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 조세호에게 해준 스님의 말씀이 남달랐던 건

절묘한 타이밍일까 아니면 끝을 앞둔 상황이라 모든 것들이 남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걸까. MBC 예능 <무한도전>이 ‘보고 싶다 친구야’편에서 했던 약속 때문에 후속으로 마련한 유재석의 김제동 어머니와의 만남과 조세호의 ‘묵언수행’은 남다른 느낌을 주었다. 

사실 이전에 했던 ‘보고 싶다 친구야’편 역시 ‘다른 모습을 보고 싶다’는 명분으로 몸 개그를 보여준 아이템이었지만 특별한 느낌으로 다가온 면이 있었다. 그건 마치 특집 제목처럼 먼 훗날 다시 보고픈 이 친구들의 면면을 마치 기시감처럼 보여주는 듯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들은 별 대단한 새로운 모습을 굳이 보여주려 하지 않았어도 충분히 재미있고 행복해 보였다. 함께 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 후속으로 유재석을 위해 늘 기도한다는 김제동의 어머니를 찾아간 이번 특집도 훈훈하기 이를 데 없었다. 마치 <효리네 민박>에 박보검이 온 것처럼 ‘유보검’이 된 듯 환대해주는 김제동의 어머니와 그 가족들의 모습이 너무나 따뜻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뒤늦게 찾아온 김제동에는 별 관심도 없고 유재석과 방송 욕심을 드러내는 어머니의 모습은 따뜻하면서도 우스웠다.

그런데 마지막을 앞두고 있어서일까. 그 장면이 유달라 보였다. 마치 <무한도전>을 사랑해왔던 팬들의 마음을 유재석과 제작진에 대한 무한애정을 표현하는 이 가족들이 대신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서다. 결국 그 집을 떠나 김제동의 아버님 산소를 찾아 절을 올리는 모습도 어딘지 짠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아마도 이건 이제 종영하는 <무한도전>에 대한 아쉬움 때문에 생겨나는 마음일 게다. 

‘묵언수행’을 위해 월정사를 찾은 조세호의 이야기 역시 웃음과 함께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그토록 수다쟁이처럼 떠들던 조세호가 묵언수행을 하며 겪는 그 답답함이 웃음을 주었지만, 그건 마치 이제 토요일 저녁 <무한도전>이 있어 가득 채워졌던 그 웃음과 수다 대신 크게 남을 침묵의 무게가 느껴져서다.

조세호와 연꽃을 만들면서 스님이 한 ‘생각을 하기보다는 그냥 하라’는 말씀은 마지막에 즈음에 그토록 많은 추측들이 나왔던 <무한도전>의 상황을 떠올리게 했다. ‘단 것’이 뭐냐고 물으면 그걸 애써 설명하기보다는 ‘설탕’을 조금 주는 편이 낫다는 그 말씀에서 향후 <무한도전>이 어떻게 될 것이냐는 수백 가지의 말보다 한 가지의 행보가 더 많은 걸 설명해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일 기다리던 내일이 오지 않으면” 어떻게 하냐는 조세호의 질문에 스님이 지금 현재를 잘 살면 된다고 한 말도 의미심장하게 다가왔다. 지금을 열심히 살아야 내일도 온다는 것. 그건 마치 이제 끝을 앞둔 <무한도전>에게 던지는 덕담처럼 들렸다. 내일을 걱정하기보다는 오늘 눈앞에 있는 것들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이제 한 회만을 남기고 있는 <무한도전>이 남기는 큰 아쉬움 때문이었을까. 스님의 말씀 한 마디 한 마디가 모두 특별한 무게로 여운을 남겼다.(사진:MBC)

‘무한도전’과 김태호 PD에게 휴식기가 갖는 의미는 뭘까

거의 하루가 멀다 하고 MBC 예능 <무한도전>의 향배에 대한 기사들이 쏟아져 나온다. 김태호 PD의 하차선언과 함께 3월 말을 기점으로 프로그램이 종영한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MBC가 출연자들을 설득하고 있지만 출연자들 역시 전원 하차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마치 <무한도전>이 이제 더 이상 볼 수 없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는 뉘앙스처럼 보도되었지만, 또 다른 매체는 이를 뒤집었다. 김태호 PD “<무한도전>은 계속 됩니다”라는 말로 이런 의혹들을 불식시켰다. 

