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라 들어간 프로그램 왜 다 잘될까

 

어째서 김구라가 들어간 프로그램은 다 괜찮은 반응을 얻을까. 그가 출연하고 있는 MBC <복면가왕><아빠 어디가>가 폐지된 후 고개를 숙였던 <일밤>을 새롭게 세우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나들이철 주말 예능 시청률이 전체적으로 빠지는 상황에서도 <일밤>은 상승세를 계속 타더니 결국 두 자리 시청률을 넘어섰다.

 

'복면가왕(사진출처:MBC)'

시청률도 시청률이지만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완전히 차별화된 콘셉트로 <복면가왕>은 주목받고 있다. 얼굴을 내밀고 알리는 것이 오디션 형식의 전형적인 특징이지만 이 프로그램은 가면을 씌움으로써 오히려 그 출연자에 대한 호기심을 높여주었다. 1, 2대의 복면가왕으로 자리했던 황금락카 두통썼네의 정체가 걸 그룹 에프엑스의 루나였다는 사실은 그 자체만으로도 큰 화제가 되었다. 가면이 오히려 아이돌이라는 편견을 깨주는 역할을 해준 것. <복면가왕>이 이렇게 상승세를 타게 된 것은 새로움때문이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역시 그 새로운 형식 때문에 주목받는 프로그램이다. 개인방송을 끌어안은 지상파 프로그램으로서 다양한 출연자들이 저마다의 방송을 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화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그 자리에는 여지없이 김구라가 앉아 있다. 그는 과거 자신이 했었던 인터넷 방송의 경험을 되살려 매번 새로운 아이템으로 방송을 시도하고 있다. 지난 번 허구연을 게스트로 초대해 야구 방송을 했다면 이번에는 유명 역사강사인 이다지를 초대해 역사를 소재로 방송을 시도했다.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역시 관찰카메라 형식과 스튜디오 토크쇼의 접목으로 괜찮은 화제를 모으고 있는 프로그램. 여기에도 여지없이 김구라가 앉아 있다. 그는 때로는 유재석과 또 때로는 출연자들과 각을 세움으로써 프로그램을 더욱 흥미진진하게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다. 그저 훈훈하게만 흘러갈 수 있는 프로그램에 긴장감을 부여하는 것이 그의 역할이다.

 

흥미로운 일이지만 김구라가 들어가 있는 프로그램들을 보면 기존의 프로그램들과는 차별화된 혁신적인 프로그램들이 많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그것이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면 김구라의 촉인지는 물론 알 수 없다. 하지만 지금껏 그가 출연해온 프로그램들이 예능의 프론티어에 계속 자리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라디오스타>는 게스트를 배려하지 않고 시청자만을 배려하는 중심 없는 토크쇼로서 당시만 해도 혁신적인 예능 프로그램이었고, JTBC <썰전>은 정치 시사와 대중문화라는 영역을 예능으로 끌어안은 독특한 프로그램이었다. 관찰카메라 시대의 새로운 형식으로서 <동상이몽>이나, 개인방송 시대의 <마이 리틀 텔레비전>, 그리고 포스트 오디션 시대의 <복면가왕>에 그가 있다는 건 이런 흐름이 단지 우연만은 아니라는 걸 말해준다.

 

이것은 어쩌면 김구라는 인물의 캐릭터에서 기인하는 일일 수 있다. 그는 우리네 예능이 걸어온 길에서 겪을 수 있는 많은 질곡들을 하나하나 겪으며 살아낸 인물이다. 생활고에 힘들 때는 독한 인터넷 방송을 했었고, 방송이 리얼을 요구할 때 지상파로 들어와 독설을 무기로 가진 리얼 토크쇼를 전면에서 이끌었다. 최고의 주가를 올리고 있을 때 터진 과거 인터넷 방송의 발언이 논란이 됐을 때 그는 선선히 모든 프로그램에서 자진 하차했고 다시 돌아와서는 <썰전> 같은 새로운 형식의 예능에 자신을 세웠다.

