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 당신은 정도전인가 정몽주인가

 

역심인가 민심인가. 썩어 빠진 조정을 쇄신하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겠다는 정도전(조재현)이 오로지 생각하는 건 도탄에 빠진 백성들이다. 그는 백성들을 위해서 잘못된 나라를 뒤집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한다. 그것은 민심이기도 하지만 또한 역성혁명이기도 하다.

 

'정도전(사진출처:KBS)'

충심인가 타협인가. 한편 정도전과 맞서는 정몽주(임호)는 그래도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개혁은 하되 그 개혁 또한 나라를 전제해야 한다는 것. 역성혁명이란 민심을 빙자한 정치적인 야심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고려에 대한 충심이기도 하지만 또한 타협처럼 보이기도 한다.

 

정도전이 혁명을 위해 꺼내놓은 카드는 사전을 혁파하겠다는 전제 개혁이다. 가진 자들의 땅을 백성들에게 나눠주려는 것. 이것 때문에 스승인 이색(박지일)과 그는 날선 대결을 벌인다. 결국 이색을 탄핵하자는 주장이 나오면서 이를 반대하는 정몽주와 철회는 없다는 정도전이 다시 맞선다.

 

삼봉은 지금 정치를 포기하고 전쟁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정치의 소임은 절충입니다. 상대를 인정하지 않고 공격을 서슴지 않는 것은 야만이란 말입니다(정몽주).” “정치의 소임은 세상의 정의를 바로 잡는 것입니다. 수백 년 간 백성들의 고혈을 빨아먹은 밥버러지들과 절충이라뇨. 야합이고 불의이며 백성들에 대한 배신입니다(정도전).”

 

KBS 주말사극 <정도전>에서 정도전과 정몽주가 대립하는 이 장면들은 무려 6백년이 훌쩍 넘은 과거의 역사지만 지금 현재 우리네 현실과 고스란히 맞닿아 또 다른 울림을 만들어낸다. 비단 옷을 입고 있는 자들 앞에서 고개를 숙인 배고픈 걸인들의 모습이 과거의 일로만 보이지 않는다. 정도전이 그 걸인들과 길바닥에 앉아 만두를 나누는 장면은 그래서 인상적이다.

 

영화 <변호인>에서 송우석 변호사(송강호)국가는 국민입니다라고 외쳤을 때 그것이 그토록 대중들의 마음을 사무치게 한 것은 현실이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가와 국민은 어느 순간부터 분리되기 시작했다. 국가가 국민을 지켜주지 못하고 몇몇 가진 자들의 배만을 불리게 해주며 거짓말을 일삼으니 국민이 국가를 국가로서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정도전>은 끝까지 고려를 선택하다 결국은 죽음을 맞이한 정몽주와, 국가가 아닌 백성을 선택해 조선을 세운 정도전을 대립시킨다. 이 둘의 설전은 그래서 지금 현재 국가냐 국민이냐를 놓고 벌어지는 보수와 진보 사이의 대립을 환기시킨다. 한쪽에서는 그래도 애국을 말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힘겨운 현실에서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하는 국민을 말한다.

 

역사책을 열어보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극화한 정통사극 <정도전>이 이토록 대중들의 반응을 얻어내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기막힌 과거와 현재의 조우가 있기 때문이다. 역사란 결국 현재에 의미 있는 과거를 찾아내는 일이 아닌가. 국가인가 국민인가를 묻는 <정도전>의 질문은 그래서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똑같은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정도전인가 정몽주인가.

비참한 삶 속에서 인간다운 삶이란

 

대선이 끝났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당선으로 막을 내렸지만 그 어느 선거보다 뜨거웠던 대중들의 염원을 느낄 수 있었던 선거였다. 보수 진보와 신구세대로 나뉘어져 팽팽한 대결을 벌였지만 그 공약이 전하는 내용들은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경제민주화로 양극화 문제 해결, 반값등록금 실현과 청년 실업 해결, 대기업의 횡포로 사라져버린 골목 상권 부활 등등. 그것이 보수 진보와 신구세대를 넘어선 작금의 민심이었기 때문이다.

