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춘할망>, 청춘과 어르신에 대한 위로

 

나이가 젊다고 다 청춘이 아니듯, 나이 많다고 다 어른이 아니다. 아마도 최근 들어 가장 많은 키워드로 나오는 단어가 청춘어르신일 게다. ‘청춘이 원치 않았던 힘겨운 현실 앞에 숨가빠하고 있다면, ‘어르신들은 꼰대가 될 것인가 어른이 될 것인가를 사이에 두고 갈등한다. 그리고 이 둘은 연결되어 있다. 어른들에 의해 만들어진 세상이 청춘들의 현재 혹은 미래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영화 <계춘할망>은 이 서로 다른 두 세대 간의 따뜻한 소통이 느껴지는 영화다.

 

사진출처: 영화<계춘할망>

제목에서 보여지듯 <계춘할망>의 배경은 제주도다. 계춘(윤여정)은 이 할망의 이름이다. 어쩌다 손주 혜지를 홀로 키워온 계춘은 어느 날 아이를 잃어버린다. 평생을 아이를 찾아다니는 계춘은 어느 날 나타난 혜지(김고은)로 인해 이제 겨우 허리 펴고 잘 수 있는 행복감에 빠져드는데 그간 혜지가 살아온 삶이 심상찮다. 도둑질은 다반사고 조건만남을 빙자해 돈을 뜯기도 하는 불량한 아이들의 폭력 속에 무심히 살아온 그녀다. 그런 그녀를 계춘은 모든 걸 품어주는 제주의 바다처럼 안아준다.

 

사실 이야기는 어찌 보면 뻔해 보인다. 결국 혜지가 계춘의 사랑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 하지만 영화 속 디테일들은 이러한 당연한 수순의 이야기 속에 반짝반짝 빛나는 순간들을 채워 넣었다. 그림에 재능을 보이는 혜지와 그녀의 아픔을 알면서도 무심한 척 그녀를 바른 길로 인도하는 미술선생 충섭(양익준), 청춘의 설렘을 무겁지 않게 영화에 얹어주는 제주소년 한(민호), 그리고 그녀의 삼촌으로 늘 계춘을 걱정하고 돌보는 석호(김희원) 같은 인물들은 영화에 충분한 온기를 더해준다. 그림을 잘 그리려면 그림자가 아니라 빛을 봐야 한다는 충섭의 말대로 이 주변 인물들은 혜지에게 빛을 던져주는 존재들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빛은 계춘이다. 손과 얼굴에 가득한 주름살과 마치 옥수수수염처럼 빛이 바랜 머리칼은 그녀의 한 평생을 한 장면만으로도 충분히 이해하게 만든다. 그런 그녀가 저 멀리 혜지가 걸어오는 것만 봐도 그 주름이 확 펴지고 달려오는 모습은 그 자체로 뭉클함이 느껴진다. 그런 그녀가 혜지에게 말한다. “세상에서 살면서 딱 한 명 네 편만 있으면 살아갈 수 있다. ‘내 새끼라는 표현이 정확하게 맞을 정도로 계춘이 혜지를 대하는 모습은 바다그 자체다. 자신이 평생 물질을 하며 살 수 있게 해준 든든한 그녀의 편.

 

과연 우리 시대의 청춘들에게는 계춘 같은 든든한 편이 있을까. 힘겨운 현실 속에서 그저 생존하기 위해 엇나간 삶을 살아내기도 하는 청춘들이다. 하지만 그 청춘들의 삶은 어느 누구도 스스로 선택한 것이 아니다.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세계에 질식하고 있을 뿐. 영화가 제주도까지 달려가 계춘이라는 할망을 통해 보여주려는 건 그래서 진정한 어른의 모습이다. 청춘들에게 저마다 든든한 편이 되어줄 수 있는 그런 어른.

 

계춘 같은 진정한 어른이 있어 혜지는 어둠을 비로소 빠져나와 미래를 향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아픔은 자양분이 되어 미술이라는 예술로 승화되고 거기에는 고스란히 혜지의 계춘에 대한 고마움과 미안함과 사랑이 담겨진다.

 

<계춘할망>에서 김고은은 역시 단단한 연기력으로 혜지라는 청춘의 아픔을 때론 퉁명스럽게 때론 따뜻한 눈물로 그려낸다. 윤여정은 늘 도회적인 이미지라는 틀에서 과감히 벗어나 손끝의 주름 하나로도 어르신의 감정을 담아내는 놀라운 연기변신을 보여준다. 이 영화에서 주목되는 또 한 명의 연기자는 김희원이다. 늘 악역으로만 나오던 그가 관객들의 심금을 울리는 연기를 보여줄지 누가 알았으랴.

 

김고은이라는 청춘과 윤여정이라는 어른이 만나 보여주는 건 청춘과 어른에 대한 위로다. 힘겨워도 세상에 한 사람 정도쯤은 자기편이 있다는 걸 청춘들에게 말해주면서, 동시에 헌신적이고 자기희생적인 어른의 삶이 얼마나 숭고한가를 들려준다. <계춘할망>은 그래서 이들이 서로 소통하는 과정만 봐도 눈물이 나는 영화다. 아파서가 아니라 너무 따뜻해서 나는 그런 눈물.