이처럼 혼란이 가중되는 이유는 13년을 이어온 이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마치 프로그램이 사라질 것처럼 얘기되는 건 그 아쉬움과 불안감이 작용한 탓이다. 하지만 MBC도 공식적으로 밝혔고, 김태호 PD도 밝힌 바대로 <무한도전>은 일정 기간 휴식기를 거쳐(가을 정도에) 다시 돌아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공식 발표에도 불구하고 혼선이 남은 부분이 있다. 그것은 김태호 PD가 돌아와 만드는 프로그램이 <무한도전>인지 아니면 새로운 프로그램인지 아직 확실히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팬들 입장에서는 <무한도전>이 돌아오는 걸 기대하겠지만, 김태호 PD 입장에서 보면 지금 형태 그대로의 <무한도전>으로 돌아오는 건 휴식기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일일 수 있다. 그래서 충분히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식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한 발 물러나 이 상황을 생각해보면 김태호 PD가 그 어떤 프로그램을 새롭게 가져오고, 또 심지어 거기에 새로운 이름이 붙어 있다고 해도 시청자들로서는 큰 의미에서 그것 역시 <무한도전>의 또 다른 행보라고 충분히 인지할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 이것이 가능한 건 지금껏 <무한도전>이 걸어왔던 길들을 들여다보면 알 수 있다. 

사실 매회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다름없는 아이템들을 시도했던 독특한 형식이 바로 <무한도전>이었다. 그건 <무한도전>이라는 브랜드로 묶여있을 뿐, 사실 독립적인 하나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보면 그렇게도 볼 수 있을 정도다. 그래서 심지어 몇몇 아이템들은 이 프로그램에서 발화되어 다른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진화한 것 역시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김태호 PD가 시도할 새로운 프로그램 역시 크게 보면 그 <무한도전>의 연장선이라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무한도전>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해주는 건 그간 13년 간을 함께 해온 출연자들이다. 하지만 그간 많은 출연자들이 나가고 들어왔고, 어떤 아이템의 경우에는 무수한 외부출연자들이 출연해 함께 프로그램을 빛내기도 했다. 이를테면 소지섭 같은 배우나 유병재, 이적, 유희열, 김제동 같은 인물들은 고정 출연자는 아니지만 시청자들에게는 큰 의미에서 <무한도전> 패밀리로 각인되어 있다. 그러니 사실 누가 들어온다고 해도 김태호 PD가 시도할 새로운 도전들 속에서 그건 또 다른 <무한도전>이라고 볼 수 있을 게다.

무엇보다 시청자들은 어느새 김태호 PD 역시 그저 제작자가 아니라 <무한도전>을 구성하는 멤버로 인지하고 있다. 그러니 그가 없는 <무한도전>은 의미가 없다고 시청자들도 또 출연자들도 말하고 있는 것. 하지만 이건 거꾸로 보면 그가 만들고 존재하는 프로그램은 그것이 어떤 것이든 <무한도전>의 또 다른 행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지금 현재 <무한도전>의 핵심적인 변화란 ‘휴식기’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건 이미 이전부터 김태호 PD가 그토록 요구해왔던 ‘시즌제’를 본격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시즌제는 기존의 <무한도전>의 틀에서 훨씬 확장된 기획들을 가능하게 한다. 어떨 경우에는 지금의 출연자들이 함께 하는 기획이 가능하지만, 어떨 경우에는 그들 없이 새로운 인물들을 세운 김태호 PD의 시도가 가능하다. 

보다 큰 틀로 이해하면 김태호 PD의 선택은 보다 더 오래 <무한도전>을 이어가기 위한 행보라고 말할 수 있다. 여러모로 리얼리티 시대에 접어든 현재, 캐릭터쇼로 시작됐던 <무한도전>은 어떤 식으로든 변화를 맞이해야 한다. 무엇보다 시즌제가 갖는 완성도와 변용들이 요구되는 시점이니 <무한도전>이 지금껏 해왔던 행보를 그대로 답습한다는 건 스스로 생명을 단축시키는 길이다. 김태호 PD는 이미 큰 그림 안에서 새로운 <무한도전>을 준비 중이다.(사진:MBC)

‘무도’, ‘보고 싶다 친구야’ 특집에 담긴 특별한 느낌

우연의 일치였을까. 아니면 의도된 기획이었을까. MBC 예능 <무한도전>이 보여준 ‘보고 싶다 친구야’ 특집은 이제 시즌 종영을 앞두고 있어서인지 그 제목이 달리 보였다. 마치 향후 시즌을 종영한 후 시청자들이 느낄 이 친구들에 대한 그리움을 제목에 담은 것처럼 다가왔다.

