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수목도 드라마 해주면 안돼요?

 

수목에도 드라마 해주면 안돼요? 최근 들어 인터넷 드라마 관련 게시판이나 댓글란에 들어가 보면 tvN에 이런 요청들이 심심찮게 보인다. tvN은 현재 월화와 금토에 드라마 편성을 하고 있지만 수목에는 편성이 되어 있지 않다.

 

'또 오해영(사진출처:tvN)'

tvN이 애초에 수목을 피해 월화 금토에 편성한 데는 지상파 드라마들과의 전면전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그도 그럴 것이 수목은 지상파 드라마들의 자존심이나 마찬가지다. 물론 지금은 월화에도 수목처럼 미니시리즈를 하는 지상파들도 많아졌지만 그래도 월화는 장편에 해당하는 대하사극이나 연속극들이 편성되기 일쑤였다. 장편이 작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16부작 전후로 되어 있는 미니시리즈가 완성도나 밀도가 높은 건 사실이다.

 

그러니 지상파 드라마의 어떤 성과를 이야기할 때 수목드라마에 대한 기대치는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아무리 시청률과 화제성이 높아도 수목드라마의 성공이 주는 상징성이 훨씬 크게 다가온다는 점이다. KBS가 그간 그토록 부진을 면치 못하다 <태양의 후예> 한 편으로 분위기를 쇄신할 수 있었던 데도 그 편성시간이 수목에 들어 있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런데 최근 지상파 드라마들은 월화는 물론이고 수목까지 그다지 뜨거운 반향을 일으키는 드라마들을 내보이지 못하고 있다. 월화의 SBS <대박>, MBC <몬스터> 같은 대작이 KBS <동네변호사 조들호>에 밀리는 상황은 덩치만 컸지 이렇다 할 완성도와 작품성을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목도 마찬가지다. KBS <국수의 신><태양의 후예>로 기대감이 높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시청률 꼴찌에 화제성도 별로인데다, SBS <딴따라>는 따뜻한 드라마이긴 하지만 미지근한 느낌으로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새로 시작한 MBC <운빨로맨스>는 기대는 컸지만 역시 그 기대를 충분히 채워주지는 못했다.

 

그래서 나오는 이야기다. tvN이 수목도 드라마를 해주면 안되냐고. 사실 월화에 편성된 <또 오해영>은 별반 기대하지 않았던 작품이지만 의외로 대중들의 호평을 받으며 시청률 대박을 터트렸다. 최고 시청률 7.7%(닐슨 코리아). 케이블이라는 성격을 감안해 보면 이 정도의 성적은 지상파 드라마의 대박 성적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화제성 또한 높은 이 드라마는 연일 관련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 정도면 tvN이 월화드라마 편성 시간대를 어느 정도는 확보했다고 봐도 무방할 듯 싶다.

 

금토는 tvN 드라마의 황금시간대가 됐다. <시그널>에 이어 <기억>이 큰 호평을 받았고 이어지고 있는 <디어 마이 프렌즈> 역시 괜찮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tvN 금토드라마의 특징은 시청률에 집착하기보다는 일정한 완성도의 성취를 가져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 시간대의 tvN드라마는 지금 현재 전체 드라마 지형도를 바꾸는 데도 일조하고 있다. 완성도 높은 드라마를 접한 시청자들은 이제 그저 감안하고 봐왔던 지상파 드라마에 대한 눈높이 또한 높이고 있다.

 

이런 요청이 말해주는 것처럼, 만일 실제로 tvN이 수목드라마 대결에 동참하게 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이런 요청이 그저 목소리만 아니라 실제로 이뤄지길 기대하는 까닭은 그것이 지상파 드라마들까지를 포함해 드라마 전체의 완성도와 작품성을 높여주길 바라기 때문이다

영화 같은 <시그널>, tvN 드라마의 거침없는 행보

 

tvN의 새 금토드라마 <시그널>은 첫 회만으로도 그 압도적인 존재감을 시청자들에게 확실히 각인시켰다. 의문의 과거로부터 온 무전에서 비롯되어 이제 공소시효가 얼마 남지 않은 미제사건을 추적하는 프로파일러 박해영(이제훈)과 형사 차수현(김혜수)의 폭풍전개와 소름돋는 반전은 한 편의 영화 같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첫 회가 이 정도라면 앞으로 얼마나 쫄깃한 이야기 전개가 펼쳐질 것인가. 기대감은 한없이 높아지고 있다.

