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풀>, 기존 슈퍼히어로 밟고 올라선 슈퍼히어로

 

만일 어른들을 위한 슈퍼히어로를 만든다면? 누구나 한번쯤 상상은 해봤을 것이다. 그런데 막상 만든다면 어떨까? 손발이 오글거리지 않을까. ‘지구를 구한다같은 대명제가 그렇고, ‘정의가 어떻고 자유가 어떻고 하는 거창한 주장이 그렇다. 무엇보다 타이즈 위에 팬티를 입는 그 복장이 대략난감이다.

 


사진출처:영화<데드풀>

<데드풀>은 그래서 어른들을 위한 슈퍼히어로를 등장시키면서 그 오글거리는 기존의 슈퍼히어로물들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잘근잘근 씹어댄다. <X>의 자비에는 대머리 아저씨가 되고 데드풀을 연기한 레이놀즈가 주연을 맡았던 DC코믹스의 <그린 랜턴>은 초록색 슈트의 흑역사가 되어버린다.

 

심지어 <데드풀>은 이런 슈퍼히어로물에 엄청난 돈을 쏟아 부어 제작하는 제작자들에게조차 시작부터 비아냥을 쏘아댄다. 오프닝 크레딧에 이 영화를 일부 얼간이들을 위한 영화(Some Douchebag’s Film)‘라고 명명하고 팀 밀러 감독 자신을 돈을 다소 과하게 받은 얼간이 연출가(Directed by Some Overpaid Tool‘라고 자처한다.

 

이렇게 스스로를 포함하는 슈퍼히어로를 비아냥대는 슈퍼히어로물이라는 기막힌 설정은 <데드풀>이 꽤 단순하고도 전형적인 슈퍼히어로 장르를 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워지는 대목이다. 어른들이 슈퍼히어로물을 볼 때 느끼는 이중적인 감정, 세상에 저런 게 어딨어?’하고 유치한 시선을 보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꽤 쿨 하다고 느끼는 그 감정을 이 영화는 아예 드러내놓고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래서 이 영화는 때론 지나치게 폭력적일 정도로 섬뜩한 장면에서조차 유머를 만들어내고, 선정적인 장면에서도 비실비실 피어나오는 웃음을 참지 못하게 만든다. 그러면서 이 이상한 슈퍼히어로의 목적은 오로지 자신을 그렇게 슈퍼히어로(혹은 슈퍼노예?)로 만든 악당들을 철저하게 응징하는 것뿐이다. 지구를 지킨다거나 정의 같은 거창함도 없다. 그저 자신이 사랑했던 여인 앞에 흉측한 몰골로 나타날 수 없이 어쩔 줄 몰라 하는 지극히 평범하다 못해 찌질하게까지 보이는 한 남자가 거기 있을 뿐이다.

 

슈퍼히어로들의 특징인 죽지 않는다는 명제도 <데드풀>에서는 냉소적으로 다뤄진다. 즉 죽고 싶어도 죽지 못하는인물로 그려지는 것. 이것 역시 슈퍼히어로들에 대한 거꾸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영생하는 신적인 존재는 과연 좋기만 한 것일까. 죽고 싶을 정도로 망가진 흉측한 몰골로 영생한다는 건 천형이 아닐까.

 

당연히 이 <데드풀>의 세계는 선과 악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누군가 자신에게 고통을 주었고 그렇기 때문에 그 고통을 몇 배로 되갚아주는 것뿐이다. 이 아무 것도 정해져 있지 않은 세계와, 어찌 보면 정해져 있는 것들을 하나하나 끄집어내 특유의 입담으로 잘근잘근 씹어버리는 통쾌함. 이것이 <데드풀>을 보며 느껴지는 해방감이 아닐까. 아이의 손을 잡고 슈퍼 히어로물을 보러 가서는 결코 느끼지 못했던

카라, 농담에 울려면 '라스'엔 왜 나왔나

 