오랜 절친을 다시 만나는 기획처럼 보였지만, 이 특집의 앞에서 생략된 목적어가 있었다. 그것은 ‘새로운 모습을 보고 싶다 친구야’ 였던 것. 그래서 각 출연자들의 절친들이 SNS로 단톡방을 열어놓고 이들의 새로운 모습을 연출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내고 그 지시대로 출연자들이 실행하는 것이 이번 미션의 내용이 되었다. 

그래서 이 SNS로 뭉친 이른바 ‘랜선 친구들’은 출연자들에게 동대문에 가서 그들이 원하는 대로 봄에 맞는 스타일링을 하는 미션을 내렸다. 농민의 난 스타일로 유재석이, 황진이 스타일로 조세호가, 건달 콘셉트로 하하가, 그리고 나머지 출연자들은 씨름부 3인방으로 변신했다. 그 모습 그대로 호텔의 ‘딸기 뷔페’에서 식사를 한 후, 그 추운 날씨에 한강 고수부지에서 씨름을 하고 심지어 월미도까지 가 디스코팡팡을 타는 갈수록 혹독해지는(?) 미션을 수행해야 했던 것.

이 코너가 준 웃음의 핵심은 ‘몸 개그’였지만 역시 <무한도전>답게 거기 담겨진 남다른 의미도 찾아볼 수 있었다. 그건 SNS라는 익명의 공간에서 내려지는 지시가 갈수록 혹독해지고, 지시를 내리는 이들은 깔깔 웃고 있지만 정작 이를 실행하는 출연자들은 굉장히 힘겨워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이다. 그건 SNS가 가진 익명의 폭력을 풍자하는 것처럼 느껴지지기도 했지만, 동시에 <무한도전>에 시청자들이 바라는 ‘새로움’이라는 것이 말은 쉽지만 실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얼마나 힘겨운 노력을 필요로 하는가를 보여주고 있었다.

13년 동안 그 ‘새로운 재미’를 위해 달려왔고, 그걸 위해서라면 뭐든 감수해온 그들이지만 또한 그들이 얼마나 지쳐 있을까를 생각해볼 수 있는 장면들이었다. 그래서 마지막에 이르러 ‘랜선 친구들’에게 역공을 하기 위해 직접 지상렬의 집을 방문해 저녁을 먹으며 나누는 이야기들은 이들에게 주는 작은 위로처럼 보였다.

SNS가 아닌 진짜 오프라인에서 얼굴을 대면하고 만나는 그 시간은 그 자체로 빵빵 터지는 즐거움의 연속이었다. 특히 오랜만에 <무도>에서 보게 된 지상렬은 특유의 저승과 이승을 오가는 놀라운 멘트들로 하루 종일 고생했던 출연자들을 웃게 만들었다. 이어 찾아온 남창희는 단톡방에서의 남다른 재능을 인정받아 ‘랜선계 유재석’이 되어 프로그램을 마무리 짓는 메인MC 역할을 해보였고 김제동 역시 모임에 합류해 즐거운 시간을 보여줬다.

사실 새로움에 대한 강박이 뭐가 그리 중요할까 싶은 특집이 아니었나 싶다. 그것보다는 그저 보는 것만으로도 반가운, 어느새 시청자들에게도 오랜 친구처럼 남아있는 이들이 그간 피곤했다면 조금 쉬었다 다시 그 반가운 얼굴을 보여주길 바랄뿐이다. 특별한 새로움을 찾지 않아도 그저 모이기만 해도 이렇게 재밌는데 더 바랄 게 무엇일까.(사진:MBC)

<힐링캠프>에서 <동상이몽>으로 달라진 토크쇼의 흐름

 

SBS <힐링캠프>가 결국 폐지 수순을 밟고 있다. 김수현 작가의 신작 <그래 그런거야>가 주말 시간대에 들어가게 되면서 그 시간대에 있던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이하 동상이몽)>가 대신 월요일 밤 시간대로 편성될 것이 유력한 상황. SBS 측은 아직 결정된 건 없다는 입장이지만, <힐링캠프>는 밀려날 처지에 놓였고 <동상이몽>은 더 뜨거운 시간대로 옮겨갈 것이란 건 확실해 보인다.