 


'시그널(사진출처:tvN)'

군더더기 없는 스토리에 디테일이 돋보이는 연출력 그리고 그 위에 극에 대한 몰입감을 한없이 높여주는 이제훈, 김혜수, 조진웅의 미친 연기가 얹어졌다. 마치 미드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드는 건 당연한 일. 하지만 이런 완성도보다 더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건 이 드라마가 가진 정서적인 자극이다. <시그널>은 결국 정의에 대한 대중들의 갈증을 건드리고 있다. 해결되지 않은 미제사건. 하지만 본인의 실적에 흠이 가지 않기 위해 이를 그저 덮으려는 수뇌부. 그렇지만 어떻게든 진범을 잡아 정의를 실현하려는 형사들. 이 구도는 진범에 대한 갈증으로 일단 저질러놓고 보는 이제훈 같은 인물에 시청자들이 빙의하게 만드는 이유다.

 

엄청난 화제와 열풍을 일으키고 종영한 <응답하라1988>의 빈 자리를 채워주는데 이만한 드라마가 있을까. <응답하라1988>이 복고의 틀에서 따뜻한 정과 감동으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적셔주었다면, <시그널>은 본격 장르물로서의 탄탄한 완성도 위에 사회 정의에 대한 대중들의 갈증을 제대로 잡아내고 있다. 만일 <응답하라1988>의 대성공이 <시그널>로도 이어지게 된다면 tvN 드라마에 대한 막연했던 대중적 기대감은 이제 확신으로까지 나아갈 전망이다.

 

이미 <응답하라1988>의 종영으로 류준열, 박보검 같은 심쿵유발자들이 사라진 자리에, tvN 월화드라마 <치즈 인 더 트랩>의 박해진과 서강준이 등장해 시청자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해진이 연기하는 유정이란 인물은 달콤 살벌한 독톡한 캐릭터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쥐락펴락하고 있고, 서강준이 연기하는 백인호는 여주인공 홍설(김고은)의 주변을 서성거리며 조금씩 그 숨겨진 매력을 드러내는 인물이다. 홍설에 빙의된 시청자들이라면 유정과 백인호라는 이 두 자석같은 캐릭터에 이끌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고 보면 올해 들어 tvN 드라마의 행보가 심상찮다는 게 느껴진다. 그간 나영석 PD를 중심으로 <꽃보다> 시리즈와 <삼시세끼> 시리즈는 물론이고 <집밥 백선생> 같은 주중 레귤러 예능 프로그램으로 tvN이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다면 올해는 그 힘이 드라마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느낌이다. <응답하라1988>이 그 스타트를 끊어주었다면 그걸 이어서 <치즈 인 더 트랩> 그리고 <시그널>이 주초와 주말에 포진해 쌍끌이를 하는 형국이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다. 3월에는 <부활>, <마왕>, <상어> 3부작으로 마니아적인 팬들을 갖고 있는 박찬홍 감독 김지우 작가 콤비의 <기억>이 준비되어 있고, 오는 5월에는 노희경 작가가 쓰고 고현정이 출연하는 <디어 마이 프렌즈>가 라인업되어 있다. 오는 3월에 방영될 신하균 주연의 <피리 부는 사나이>도 기대작이다.

 

이제 10주년을 맞은 tvN은 아마도 올해 탄탄한 기반을 다진 예능에 이어 드라마까지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한 때는 케이블 채널로서 지상파의 그림자에 가려 있던 tvN. 이제는 지상파들이 오히려 뒤따라올 정도로 콘텐츠 우위의 방송사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더 이상 마니아적인 채널이 아닌 보편적인 시청자들까지 확보한 채널로의 진입. 올해 tvN을 주목해서 봐야할 이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