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
'현지에서', "망했다"고 인정하는 순간 드러나는 이연복 진가옛글들/명랑TV 2018. 10. 9. 09:47
‘현지에서’ 짜장면보다 주목된 이연복 셰프의 성공 비결최근 들어 장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들도 쏟아져 나왔다. 물론 여기에는 먹방, 쿡방 같은 음식예능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그 영역을 확장하려는 시도에서 나온 영향도 적지 않다. 그 본격적인 첫 번째 시도는 tvN 이 열었다. 낯선 타국에서 음식점을 열고 외국인들을 상대로 장사를 한다는 콘셉트는, 그 개업의 과정이 주는 흥미진진한 좌충우돌과, 과연 장사가 성공할 수 있을까 라는 궁금증 그리고 무엇보다 그렇게 내놓은 한식이 외국인들에게도 먹힐 수 있을까 하는 호기심이 더해지면서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 그 후 을 패러디한 제작진의 이 제주에서 음식점을 열었고, 가 시즌1을 태국에서 촬영한데 이어 시즌2로 중국에 갔다. 사실 ..
-
'현지' 이연복, 장사란 이런 거다.. 보고 있나 '골목' 사장님들옛글들/명랑TV 2018. 9. 17. 10:16
‘현지에서 먹힐까’, 장사라면 이연복처럼tvN 는 중국에서 우리식의 중화요리가 먹힐까 하는 궁금증에서 시작되었지만, 보면 볼수록 이연복 셰프가 어떻게 자기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었을까를 들여다보게 만든다. 첫 날 중국 현지에서 내놓은 짜장면이 불티나게 팔려 나가고 결국 재료가 동이 나 빠른 퇴근을 하게 됐다는 사실에 이연복 셰프는 물론이고 출연자들 모두가 들떠 있었다. 그래서 다음 날 장사 메뉴로 짬뽕을 준비하면서 이연복 셰프는 훨씬 더 많은 재료들을 현지 시장에서 챙기도록 했다. 전날 그랬듯이 신선한 재료를 그 때 그 때 구입해 요리해 내놓는 기본이야말로 맛의 차이를 만드는 거라는 이연복 셰프의 습관화된 행보였다. 가장 쉬운 일이지만 성실하게 매일 같이 지켜내기는 결코 쉽지 않은 것, 그것이 기본이었다..
-
'현지에서' 중국인 호들갑보다 돋보인 이연복 셰프 탈권위옛글들/명랑TV 2018. 9. 10. 11:32
‘현지에서 먹힐까’ 이연복 셰프, 이러니 대가라 불릴 수밖에중국에서 우리의 짜장면이 먹힐까? tvN 예능 프로그램 중국편은 이런 궁금증에서 시작했지만 사실 그것이 대박이 날 것이라는 건 어느 정도는 예상한 결과였다. 그것은 이번 중국편에 참여한 주인공이 바로 이연복 셰프이기 때문이다. 무려 46년을 중식에 몸담았던 이연복 셰프다. 얼마나 오랫동안 웍을 잡았을까. 그가 잡은 웍으로 내놓은 요리는 셀 수도 없이 많았을 테고, 그 요리를 맛본 사람들도 어마어마하게 많았을 게다. 그런 그가 만드는 음식을 길거리에서 맛볼 수 있다니. 가게를 오픈하자마자 문정성시를 이룬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스마트폰을 보여줘야 잠잠해지는 아이가 짜장면 맛을 한 번 보고 두 번 보더니 나중에는 아예 스마트폰을 제쳐두고 짜장면에..
-
백종원, 이쯤 되면 예능 블루칩이라 불러도 무방하지 않을까옛글들/명랑TV 2018. 6. 13. 09:56
요리, 음식, 장사까지 섭렵한 백종원의 저력MBC 예능 에 등장해 독특한 쿡방을 선보일 때만 해도 백종원이 이 정도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예능 프로그램을 섭렵할 것인가를 예상하긴 어려웠다. 독특한 레시피를 선보이긴 했지만 ‘슈가보이’ 같은 과장된 CG에서 엿보였듯이 의 특성상 요리 그 자체보다는 재미적인 요소가 더 부각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tvN 예능 의 아쉬운 시즌 종영을 알리는 시점에 되돌아보면 백종원에게는 확고한 자기만의 로드맵이 있었다고 여겨지며, 무엇보다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음식에 대한 애정이 그 로드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을 통해 요리무식자들도 쉽게 요리에 친숙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고, 를 통해서는 세계 곳곳에 서민들이 즐기는 무수히 많은 음식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