 


'힐링캠프(사진출처:SBS)'

사실 우연의 일치처럼 보이지만 이 변화는 작금의 토크쇼 트렌드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힐링캠프>는 물론 김제동 체제로 바뀌면서 500인의 방청객이 MC 역할을 하는 대대적인 변화를 보여줬지만 생각만큼 효과를 드러내지 못했다. 아무래도 <힐링캠프>라고 하면 시청자들에게 익숙한 건 과거 이경규, 성유리가 함께 했던 전형적인 연예인 토크쇼일 것이다.

 

연예인들을 게스트로 앉혀 놓고 MC들이 질문을 던져 그 속 깊은 이야기를 꺼내게 만드는 <힐링캠프>는 당시에는 꽤 화제가 됐던 토크쇼였다. 1인 연예인 토크쇼 형식은 조금은 구시대적인 느낌을 줬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힐링트렌드를 끌어들여 상당히 트렌디하면서도 직설적인 어법으로 화제를 만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갈수록 시청자의 힐링이 아니라 게스트의 힐링처럼 보인 면이 추락의 원인이 되었다.

 

그래서 김제동 체제로 바꿔 부랴부랴 변화를 준 것이 일반인들의 참여였다. 500인의 방청객이 그 날의 게스트에게 직접 질문하는 형식이 그것이다. 이렇게 일반인들의 참여를 시도했지만 이것 역시 결과적으로 보면 연예인 토크쇼라는 그 틀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걸 드러냈다. 결국 시청자들이 원하는 건 연예인들이라는 타자의 이야기가 아니라 시청자들 본인이 공감할 수 있는 우리들의 이야기였다. <힐링캠프>가 힘겨워지고 결국 폐지 수순을 밟게 된 건 이러한 시청자들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그런 면에서 보면 <힐링캠프>가 사라지는 마당에 <동상이몽>은 이 달라진 시대의 대안적인 토크쇼 형식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동상이몽>은 유재석, 김구라 같은 쟁쟁한 연예인 MC들이 포진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 토크쇼의 주인공은 일반인들이다. 어떤 사연을 가진 일반인들이 출연하느냐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의 성패가 갈리는 토크쇼. 연예인 MC와 패널들은 다만 일반인들의 이야기에 코멘트를 달거나 공감 혹은 비공감의 입장을 드러낼 뿐이다. <동상이몽>이 가진 이 우리들의 이야기라는 소재는 이 프로그램이 빛을 발하는 가장 큰 이유다.

 

게다가 <동상이몽>은 스튜디오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수다로만 일관하는 토크쇼와는 사뭇 다르다. 여기에는 최근의 새로운 트렌드라고 할 수 있는 관찰카메라형식이 결합되어 있다. 일반인들의 사연은 이야기로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 관찰카메라로 가감 없이 찍혀져 부모의 입장과 자식의 입장이 나란히 보여 진다. 그러니 토크쇼가 가진 말과 스튜디오라는 한계는 이 프로그램에서는 관찰카메라가 가진 실제 장면들과 현장이라는 생생함으로 대치되면서 극복된다.

 

<힐링캠프>의 시대가 가고 <동상이몽>의 시대가 도래했다. 이것은 한 때를 풍미했던 연예인 토크쇼 형식은 퇴조하고 일반인 토크쇼와 관찰카메라가 접목된 새로운 형식이 들어서고 있는 상황을 상징하는 것만 같다. 이 달라진 트렌드 속에서 연예인들의 위치도 달라지고 있다. 그 전에는 중심에 섰던 연예인들이 이제는 일반인에게 그 자리를 내주고 대신 그 옆자리를 자처하고 있다. 시대의 변화를 읽어낼 수 있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