 

이것은 김구라가 들어갔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잘된 면도 있지만 그가 프로그램을 워낙 잘 선택한 데서 생겨난 일이기도 하다. 어떤 새로운 흐름을 간파하고 즉각적으로 거기에서의 자기 역할을 찾아내는 그의 촉. 이것은 어쩌면 급변하는 트렌드 변화 속에서 앞으로 방송인들이 가져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인지도 모르겠다.

 

백종원, 사업가 소유진 남편 그리고 서글서글 요리사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의 최종 우승자는 요리사 백종원에게 돌아갔다. 6명의 출연자가 전후반으로 나뉘어 인터넷 개인방송을 하고 그 시청률이 가장 높은 사람을 우승자를 가리는 이 프로그램에는 백종원을 포함해 김구라, 정준일, 홍진영, 김영철, AOA 초아가 참여했다. 전반전에는 중간 순위 정도의 시청률을 내던 백종원이 후반전에 이르러 우승자가 된 원동력은 뭘까.

 

'마이 리틀 텔레비전(사진출처:MBC)'

물론 쿡방과 먹방을 오가는 그 콘셉트가 최근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다는 점이 요리 방송을 보여준 백종원을 유리하게 작용한 면이 있지만 거기에는 또한 단지 그것만으로 단정할 수 없는 그만의 매력이 있었다. 샘킴이나 최현석 셰프처럼 최근 일련의 쿡방으로 주목받는 셰프들이 젊고 잘 생긴 훈남들이 대부분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차라리 동네 아저씨 같은 푸근한 외모의 백종원에게 이토록 열화와 같은 반응이 쏟아진 건 이례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보여준 백종원의 개인 방송은 그만의 구수하게 고급진쿡방의 매력을 보여주었다. 이런 방송 자체가 익숙하지 못해 어색해하면서도 요리사 특유의 자기만의 요리 노하우를 살짝 살짝 알려주는 모습과, 요리할 때 어떻게 하면 멋있게 보이는가에 대한 팁까지 백종원은 그 방송에 참여한 네티즌들의 반응처럼 준비된 방송인의 면모를 과시했다.

 

물론 여기서 준비됐다는 얘기는 무언가를 준비해왔다는 것이 아니라 요즘처럼 가식 없는 방송에 백종원 같은 인물이 잘 어울린다는 뜻이다. 계란말이를 쉽게 하는 노하우를 알려준다면서 실패하게 되자 이런 저런 변명을 늘어놓는 모습은 차라리 귀엽게까지 다가왔다. 야채를 손질할 때 자신이 쓰는 커다란 칼을 사용하는 이유가 그게 더 있어 보인다는 얘기도 여타의 요리사들이 보이는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그는 네티즌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무얼 만드는 걸 보여줬으면 하냐고 즉석에서 물었고, 거기 올라온 의견들을 반영해 요리를 해 보이는 소통의 자세도 보여줬다. 다른 출연자의 공격으로 소리가 나가지 않게 되자 스케치북에 삐뚤빼뚤 글씨로 요리에 대한 정보를 적어 보여주는 모습은 오히려 더 네티즌들을 반하게 만들었다. <러브 액추얼리>의 스케치북 프로포즈를 연상시키기도 하는 그 장면에 네티즌은 백종원의 스케치북이라는 댓글을 달아주었다.

 

무엇보다 백종원에 대한 반응이 좋았던 것은 그의 쿡방이 요리 실력을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 요리를 매개로 네티즌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그가 거기서 만든 요리들은 샌드위치, 닭볶음탕, 계란말이, 짜장 같은 일상적으로 누구나 시도해볼만한 것들이었다. 다만 그 일상 요리에 요리사로서의 자신만의 쿨팁을 알려주었기 때문에 훨씬 더 매력적으로 다가왔던 것.

 

우승을 한 백종원에게 주어진 1분 간의 자기 PR시간에 그는 아내 소유진에 대한 사랑을 재확인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사업가와 소유진 남편으로 더 알려져 온 백종원은 이 방송을 통해 서글서글한 요리사로서 시청자들에게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실로 구수한 아저씨처럼 털털하지만 자기 분야에 확실한 노하우를 가진 고급진 백종원을 재발견하는 시간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