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위녀’, 팽팽해진 김희선과 김선아의 대결이 말해주는 것

그저 잘 포장된 불륜극이다? 글쎄. JTBC 금토드라마 <품위있는 그녀>가 2회 동안 보여준 건 강남 부유층 집안사람들의 막장에 가까운 내밀한 삶의 이야기다. 남편이 딸의 미술선생과 바람나는 줄도 모르고 그 선생의 작품을 후원하는 우아진(김희선), 남편을 성형외과 원장으로 두어 남부러울 것 없는 유한마담으로 살아가지만 그 남편이 그녀 바로 옆에 있는 오경희(정다혜)와 내연관계라는 사실을 모르는 차기옥(유서진). 대담하게도 남편의 레지던스홀에서 바람을 피우다 직원에게 들킨 김효주(이희진)과 그녀의 불륜사실을 알면서도 방치하는 듯한 그녀의 남편 서문탁(김법래).... 겉으로 보면 품위 있는 그녀들처럼 보이지만 그 속살은 불륜과 폭력으로 얼룩진 삶이다. 

'품위있는 그녀(사진출처:JTBC)'

그래서 마치 <품위있는 그녀>는 그 부유층의 불륜을 소재로 다루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다르다. 우아진의 집으로 안태동 회장(김용건)의 간병인으로 들어온 박복자(김선아)가 이들과 만들어내는 팽팽한 대결구도 때문이다. 어딘지 어수룩한 모습으로 사투리를 쓰며 회장의 간병에 마음을 다하겠다며 이 집안으로 들어온 박복자는 이상한 낌새를 차린 첫째 며느리 박주미(서정연)가 그녀를 내보내려하자 발톱을 드러낸다. 온몸으로(?) 안회장의 마음을 빼앗아버린 박복자가 오히려 집안에서 왕따인 박주미를 곤경에 빠뜨리고, 자신보다 그녀가 “먼저 쫓겨날 수 있다”고 으름장을 논다. 결국 박복자가 안회장과 한 침대에서 자는 모습을 본 박주미와 우아진은 경악했다. 

<품위있는 그녀>가 쫄깃해진 건 바로 이 박복자와 우아진 사이에 만들어진 대결구도 때문이다. 이 안회장의 집안에서 실세로 자리해 오고 있었던 건 다름 아닌 우아진이다. 첫째 며느리가 남편의 잘못으로 안회장의 신뢰를 잃어버린 채 왕따 당하고 있는 사이, 우아진이 사실상 집안의 대소사를 선택해나가고 있었던 것. 하지만 그녀가 간병인으로 들인 박복자로 인해 이런 권력구도에 변화가 생기게 됐다. 박복자가 이 집안의 청소하는 아주머니에게 이틀은 작은 사모님의 집을 청소하라고 시킨 것에 대해 우아진이 그런 결정은 모두 자신과 첫째 며느리에게 묻고 해야 한다며 선을 긋는 장면은 그래서 향후 이 드라마의 전개에 대한 복선을 담고 있다. 안회장의 마음을 얻은 박복자가 이 집안의 실세를 잡을 수도 있다는 것. 

<품위있는 그녀>가 그저 불륜극에 머물지 않고 어떤 사회극의 느낌을 담게 된 건 바로 이 대결구도가 갖는 상징성 때문이다. 안회장의 이 집안이 보여주는 권력구도나 계급체계는 고스란히 우리 사회의 시스템을 그대로 축소해 보여준다. 돈줄을 쥐고 있는 자가 왕처럼 군림하고 자본의 힘에 의해 주인과 하녀 같은 봉건적인 권력구도가 형성되어 있는 집안. 드라마의 시작점에 박복자가 태생으로 결정되는 자신의 삶을 벗어나 그녀들 같은 ‘품위 있는 삶(?)’을 살고픈 욕망을 내레이션으로 말하는 대목은 우리 사회의 고착화된 빈부와 그로인해 결정되는 삶의 양태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박복자의 목숨 따위도 중요치 않게 여기는 폭주와 투쟁(?)은 그래서 우리 사회의 빈부로 고착된 틀을 넘어서려는 안간힘처럼 그려진다. 안회장에게서 선물 받은 고가의 명품백을 받고 백화점 화장실에서 눈물을 뚝뚝 흘리는 장면에서는, 그래서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 올라탔지만 그렇게밖에 자신을 던져야 비로소 백 하나 정도를 얻을 수 있는 그녀의 처지가 온전히 느껴진다. 이름조차 ‘박복자’가 아닌가. 박복한 사람.

