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드라마

‘오징어 게임2’, 왜 우리는 빵 대신 복권을 선택할까

728x90

‘오징어게임2’, 시즌1과 달라진 건 시스템에 대한 대결의식

오징어 게임2

딱지남(공유)은 노숙자들에게 다가가 빵과 복권을 내밀고 둘 중 하나를 가지라고 한다. 당장 먹을 수 있는 빵을 선택할 것 같지만 이들은 대부분 복권을 선택하고 긁고 난 후 꽝이 된 복권 앞에 절망한다. 딱지남은 그렇게 절망한 모두가 보는 앞에서 빵을 버리고는 이렇게 말한다. “이 빵을 버린 건 제가 아니라 선생님들입니다.” 그리고는 인정사정없이 빵을 짖밟아 버린다.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 첫 회에 등장하는 이 장면은 가난한 이들이 더욱 가난해지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작동방식을 드러낸다. 골고루 빵을 선택해 나눠 먹으면 똑같이 굶주리지 않을 수 있지만, 이들은 빵보다 더 큰 걸 원한다. 하지만 손에 잡힐 것 같은 돈은 사실상 헛된 욕망이다. 그 많은 욕망들이 빵 대신 희생한 것들을 한 사람이 독식하려는 것이지만, 그 한 사람이 될 확률은 0에 가깝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이 굴러가는 동력은 바로 그 헛되어 보이지만 될 수도 있을 것 같은 욕망들이 결합해서 움직인다는 걸 이 시퀀스는 보여준다. 

 

‘빵과 복권’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의 시스템을 꺼내놓으며 ‘오징어게임2’가 돌아왔다. 그 시스템은 이미 우리가 시즌1에서 456명이 456억의 상금을 두고 벌이는 게임을 통해 들여다본 것이다. 그 곳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아 그 상금을 갖고 돌아온 기훈(이정재)은 그 시스템을 봤고 경험한 인물이다. 그러니 시즌2로 돌아온 기훈의 목표는 저 시즌1과는 다르다. 

 

“난 말이 아니야. 사람이야. 그래서 궁금해. 너희들이 누군지. 어떻게 사람에게 이런 짓을 할 수 있는지.” 시즌1의 마지막에 기훈이 프론트맨(이병헌)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했던 말은 시즌2의 서사가 시즌1과는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를 알려준다. 시즌1은 결국 돈을 벌고 살아남기 위해 경마장의 말처럼 뛰고 또 뛰어 결국 목표를 이뤘지만 그 돈이 누군가의 목숨값이라는 사실 앞에 절망하게 된 기훈을 그렸다. 시즌2에서 기훈은 이제 그 목숨값으로 저들의 공고한 시스템을 끝장내려 한다.

 

그저 저들의 시스템 안에서 놀아나는 말이 되거나 혹은 저들이 시키는대로 뛰고 짖고 꼬리나 흔드는 개가 되어야 하는 상황 앞에서 기훈은 다시 게임에 들어가 그 시스템과 대결한다. 저들이 원하는대로 움직이지 않기 위해 사람들을 설득하려 하고, 탈락이라고 호명되면 무차별로 총을 쏴 죽이는 저들의 개와도 맞서려 한다. 이미 한 번 그 곳을 경험해본 기훈은 게임의 종목이 달라졌어도 그것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변화할 것이고 또 저들은 어떻게 나올 것인가를 어느 정도 예측해가며 대응하려 한다. 

 

하지만 ‘오징어게임2’에서 기훈의 가장 큰 복병으로 등장하는 건 영일(이병헌)이라는 이름으로 01번을 달고 게임에 들어온 프론트맨이다. 그는 기훈을 돕는 척 하지만 사실은 그의 옆에서 게임을 조종하기도 하고 결정적인 순간 기훈의 계획을 무산시킬 심산이다. 시스템과 대결하려는 기훈 옆에 그 시스템의 정점에 있는 인물이 정체를 숨긴 채 존재한다는 건 ‘오징어게임2’가 이 세계를 통해 은유하려는 자본주의의 섬뜩함을 드러낸다. 시스템의 잔혹함을 알고 있고 그래서 싸우려 해도 적은 저 편이 아니라 바로 내 옆에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모두가 힘을 합쳐야 그 시스템에 균열을 낼 수 있지만, 사람들이 저마다 갖고 있는 욕망들은(심지어 소박한 꿈이나 소망까지) 이들을 하나로 묶어내지 못한다. 그 욕망의 힘은 심지어 친구나 동료는 물론이고 부모 자식 관계까지 끊어놓을 정도로 강력하다. 기훈과 영일로 대변되는 내부의 갈등들은 게임에 참여한 이들 사이에 벌어지는 갖가지 갈등과 엮어져 시스템과의 대결을 어렵게 만든다. 

 

어찌 보면 게임에 참여해 사투를 벌이는 일련의 시즌2의 과정들은 시즌1과 유사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황동혁 감독은 유사한 구조에 달라진 기훈을 투입시킴으로써 변주를 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시즌1의 오프닝을 열었던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에서도 기훈이 전체를 이끌어가며 “얼음!”을 외치는 장면이 그렇다. 또 비석치기, 공기놀이, 팽이돌리기, 제기차기 같은 새로운 우리의 민속놀이가 게임버전으로 등장하고, 무엇보다 “둥글게 둥글게-”하는 음악이 흐르다 멈추면 호명하는 숫자만큼 모이는 게임은 압권이다. 

 

무엇보다 시즌2를 통해 전환된 서사가 시즌3를 통해 시스템과 치열하게 펼쳐질 대결은 시즌1과 달라진 지점이다. 시즌1이 이 게임의 구조를 보여줬다면, 시즌2와 시즌3는 이 비정한 게임을 끝장내려는 과정을 담고 있다. 알다시피 자본화된 세계가 가진 비정함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하지만 그걸 막지 못하는 건 우리가 이미 그 시스템 안에 들어와 있고 그 방식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과연 기훈은 동료처럼 위장한 채 바로 옆에 존재하는 영일 같은 시스템과의 대결을 이겨낼 수 있을까. (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