 

사진출처:영화 <레미제라블>

대선이 치러진 날 <레미제라블>이 개봉되었다.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 결과 <레미제라블>은 이 날에만 전국 28만 3887명의 관객을 동원 누적 관객수 34만 3094명을 기록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랐다. 많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마치고 이 영화를 봤을 것이다. 이미 고전을 통해 익히 알고 있는 이 영화를 통해 대중들은 어떤 희망을 꿈꾸었을까.

 

<레미제라블>은 1789년 프랑스 대혁명 후의 비참했던 민중들의 삶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제목부터가 <레 미제라블 Le Miserable> 즉 ‘비참한 사람들’ 혹은 ‘가난한 사람들’이다.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무려 19년의 감옥살이를 지낸 장발장, 병을 앓고 있는 코제트를 위해 몸까지 팔다가 결국 죽음을 맞이한 불쌍한 여인 팡틴, 고아나 다름없이 갖은 구박과 착취를 겪으며 살아가는 코제트가 그들을 대변하는 인물들이다.

 

이 가난과 비참이 전염병처럼 돌고 있는 도시, 그 끝없는 고통의 그늘 속에서 마리우스 같은 혁명을 꿈꾸는 젊은이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기득권을 가진 아버지를 부정하고 이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을 위해 기꺼이 몸을 던진다. 하지만 혁명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거리 시위에서 모두 죽음을 맞이하고 결국 혼자만 장발장에 의해 살아남게 된 마리우스는 절망감에 사로잡힌다. 그 마리우스를 위로하고 감싸 안는 건 바로 연인 코제트와 그 사랑을 이뤄준 장발장이라는 위대한 인간의 헌신이다.

 

<레미제라블>은 최근 우리 문화계의 화두로 자리하고 있다. 뮤지컬 영화가 개봉되었고, 뮤지컬은 우리말로 초연되었다. 5권으로 완역된 소설은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라있고 심지어 다시 돌아온 피겨 여왕 김연아의 프리 프로그램의 새 레퍼토리가 바로 이 작품이다. 왜일까. 도대체 150년의 세월을 뛰어넘은 이 걸작이 지금 우리 시대와 맞닿은 지점은. 그것은 아마도 20세기, 자본이 그려낸 지구의 미래가 양극화라는 위기의식을 가져왔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게다.

 

돈이면 사람도 서슴없이 거래되는 이 비참한 시대에 <레미제라블>의 장발장이 전하는 메시지는 그 속에서 어떻게 사는 것이 인간다운 삶인가 하는 질문이다. 그리고 그런 삶은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희망이다. 도둑질을 한 장발장을 끌어안아 그 영혼을 구원한 미리엘 주교의 삶은 바로 그대로 장발장에 의해 반복된다. 한 사람에게 준 희망의 촛불이 다른 여러 사람의 희망을 비춰주는 빛이 되었던 것.

 

원작에서 장발장은 죽어가며 이런 말을 남긴다. “죽는 건 아무 것도 아니야. 무서운 건 진정으로 살지 못한 것이지.” 세상이 제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해서 절망할 건 없다. 스스로 진정 인간다운 삶을 선택하며 살아가는 것 그것이 중요한 일이니까.

 

대선은 끝났고 당락은 결정됐다. 자신이 지지한 후보가 당선되었든, 아니면 그렇지 못했든 그 과정에서 지금 이 땅의 대중들의 염원은 충분히 전달되었을 것이다. 이제 남은 건 그 염원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게 다시 한 걸음 한 걸음 나가는 일이다. 저 <레미제라블>의 장발장이 그랬던 것처럼.

 

관련 글 : '레 미제라블', 이 노래 하나로 충분한 영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