)을 오픈한 7개월차 초보 사장은 자신의 가게의 정체성이 피자집인지 맥주집인지조차 잘 모르고 있었다. 본인은 맥주집이라고 했지만, 메뉴판을 보면 맨 앞장에 피자 메뉴가 들어가 있어 누가 봐도 피자집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정작 가게 전면은 맥주병들이 인테리어랍시고 그냥 널려 있어 전혀 피자집으로 보이지 않았다. 결국 이 집은 손님이 별로 없는 이유가 그 정체성조차 애매하기 때문이었다.

또 시그니처 피자라고 해서 시켜놓고 보니 토핑이 보이지 않고 토마토소스만 위에 발라져 있었다. 나름 아이디어라고 토핑들을 안쪽에 넣고 위 아래로 도우를 덮어 구워낸 것이지만, 백종원은 그 비주얼만 봐서는 “주문 안할 것 같다”고 말했다. 맛 역시 밀가루맛과 소스 맛이 강해 재료들이 어우러지지 않고 겉돈다고 했다. 결론은 맛이 없다는 것. “최악”이라고 백종원은 최종 평가했다.

짬뽕이 대표메뉴라는 중식집에서는 탕수육 고기에서 나는 냄새의 원인이 잘못된 해동과정에 있었다는 게 밝혀졌다. 냉동 돼지고기를 가져와 비닐을 벗기고 물에 해동을 하기 때문에 세균에 노출될 위험이 커졌던 것. 결국 그 때 그 때 소진되지 않는 재료는 더 빨리 상할 수 있었다. 냄새는 거기서 비롯된 것이었다. 또한 짬뽕의 국물 맛이 제대로 나지 않는 이유가 육수를 온장고에 보관하는 것과 조리 후 바로 음식을 내놓지 않을 때 무쇠 웍에서 나는 냄새라는 걸 백종원은 알려줬다.

생각해보면 보통의 피자맛을 제대로 내지 못하면서 아이디어라고 엉뚱한 방식으로 피자를 만드는 피맥집 사장이나, 꽤 장사를 해왔음에도 잘못된 습관이 하나 둘 합쳐져 제대로 된 짬뽕국물 맛을 못 내고, 심지어 쉰내가 나는 탕수육을 내놓은 중식집 사장이나 준비가 안 되어 있는 건 마찬가지였다. 이러니 장사가 될 리가 있을까.

하지만 더 심각한 집은 분식집이었다. 집에서 아이들이 맛있다고 해서 덜컥 창업까지 하게 된 분식집 사장님은 장사의 현실을 잘 모르고 있었다. 그래서 백종원이 내놓은 미션은 손님들을 두 조로 나눠 장사의 ‘천국(환상)’과 ‘지옥(현실)’을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었다. 느긋하게 타이밍을 맞춰 주문하는 손님들을 맞으며 기분 좋아하던 분식집 사장은, 한꺼번에 여러 개를 동시에 시켜대는 손님들 앞에서 당황하며 땀을 뻘뻘 흘릴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라면을 끓이는 방식이 특이했다. 물을 먼저 끓이는 게 아니라 찬물에 스프와 면을 동시에 다 집어넣고 뚜껑을 닫은 채 딱 3분 타이머가 돌아가는 동안 끓여서 그냥 내놓는 방식이다. 한때 백종원이 요리 프로그램에서 했던 말처럼, 라면을 가장 맛있게 끓이는 방법은 거기 봉지에 적혀있는 대로 끓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찬물에 면까지 넣어 끓이면 퍼질 가능성이 높다. 적어도 면발을 쫄깃하게 하려면 뚜껑을 열고 면을 몇 번쯤은 들었다 놨다 해야 된다.

그런데 분식집 사장님은 2인분을 시켜도 4인분을 시켜도 한꺼번에 스프와 면을 다 집어넣고 3분 타이머를 돌리는 식으로 라면을 끓였다. 그러다 보니 면이 풀어지지 않은 채 그냥 그릇에 담겨져 나오기도 하고, 물이 쫄아 버려 짜게 되면 뜨거운 물을 넣어 간을 맞추는 식으로 라면을 내놓기도 했다. 사실 분식집에서 라면은 기본 중에 기본이 아닌가.

백종원이 분식집 사장에게 장사의 환상과 현실을 오가며 경험하게 해준 건, 어쩌면 그 분만을 위한 미션은 아니었을 게다. 그건 너무 쉽게 창업을 생각하는 우리네 현실에 경각심을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도대체 피자 하나 못 만들면서 피자집을 내고, 라면 하나 제대로 끓이지 못하면서 분식집을 내는 용기는 어디서 나온 걸까. 결국 장사가 안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그런 처지가 된 건, 아무런 준비 없이 막연한 환상으로 뛰어드는 창업 그 자체 때문이 아닐까. (사진:SB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