농담이 과했던 걸까. 아니면 반응이 과했던 걸까. “내가 알고 있는 거 말하면 구하라는 끝이다.” 극구 꺼리는 연애 이야기를 끄집어내기 위해 도발한 것이지만 분명 규현이 던진 이 농담은 과한 부분이 있다. 그래서 까마득한 후배지만 발끈해서 “오빠도 당당하지 못하잖아요”라고 맞받아치는 구하라의 모습에는 진심이 담겨 있었다. 거기까지는 괜찮았다. 하지만 이내 진짜 눈물을 흘리며 “진짜 화나서...”라고 말을 잇지 못하는 모습은 <라디오스타>만의 장난스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라디오스타(사진출처:MBC)'

서둘러 MC들이 미안함을 표시하며 분위기를 바꾸려 노력했지만 이것이 끝이 아니었다. 애교를 보여 달라는 MC들의 부추김에 강지영이 또 눈물을 보인 것. <라디오스타>에서 이런 요구는 그다지 과하게 여겨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구하라에 이은 강지영의 눈물은 MC들과 이 프로그램이 마치 경쟁하듯 게스트 울리는 악취미를 가진 것처럼 느껴지게 만들었다. 방송 말미에 강지영은 자신이 운 이유에 대해 “당황스러웠다”고 했고 “구라 오빠의 목소리가 갑자기 무서웠다”고 했다.

 

<라디오스타>가 스스로 방송을 통해 밝힌 것처럼 게스트의 눈물은 그다지 새로운 일은 아니다. ‘게스트를 울리는 토크쇼’라는 지점은 무수한 토크쇼들 속에서 <라디오스타>만의 변별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은 연예인들이 홍보하러 토크쇼 나온다는 사실에 대중들이 식상해질 즈음, 게스트를 배려하기보다는 시청자를 배려하는 <라디오스타>가 살아남은 이유이기도 하다. 게스트가 심지어 운다고 해도 시청자들이 궁금해할만한 것들은 돌려서 말하지 않고 직접 던진다는 것이 바로 <라디오스타>만의 덕목이다.

 

카라가 이 사실을 몰랐을 리 없다. 게다가 그들의 이번 <라디오스타> 출연이 처음도 아니다. 그러니 뻔히 어떤 질문이 나올 거라는 건 그들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지 않았을까. 김구라가 말하듯 연애 이야기 같은 건 숨기기보다는 자꾸 꺼내놔야 오히려 관심도 떨어지는 법이다. 과한 농담일지라도 그것을 여유 있게 받아치고 또 즐기는 모습을 보여줬다면 보다 성숙된 카라의 새로운 매력이 대중들에게 어필했을 수도 있다.

 

게다가 이것은 그녀들이 자처해서 신곡을 홍보하기 위해 나온 자리다. 그 사실은 토크쇼가 시작되는 시점에서부터 이미 뮤직비디오를 보는 MC들의 장면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공지된 상황이다. 그런데 신곡 홍보를 위한 출연이라는 사실을 시청자들이 좋아할 리가 없다. 그러니 프로라면 무언가 <라디오스타>만을 위한 그만한 재미를 만들어주기 위해 노력했어야 하지 않을까.

 

예능 프로그램이다. 예능이 심각해지지 않고 웃음을 주려면 농담을 농담으로 받을 줄 아는 자세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관객을 웃기기 위해 누군가의 뺨을 때리는 장면에서 뺨 맞은 당사자가 울어버리면 희극은 갑자기 비극이 되어버린다. 이것은 예능의 기본적인 성격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구하라와 강지영의 조금은 뜬금없는 눈물은 <라디오스타>의 분위기를 싸하게 만들었고, MC들을 순식간에 누군가를 울린 가해자로 만들어버렸다.

 

최근 계속되는 논란 때문인지 아니면 시청률에 대한 강박 때문인지 <라디오스타>의 질문 강도는 그 어느 때보다 높게 느껴진다. 하지만 각각의 팬클럽을 갖고 있는 규현과 카라가 대놓고 붙는 장면의 연출은 실로 아슬아슬하게까지 여겨지게 만든다. 농담이 눈물로 변하는 이 장면은 그래서 규현에게도 카라에게도 또 <라디오스타>에도 적절했다 여겨지지 않는다. 그것은 자칫 팬클럽 간의 갈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프로그램 말미에 와서 “구하라에게 규현이란” 이란 공식질문에 구하라가 “하늘같은 선배님”이라고 답하며 급화해의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라디오스타>는 씁쓸한 뒷맛을 남긴 것이 사실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