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인어, 도깨비... 초현실적 판타지에 빠진 멜로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2. 14. 09:23
드라마가 펼치는 상상의 나래, 어디까지 갈까 드라마는 현실의 반영이다? 그렇다면 초현실적인 판타지는 어떻게 현실을 반영할까. 올 한 해 드라마의 한 경향이라고 볼 수 있는 특징 중 하나가 초현실적인 판타지를 만난 멜로다. tvN 이 사랑하는 여자의 미래를 보는 능력을 가진 남자주인공의 멜로를 그렸고, MBC 는 웹툰 속 주인공을 사랑한 여자주인공의 멜로를 그렸으며, JTBC 이나 tvN 는 마녀, 귀신과 사랑에 빠진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다뤘다. 그러고 보면 올해의 대미를 인어가 등장하는 SBS 과 도깨비가 등장하는 tvN 가 장식하고 있다는 건 꽤나 상징적으로 다가온다. 멜로드라마가 초현실적인 존재들을 등장시켜 그들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하게된 건 우선 드라마의 이야기성이 점점 더 상상의 나래를 펴기..
-
'낭만닥터', 진실 은폐하는 갑질사회에 대한 일침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2. 14. 09:21
, 의사의 윤리를 묻다 ‘병사.’ 사망진단서에 적혀 있는 이 글자가 예사롭지 않다. 군대 내에서의 구타가 의심되는 환자임에 분명하지만 거대병원 원장인 도윤완(최진호)은 주치의인 강동주(유연석)에게 ‘병사’라 적힌 사망진단서를 내밀었다. 그 사망진단서 맨 밑에는 강동주라는 이름이 적혀 있다. 거기에 사인만 하면 환자는 ‘병사’로 처리되어버린다. 물론 이런 양심 없는 행위에는 도윤완 원장이 말하는 ‘보상’이 따른다. 병원 내에서의 지위나 지원금 같은 것들. 의사로서의 성공을 목표로 갖고 있던 강동주는 흔들린다. 물론 돌담병원으로 오게 되면서 김사부(한석규)를 만나고 진정한 의사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했지만 돈과 권력 앞에 그는 여전히 갈등한다. SBS 월화드라마 는 의사의 양심과 윤리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노후된 주말예능, 음악 혹은 추억이 된 까닭옛글들/명랑TV 2016. 12. 13. 12:01
지상파 주말예능의 시대, 이미 저물어가고 있다 KBS 가 15.5%(닐슨 코리아)의 시청률을 낸 건 단연 덕분이다. 도 여전히 10% 정도의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은 순간 시청률이 23.4%까지 오를 정도로 전방위에서 끌어주고 있기 때문. 이 날 이 이런 힘을 발휘한 건 ‘김종민 특집’으로 원년멤버로서 지금까지 이 프로그램을 이끌어온 김종민에 대한 헌사가 뭉클한 감동을 선사해서다. 하지만 의 이러한 선전은 어딘지 쓸쓸한 느낌을 주는 게 사실이다. 무려 10년을 이어온 예능 프로그램이 앞으로 나가며 무언가 새로운 시도들을 하기 보다는 과거의 추억을 회고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같은 장수 프로그램에서 김종민 같은 원년멤버에 대한 헌사는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의 이런 면면이 한 때..
-
꾸준한 유민상, 어느새 '개콘'의 중심에 서다옛글들/명랑TV 2016. 12. 13. 11:58
흔들리는 , 그래도 유민상이 있다 “뭘 하든 국민들은 다 불만이 있기 마련이에요. 집값이 오르면 오른다고 불만. 내리면 내린다고 불만. 이게 다 사회 불만세력들 때문이야. 가만히 보면 평양에서 내려온 간첩이 있어. 간첩이!” KBS 의 시국풍자 개그 ‘대통형’에서 총리 역할을 유민상은 총리 역할을 연기한다. 불쑥 색깔론을 드러내는 총리 유민상에게 철없는 대통령 서태훈이 묻는다. “평양냉면 좋아하세요?” 그렇다고 하자 이어지는 말. “간첩이네.” 사실 ‘대통형’의 이런 대사들은 그 자체로 웃음을 주는 건 아니다. 하지만 그 대사가 어디선가 익숙하게 들었던 것들이고 그것이 분통을 터트리게 했었던 이야기들이라는 걸 떠올리고 나면 그런 이야기를 하는 총리에게 한 방 먹이는 대사는 통쾌해진다. 여기서 중요한 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