그녀의 폭주는 그래서 단지 개인적인 욕망으로만 다가오지 않는다. 우리 사회가 가진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에 놓여진 거대한 장벽을 어떻게든 뛰어넘으려는 안간힘. 그리고 그녀의 시선으로 다가오는 장벽 저편의 품위를 가장한 위선적인 삶들에 대한 폭로. 물론 그 첫 장면에 그녀가 무참히 살해된 모습을 드러냄으로써 이 욕망의 끝이 비극이라는 걸 우리는 안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 과정에서 눈을 뗄 수 없는 건 박복자의 대결구도가 마치 우리들의 이야기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품위녀’, 부유층의 위선을 들여다보는 재미란

저들의 모습은 과연 품위일까 아니면 위선일까. JTBC 새 금토드라마 <품위있는 그녀>가 던지는 문제의식은 도발적이다. 강남을 전면에 내세우고 초재벌은 아니지만 준재벌에 가까운 부유층의 삶을 들여다본다. 패션쇼에나 어울릴 법한 옷을 걸치고 한정판 명품백으로 치장한 강남의 사모님들이 브런치를 하는 모습은 꽤 있어 보이지만 그들이 나누는 대화를 들어보면 품위하고는 거리가 멀다. 19금 유머는 물론이고 불륜에 대해서도 그다지 윤리의식 같은 건 없어 보이는 대화들이다. 

'품위있는 그녀(사진출처:JTBC)'

그리고 그것은 그저 대화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그들 중에는 같은 자리에 있는 이의 남편과 바람을 피우는 이가 존재한다. 강남에 산다는 것에 대한 특권의식 역시 대단해 함께 자리하고 있는 학원을 운영하는 선생에게 “아무나 받지 말라”고 말하기도 한다. 화제가 아이들 교육문제나 남편 관리 게다가 성형 같은 수준에 머물고 돈 자랑은 그게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최대치의 이야깃거리인 양 시종일관 등장한다. 

그 속에 앉아 있는 우아진(김희선)은 그들과는 어딘가 달라 보이지만, 사실 잘 들여다보면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남편이 외도를 할 운명이라는 타로점집의 이야기를 듣고는 그걸 막기 위해 눈썹 성형을 실제로 시키는 인물이고, 아이 교육에서도 은근히 상류층의 의식을 드러내며 이것저것 하게 만드는 인물이다. 또 디자인을 전공해 갖고 있는 안목이라고 팝 아트를 하는 예술가를 후원하지만 진정한 예술에 대한 후원이라기보다는 돈이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이처럼 <품위있는 그녀>는 겉으로 품위 있어 보이지만 사실은 위선을 떨고 있는 강남의 부유층의 속살을 들여다보는 묘한 쾌감을 선사한다. 드라마는 박복자(김선아)의 시선으로 그녀들의 위선을 들여다본다. 그녀는 우아진의 시아버지인 안태동(김용건)회장의 간병인으로 들어온 인물이다. 우아진 앞에서는 어딘지 모자란 듯한 모습으로 사투리를 쓰지만 돌아서면 완전히 다른 모습을 가진 인물. 우아진이나 박복자나 위선을 떨고 있는 건 마찬가지다. 품위 있어 보이려 하거나 혹은 한껏 자신을 낮추고 있거나.

우아진과 박복자의 위선 그 밑바탕에서 꿈틀대는 건 욕망이다. 우아진은 이 부유층의 삶에 자신을 동화시키려 한다. 그래서 그 특권을 누리고 싶어한다. 박복자는 그것이 위선이라는 걸 알면서도 세상이 태어날 때부터 그어놓은 선을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넘으려 한다. 그녀는 의도적으로 안태동을 유혹하고 그를 뒷배로 삼아 이 부유층의 삶 속으로 들어가려 한다. 물론 그 목적이 무엇인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품위있는 그녀>가 가진 흥미로움은 상류층의 삶을 들여다보는 수준이 아니라, 그 삶이 갖고 있는 가식들을 들춰내는데서 나온다. 박복자라는 인물은 그걸 들춰내는 기폭제 역할을 하고 결국 살해되는 운명을 맞이하게 되지만, 그 과정 속에서 우리는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저들의 위선을 목도하게 될 것이다. 

