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예능 추락의 시대, <나 혼자 산다>의 생존비결

 

11시대 주중 예능 프로그램들은 이제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는 걸까. 목요일 밤에 방영되는 강호동의 MBC <별바라기>는 시청률이 고작 3%. 경쟁 프로그램인 유재석의 KBS <해피투게더>7.1%(73일 닐슨 코리아). 이것도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어 모은 <정도전> 출연자들이 게스트로 나왔기 때문에 올라간 수치다. 이전에는 6%대에 머물렀다.

 

'나 혼자 산다(사진출처:MBC)'

한때 주중 예능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토크쇼라고 지목됐던 KBS <안녕하세요>도 최근에는 6%까지 시청률이 떨어졌다. SBS <힐링캠프>4,5%대를 전전하다 브라질 월드컵 시즌에 반짝 6%를 기록하더니 다시 3%대까지 떨어졌다. 강호동이 출연하는 <우리동네 예체능>도 브라질 월드컵을 특수로 여겼지만 웬걸. 브라질 월드컵을 기점으로 시청률은 4%까지 오히려 떨어졌다. 이런 사정은 수요일 저녁(<라디오스타> 5%, <도시의 법칙> 3%)도 마찬가지다.

 

주중에 살아남은 예능은 11% 정도의 시청률을 내고 있는 SBS <정글의 법칙>이 거의 유일하다. 하지만 이 시청률도 과거와 비교해보면 뚝뚝 떨어지고 있는 걸 알 수 있다. 화제성 면에서도 <정글의 법칙>은 예전만 못하다. 흥미로운 건 이 와중에 MBC <나 혼자 산다>가 꽤 괜찮은 성적으로(7%에서 9%까지 나온다) 선전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 혼자 산다>라는 제목처럼 이 프로그램은 저 혼자 살아남은 예능이 되고 있다.

 

도대체 그 저력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우선 주중 예능으로서 가장 많이 포진되어 있던 스튜디오 토크쇼 트렌드를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나 혼자 산다>MBC에서 관찰카메라 형식을 처음으로 전면 도입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이 보인 가능성 때문에 <아빠 어디가><진짜 사나이> 같은 <일밤>의 관찰카메라 트렌드 시대가 열렸다.

 

주중 예능에 있어서 이미 무덤으로 인식되고 있는 토크쇼 트렌드를 과감하게 벗어났다는 점에서 <나 혼자 산다>는 일단 세간의 시선을 끌었다. 하지만 이러한 형식적인 변화만으로는 대중적으로 성공하기는 어려운 법. <나 혼자 산다>의 또 다른 핵심적인 무기는 싱글족 트렌드라는 새로운 문화를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이다. 이미 전체 인구의 4분의 1이 혼자 사는 싱글족이 된 시대에, <나 혼자 산다>는 그저 저들은 어떻게 혼자 살까 하는 궁금증만으로도 충분히 관심을 끌었다.

 

관찰 카메라의 특성은 리얼리티가 극대화되어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것은 강점이기도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단점이 되기도 한다. 리얼한 카메라에 포착된 누군가의 혼자 사는 삶은 때로는 궁색하게 보이기 마련이다. 그것은 따라서 리얼하기는 하지만 마냥 보고 확인하고 싶은 풍경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나 혼자 산다>는 이 리얼함에 덧붙여, 혼자 사는 삶의 판타지를 부여해주었다. 노홍철이 패러글라이딩을 체험하거나 스위스 여행을 하는 모습은 어찌 보면 혼자 사는 삶의 자유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관찰카메라 형식이라는 극단적인 리얼을 추구하면서도 리얼리티와 판타지가 적절히 조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은 이미 혼자 사는 삶이 그 자체로 이 양자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혼자 사는 삶은 때론 궁상처럼 보이지만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면 관계의 피곤을 벗어난 자유로운 삶의 판타지로 다가오기도 한다.

 

<나 혼자 산다>가 살벌한 주중 예능 경쟁에서 혼자 살아남은 이유는 지금의 트렌드에 걸맞는 형식적인 변화를 시도했다는 점이 그 첫 번째고, 그 형식 위에 현재의 라이프 스타일인 싱글 라이프를 리얼리티와 판타지 양면으로 균형 있게 보여주는 점이 그 두 번째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여타의 싱글 라이프를 소재로 한 예능 프로그램들과 달리, 인위적인 느낌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게 특징이기도 하다. 특별한 걸 만들어내기 보다는 그저 그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재미를 준다는 점. 이것은 어쩌면 <나 혼자 산다>가 가진 꾸준한 인기의 비결일 것이다.