‘베바스’와 ‘바람의 화원’의 초현실적인 연출력

“눈 뜨지 마세요. 자 어디선가 새소리가 들립니다. 졸졸졸졸 시냇물 소리도 들립니다. 나뭇가지 사이를 파고드는 따스한 햇살도 느껴집니다. 다람쥐가 지나가는 바스락 소리도 들리고 바람도 살랑살랑 불어옵니다. 그 바람에 섞여서 상쾌한 풀잎 향기도 느껴집니다.” 강마에(김명민)의 말소리에 귀 기울이며 눈을 감은 단원들의 모습이 비춰지고 살짝 살짝 파란 하늘과 하얀 구름, 그리고 거길 지나가는 새 한 마리가 보이더니 단원들은 어느새 평원에 앉아있다. 이어 들리는 강마에의 목소리. “느껴지세요. 여기는 사람의 때가 묻지 않은 새로운 세계입니다. 넬라 판타지아의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보이지 않는 소리를 보이게 하는 연출
MBC 수목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에 등장하는 이 초현실적인 장면은 클래식 연주와 연주자의 느낌이라는 영상으로는 표현하기 곤란한 시퀀스를 잘 표현하고 있다. 강마에식으로 표현하면 사실 “박자 맞추고 음 안 놓치고 그런 건” 중요한 게 아니다. 그건 혼자 죽어라 연습하면 다 되니까. 중요한 건 관객에게 무얼 전달하려 하느냐는 그 마음, 그 느낌이다. 대사로 전달하면 통상적인 말에 끝났을 이 시퀀스는 그러나 이 초현실적인 장면으로 연출되면서 생생함과 함께 깊은 감동을 주게된다.

이제 곧 귀가 먹게될 두루미에게 그 절망적인 상황을 인지하게 하려고 강마에가 물 속으로 들어가 보라고 종용하는 장면에서도 이러한 연출력은 돋보인다. 그 아무 것도 들리지 않는 암흑 속의 절망감을 표현하기 위해 카메라는 물 속에서 연주하는 연주자들을 그려냈다. 연주광경은 있으나 소리가 들리지 않는 그 장면은 고스란히 두루미가 겪게될 상황을 감각적으로 전해준다. ‘베토벤 바이러스’의 이러한 연출은 소리가 주는 절망감과 환희를 영상으로 표현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된다.

이것은 강마에가 어떻게 지휘자의 길로 들어섰는가에 대한 에피소드에서도 등장한다. 가난했던 강마에가 병져 누운 어머니에다 수재까지 겪으며 절망해 자살하려 했던 그 순간, 그의 귀를 괴롭히던 어머니의 가래 끓는 소리 속에서 합창 교향곡으로 연결되는 장면이 그렇다. 여기서 어린 강마에가 현재의 강마에를 조우하는 초현실적인 장면이 연출된다. 여기서 지옥 같던 소리는 아름다운 합창교향곡으로 구원받는다.

그림 속에 박제된 시간을 살리는 연출
한편 SBS 수목드라마 ‘바람의 화원’에서는 오랜 세월이 지나온 그림 한 장 속에 잠들어있는 이야기를 깨어내기 위해 초현실적인 연출을 활용한다. 그림이 꿈틀꿈틀 살아 움직이며 실사로 변하거나, 실사가 화원의 붓끝에 의해 그림으로 변하는 식이다. 신윤복의 ‘기다림’이라는 그림은 정순왕후가 나무 곁에 서서 잠깐 동안의 여유를 즐기는 모습을 크로키처럼 빠르게 신윤복(문근영)이 그리는 장면으로 연출된다. 여기서 실사는 그대로 붓끝의 질감으로 서서히 변하면서 그림으로 나타난다.

이런 장면이 가장 뛰어나게 연출된 것은 김홍도의 ‘군선도’에 있어서다. 먼저 저잣거리를 돌아다니는 신윤복과 김홍도(박신양)의 눈에 다양한 인물군들이 포착되는 장면들이 연출되고, 이어서 김홍도가 그림을 그리는 장면에서 그림 속의 인물이 그 저잣거리의 인물들과 오버랩된다. 이러한 연출은 지금 현재 박제로 남아있는 그림을 살아있게 만드는 동시에 김홍도가 가지고 있는 그림의 철학을 엿보게도 해준다. ‘군선도’를 그리며 “보이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그리는 것”이라는 말은 저잣거리의 인물들을 통해서도 신선을 볼 수 있다는 말과 다름 아니다.

또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신윤복의 그림, ‘단오풍정’은 단오에 계곡에 모여 머리를 감고 그네를 타는 여인네들을 드라마 속 에피소드로 풀어냄으로서 정지된 그림 속의 이야기를 눈앞에 생생히 보여준다. 기생 정향(문채원)과 신윤복이 함께 그네를 뛰면서 그 부서지는 풍광들 속에 계곡의 여인네들이 하나하나 그림의 부분으로 바뀌는 장면은 이 드라마가 가진 연출미학의 백미라 할 수 있다.

두 드라마가 예술을 다루고 있기 때문일까. ‘베토벤 바이러스’와 ‘바람의 화원’은 영상미학에 있어서도 뛰어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보이지 않는 소리를 보이게 하고, 오랜 시간 동안 화폭 속에 박제된 시간을 열어 그림을 꿈틀대게 만드는 초현실적인 연출의 힘은, 그저 보여지는 영상 그 이상의 것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드라마인지 꿈인지 착각될 정도의 영상 연출은 우리로 하여금 시각에만 매몰되어 있던 영상을 상상력의 세계로 넓혀나가게 해준다. 그리고 그것은 어떤 면에서는 바로 음악과 미술 같은 예술 자체가 지향하는 것이기도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