우아진은 이름처럼 끝까지 우아함과 품위를 유지할 수 있을까. 박복자에 의해 뒤틀어진 삶은 어느 순간 우아진 역시 그녀와 똑같이 욕망에 휘둘린 인물이라는 걸 드러내지 않을까. 첫 방송에서부터 <품위있는 그녀>가 끄집어내고 있는 기대감은 바로 그 ‘폭로’의 쾌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아이두>, 뻔한 로맨틱 코미디 아니네

 

또 김선아표 로맨틱 코미디의 반복이려니 했다. <아이두 아이두>라는 애매모호하기 이를 데 없는 제목도 한 몫을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전형적인 골드미스 황지안(김선아)에 변변한 직업조차 없는 루저 연하남 박태강(이장우), 게다가 삼각관계로 얽히는 누가 봐도 100점짜리 남편감 산부인과 의사 조은성(박건형) 그리고 직장 내 적수이자 이 멜로의 변수로 등장하는 회장 딸 염나리(임수향)까지. 뭐 하나 공식에서 벗어나는 것이 없어 보였다.

 

 

'아이두 아이두'(사진출처:MBC)

하지만 웬걸? 그저 잘 나가보이던 황지안의 실체가 보이면서 드라마는 의외의 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한다. 한영어패럴의 차기 사장 후보로까지 지목될 정도로 일에서 성공한 그녀지만 사랑에 있어서는 루저 박태강과 그다지 다를 게 없는 숙맥 중의 숙맥. 게다가 덜컥 그 루저와의 실수로 아이까지 갖게 된다. 일과 사랑. 로맨틱 코미디의 이 오랜 두 주제는 주로 일을 갖지 못한 신데렐라가 사랑을 쟁취함으로써 일의 성취까지 이루게 되는 그런 흐름을 보여왔다. 하지만 <아이두 아이두>는 이미 일에서 성취한 여성이 어떻게 사랑까지 쟁취해가는가를 보여준다.

 

황지안과 박태강. 이 두 인물은 이 시대의 성공한 골드미스와, 이제 취업전선에도 뛰어들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춘을 각각 대변한다. 박태강처럼 스펙도 없고 일자리도 없으며 당연히 사랑은 언감생심인 이들을 좀 과한 표현으로 루저라고 부르듯이, 골드미스에 일에서 최고의 위치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그럴 듯한 남자 한 번 제대로 만나보지 못하고 결혼은 포기상태에 심지어 폐경 위기까지 맞게 된 황지안은 사랑에 있어서 루저라고 부를 수도 있겠다. 그러니 일과 사랑에서 서로의 빈자리를 갖고 있는 황지안과 박태강은 모두 루저 탈출의 꿈을 갖고 있는 셈이다.

 

로맨틱 코미디가 사회성을 띄기 시작하는 것은 점점 많아지고 있는 워킹우먼들에게 결혼과 임신이 여전히 너무나 무거운 짐으로 다가오는 현실을 이 드라마가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왜 일하면서도 사랑하고, 결혼과 육아를 동시에 할 수는 없는 걸까. 어쩌면 이것은 이 새로운 현실에 처한 워킹우먼들의 판타지일 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것은 여성들만의 얘기가 아니다. 조은성 같이 성공한 남자들이 독신을 고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혼과 육아가 지우는 현실적인 무게는 남자나 여자나 마찬가지다. 물론 여성들은 그간 완고하게 사회생활에서 암묵적으로 굳어져온 임신과 일에 대한 편견이 더 깊을 수밖에 없지만. 어쨌든 이 드라마에서 조은성 같은 성공한 독신주의 남자가 변화하는 모습은 이 사회적인 문제가 그저 여성들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대변해준다.

 

<아이두 아이두>라는 제목은 그래서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흔히 로맨틱 코미디에서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에게 "결혼해줄래?(Will you marry me?)"하고 물었을 때 여자 주인공이 머뭇대다가 하는 답변. 바로 "아이두 아이두(I do I do)"가 그것이다. 그런데 이 제목은 또한 한글 그대로 '아이도' 가지면서 일의 세계에서도 성취할 수 있는 상황은 요원한 것인가를 묻는 것이기도 하다.

 

부하직원인 워킹맘 마성미(김민희)는 이 일과 사랑이 공존할 수 없게 만드는 현실의 결과를 보여준다. 매일 같은 야근으로 아이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없는 이 12년차 맞벌이 워킹맘은 아이가 그린 가족 그림에 정작 자신과 남편은 없고 햄스터가 그려진 것을 발견한 후 절망한다. '햄스터보다 못한 엄마'가 그들의 현실이다. 그런 마성미의 입장을 백분 이해하면서도 황지안은 그녀에게 포기하지 않을 것을 권고한다. 그것은 어쩌면 황지안 자신의 포기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아이두 아이두>는 이 중의적인 제목처럼 과연 일과 사랑을 모두 쟁취할 수 있을 것인가. 물론 과거의 로맨틱 코미디에서도 일과 사랑은 늘 핵심적인 주제였지만, <아이두 아이두>는 그것을 막연하게 얘기하지 않는다. 실제적인 워킹맘의 문제와 결혼, 임신, 낙태의 문제까지 거침없이 화두로 올려놓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을 그저 그런 로맨틱 코미디로 치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웃음 뒤에 쓰디 쓴 현실감. 이것이 <아이두 아이두>가 그려내는 멜로의 실체다.