<별바라기>, 별보다 바라기 토크에 주목하는 까닭

 

이상한 일이다. MBC에서 정규편성된 <별바라기>에는 별들(스타)과 바라기들()이 함께 나와 있는 프로그램이지만 별들보다는 바라기들의 이야기에 더 시선이 집중된다. 윤민수, 오현경, 우지원이 게스트로 출연해 이른바 국가대표 특집이라고 이름을 붙여놨지만 사실 <별바라기>가 집중하는 건 그들이 아니다. 별들은 침묵하고 바라기들이 한바탕 수다를 풀어내는 곳. 그것이 <별바라기>라는 토크쇼의 독특한 지점이다.

 

'별바라기(사진출처:MBC)'

바이브 때는 얼굴이 영 아니었다. 얼굴로 좋아하면 안 되겠구나 생각했다.” 가수 윤민수의 바라기인 박서린씨는 팬이지만 사실은 사실이라는 식의 객관적인 토크로 스튜디오를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그녀의 독특한 캐릭터는 자신이 상심을 당했을 때 바이브의 노래가 자신을 치유해줬다는 조금은 슬픈 이야기를 할 때조차 출연자들로 하여금 웃음을 참지 못하게 했다.

 

웃음만이 아니었다. “보통 발라드를 들으면 더 슬프지 않을까 생각하잖냐. 그게 아니다. 발라드를 들으면 , 이 사람이 나와 같구나라는 느낌이다. 나를 위로해주는 느낌.” 박서린씨의 이야기는 듣는 이들을 뭉클하게 했다. 결국 공감이 주는 깊은 위로가 팬들로 하여금 스타를 바라기하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는 것.

 

별들이 아니라 바라기들에 주목하는 프로그램은 최근의 방송 경향이 왜 일반인 트렌드로 바뀌고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사실 토크쇼의 첫 게스트로서 윤민수, 오현경, 우지원은 그리 강력한 존재감을 기대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까지 이 프로그램이 어떤 매력을 전해주게 될지 예측하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웬걸? <별바라기>의 진짜 게스트는 별들이 아니라 더 강력한 존재감을 보여주는 바라기들이었다.

 

오현경과 바라기인 채민경씨의 이야기는 별과 바라기의 입장이 역전된 느낌마저 주었다. 살뜰하게 오현경을 챙겨주고, 세심하게 배려하는 채민경씨에 감복한 오현경은 오히려 자신이 삶의 큰 힘을 얻었다고 증언했다. 생일에 친구들에게 축하 편지를 쓰게 하고 영상편지까지 담아 오현경씨에게 전해주었다는 채민경씨의 이야기는 팬과 스타의 관계 그 이상을 보여주며 가슴 한 구석을 훈훈하게 만들었다.

 

이것은 <별바라기>가 최근 토크쇼의 경향을 제대로 보여주는 장면들이다. 스타들의 공간처럼만 여겨져 온 토크쇼가 이제는 일반인들로 넘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스타 게스트들이 어떤 토크에 대한 예측된 기대를 하게 만든다면 일반인 게스트들은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알 수 없다는 그 예측 불허의 지점으로 의외의 재미를 선사한다. 뻔한 스타들의 이야기에 대한 식상함보다는 일반인 팬들의 이야기가 훨씬 참신하게 다가온다는 것이다.

 

그래서 스타와 팬의 공존을 보여주는 <별바라기>는 그 독특한 관계에서 나오는 이 프로그램만의 특별한 공감대를 선사하면서 지금껏 자신을 사랑해준 팬들에게 스타들이 그들만의 무대를 선사하는 인상을 준다. 이것은 이 프로그램이 재미나 화제성을 떠나 일단 대중들을 잡아끌 수 있는 정서적인 부분만큼은 확실히 확보하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일반인 출연자들이 제공하는 의미와 감동은 충분하다. 이제 남은 건 어떻게 이 프로그램이 좀 더 화제를 이끌어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스타가 아닌 팬에 집중한 만큼 소박하고 진솔한 색깔을 가져왔지만 그만큼 화제성면에서는 조금 부족한 면을 보이는 것. 만일 <별바라기>가 이 화제성까지 끌고 갈 수 있다면 이 독특한 토크쇼는 스타와 팬이, 연예인과 일반인이 공존하는 특별한 시간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