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
‘오징어 게임2’, 자본의 방식과 민주주의의 방식대중문화 비평 2025. 1. 9. 15:47
“넌 그 비행기를 탔어야 했어. 네 선택을 후회하게 될 거야.”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는 프론트맨(이병헌)이 기훈(이정재)에게 하는 경고로 문을 연다. 그건 ‘선택’에 대한 경고다. 시즌1 엔딩에서 미국으로 가려던 기훈(정재)은 발길을 돌리며 프론트맨(이병헌)에게 전화로 선전포고한 바 있다. “난 말이 아니야. 사람이야. 그래서 궁금해. 너희들이 누군지. 어떻게 사람에게 이런 짓을 할 수 있는지. 그래서 난 용서가 안돼. 너희들이 하는 짓이.” 만일 기훈이 그대로 비행기를 탔다면 어땠을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고 저들이 원하는대로 세상은 흘러갔을 게다. 하지만 발길을 되돌린 그는 저들과 맞서려 하고 이 잔혹한 게임을 끝장내려 한다. 프론트맨의 경고와 기훈의 선전포고. 시즌2는 이 두 흐름의 부..
-
‘오징어 게임2’, 왜 우리는 빵 대신 복권을 선택할까이주의 드라마 2024. 12. 30. 13:59
‘오징어게임2’, 시즌1과 달라진 건 시스템에 대한 대결의식딱지남(공유)은 노숙자들에게 다가가 빵과 복권을 내밀고 둘 중 하나를 가지라고 한다. 당장 먹을 수 있는 빵을 선택할 것 같지만 이들은 대부분 복권을 선택하고 긁고 난 후 꽝이 된 복권 앞에 절망한다. 딱지남은 그렇게 절망한 모두가 보는 앞에서 빵을 버리고는 이렇게 말한다. “이 빵을 버린 건 제가 아니라 선생님들입니다.” 그리고는 인정사정없이 빵을 짖밟아 버린다.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 첫 회에 등장하는 이 장면은 가난한 이들이 더욱 가난해지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작동방식을 드러낸다. 골고루 빵을 선택해 나눠 먹으면 똑같이 굶주리지 않을 수 있지만, 이들은 빵보다 더 큰 걸 원한다. 하지만 손에 잡힐 것 같은 돈은 사실상 헛된 욕망이다..
-
우리는 ‘습관처럼, 분리불안처럼’ 살아가는 건 아닐까이주의 드라마 2024. 12. 9. 07:24
‘트렁크’, 시스템의 관계들을 분해하자 드러난 것들우리는 어쩌면 습관처럼, 분리불안처럼 살아가는 건 아닐까. 결혼은 사랑의 결실로 이야기하지만, 결혼 후의 삶은 과연 사랑으로 계속 채워질까. 사랑은 과연 그렇게 영원한걸까. 사랑이 아니라면 결혼 후의 관계는 무엇일까. 저마다 각자가 가진 외로움과 불안과 습관 그리고 혹은 상처들이 뒤범벅되어 그저 서로를 붙들고 있는 그런 건 아닐까. 넷플릭스 시리즈 ‘트렁크’는 이처럼 많은 질문들을 던지게 만드는 작품이다. 사랑과 관계 그리고 결혼에 대해 그 실체를 질문하는 작품인지라 클리셰적인 멜로나 로맨스 혹은 치정을 기대했지만 실망감만 가득할 작품이다. 게다가 ‘기간제 결혼’이라는 과감한 가상 설정은 이 드라마의 문턱을 높인다. 일단 이 문턱을 받아들이고 나면 그 안..
-
‘서진이네2’의 뒷것 자처한 이서진의 놀라운 존재감이주의 방송 2024. 8. 5. 21:07
‘서진이네2’, 이서진의 경영 시스템 개선이 만든 효과제목은 ‘서진이네2’인데, 정작 이서진은 앞이 아니라 뒤에 서 있는 느낌이다. 서빙을 하고 몰려드는 손님들을 나서서 정리하는(?) 역할을 선보이기도 하지만, ‘서진이네2’를 매 회 채우는 건 역시 주방이다. 그 날의 셰프로 선정된 이가 사실상 그 회차의 주인공이나 마찬가지고 새로 들어와 그 주방보조로 고정된 고민시는 그 주인공과 함께 늘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 실제로 첫 영업날 셰프로 나선 최우식은 역시 예능을 잘 아는 그의 매력을 한껏 드러냈다. 첫 날은 손님이 많지 않을 걸로 예상해 ‘버리는 카드’로 등판한 줄 알았지만 의외로 몰려온 손님들 속에서 최우식은 다리가 후들거릴 정도로 하얗게 불태우는 모습으로 웃음을 줬다. 인턴으로 처음 ‘서진이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