여자들이 더 좋아하는 여배우, 그 비결

'여인의 향기'(사진출처:SBS)

여자의 적은 여자라고 했나. 여배우들은 여성 시청자들의 눈총을 받는다. 조금이라도 예쁜 척 하는 모습을 보였다가는 비호감이 되기 일쑤고, 그렇다고 공감 없는 캐릭터에 마구 망가지기만 하다보면 이미지만 망치기도 한다. 특히 로맨틱 코미디처럼 여배우의 상대역으로 멋진 남자가 등장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그래서 여배우들이 여성들에게 사랑 받는 것은 훨씬 어렵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도 아랑곳없이 꾸준히 여성들에게도 사랑받는 여배우들이 있다. 공효진, 최강희, 김선아 같은 여배우가 그들이다. 도대체 이들의 비결은 뭘까.

먼저 이들의 가장 큰 장점은 작품 선정이 좋다는 것이다. 제아무리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어도 드라마는 캐릭터에 따라 그 이미지가 다르게 비춰질 수 있다. 따라서 좋은 캐릭터가 있는 작품을 선정하는 것은 여배우들의 필수다. 공효진은 '파스타'의 서유경에 이어 '최고의 사랑'의 구애정 같은 당차고 귀여우면서도 여성스러움을 잃지 않는 캐릭터를 연기했고, 최강희는 '달콤 살벌한 연인'의 이미나, '째째한 로맨스'의 다림 역할은 물론이고 드라마 '달콤한 나의 도시'의 은수에 이르기까지 어딘지 엉뚱하지만 매력이 넘치는 캐릭터로 사랑을 받았다. 김선아는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부터 보여준 털털한 캐릭터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여인의 향기'의 연재 역할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것은 어쩌면 이들의 작품 선정이 뛰어나다기보다는 이들이 갖고 있는 연기자로서의 결이 이렇게 여성들에게도 사랑받는 캐릭터의 캐스팅으로 이어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즉 이 정도 연기자들의 색깔이라면 아예 작품을 구상하고 시나리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부터 염두에 두는 경우도 생긴다. 그렇다면 이들이 가진 어떤 점들이 여성들도 사랑할만한 캐릭터를 연기할 연기자로 이들을 선택하게 하는 것일까.

그 첫 번째는 외모가 아니라 매력이다. 엄밀하게 말해 공효진, 최강희, 김선아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말하는 여신급 외모는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매력을 갖고 있다. 공효진의 매력은 '공블리'로 불리는 것처럼 보면 볼수록 자꾸만 빠져드는 그 사랑스러움에 있다. 최강희는 '4차원'으로 불리는 것처럼 그 엉뚱함에 매력이 있고, 김선아는 절대 예쁜 척과는 거리가 먼 리얼함과 솔직함에 그 매력이 있다.

하지만 이 매력이 작품 속에서 드러날 수 있는 것은 그것을 탄탄히 받쳐주는 연기력이 있기 때문이다. 공효진은 그 누구보다 몰입이 좋은 배우로서 그녀를 바라보는 여성들도 빠져들게 만들고, 최강희는 어떠한 캐릭터도 자신의 중성적인 매력 속으로 끌어안는 장점을 가진 배우다. 한편 김선아는 망가짐이 자연스러운(?) 배우로 그 상황을 우스꽝스럽게 만들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현실감을 놓치지 않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웃음 뒤에 찡한 페이소스를 만들어낸다는 얘기다.

따라서 이들이 출연한 로맨틱 코미디가 여타의 작품들보다 주목받는 것은 그들이 가진 이러한 매력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로맨틱 코미디는 거기 만나는 남과 여가 핵심일 수밖에 없는 장르이고, 그 중에서도 여성 캐릭터는 그 작품의 주제와 거의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공효진과 최강희, 김선아는 망가지는 것을 피하지 않는 연기로 로맨틱 코미디에서 그 장르에 걸맞는 충분한 웃음을 주면서, 동시에 그 현실감을 잊지 않는 연기력으로 진지함을 유지하는 여배우들이다. 결국 여성들도 사랑할 수밖에 없는 여배우들이란, 단순히 여성이 아니라 배우로서의 매력을 이들이 작품을 통해 드러내기 때문일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