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 말하는 대로 이뤄지는 세상

 

우리 시대에 말이 가진 신뢰는 얼마나 될까. 아마도 현저히 떨어질 게다. 이유는? 정치인들 때문이다. 선거 때만 되면 무수히 쏟아지는 공약들, 호명되는 서민들, 뭐든 해주겠다는 그 아라비안나이트의 램프 요정 같은 얘기들... 하지만 선거철이 끝나고 나면 언제 그랬냐 싶게 입을 싹 닦거나 아예 공약을 뒤집는 행위도 서슴지 않는다. 이러니 말의 공신력이라는 것이 있을 수 없다. <무한도전>의 ‘말하는 대로’ 특집을 보면서 새삼 말의 신뢰를 떠올리는 건 그래서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사실 <무한도전>의 ‘말하는 대로’ 특집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한참 게임에 몰두하면서 벌칙으로 무리수에 가까운 공약을 내걸고는 결과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벌칙을 수행하던 ‘지못미’ 특집도 알맹이를 보면 이 특집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박명수와 정준하가 다크나이트 조커와 쿵푸팬더로 분장한 채 길거리를 활보하던 그 벌칙 수행은 ‘말하는 대로’ 이뤄지는 <무한도전>의 세상을 이미 보여준 바 있다.

 

알래스카에서 김상덕씨 찾기 미션 또한 마찬가지였다. <식객> 편에서 농담식으로 던진 ‘알래스카 김상덕씨’ 얘기가 일이 커지면서 실제 미션이 되어버린 사례다. 그들은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알래스카까지 날아가 혹한에서 바늘 찾듯 김상덕씨를 수소문했고 결국 찾아내기도 했다. 작은 말 한 마디가 거대한 사건으로 연결된다는 것 그 자체가 주는 흥미진진함은 <무한도전>만이 가진 신뢰가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이 곳에서는 공약으로 걸린 것은 반드시 이뤄진다.

 

<무한도전> ‘말하는 대로’ 특집은 이러한 공약형 미션(?)의 업그레이드판이다. 이미 말하면 수행하는 것이 하나의 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특집은 가능해진다. 각자 자신의 버스가 일정 노선을 순회하는 가운데, 육하원칙의 빈 공간에 저마다의 미션을 집어넣음으로써 그것을 해당 버스의 멤버가 수행하는 방식. 노홍철이 마지막 조커로 적힌 미션을 자신이 아닌 그걸 쓴 다른 멤버들에게 ‘반사’ 해버린 것처럼, 빈 공간이 채워질 때마다 미션 내용이 뒤집어지는 반전의 묘미까지 선사한다.

 

미션 속에서 박명수는 조커 활용을 잘못 이해해 미션을 적지 않고 그저 조커라고 써서 붙여놓음으로써 큰 웃음을 주었다. 그런데 이것 역시 박명수에게는 하나의 공약 수행으로 처리되었다. 즉 <무한도전>을 재개하면서 그가 내건 “목 놓아 웃겨 드리겠다”는 공약을 자기가 망가짐으로써 수행하게 됐던 것. 이처럼 <무한도전>의 세계는 시청자와의 약속을 지킨다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세우고 있는 셈이다.

 

말의 힘이 사라지면서 생겨나는 신뢰 없는 세상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요즘처럼 수많은 말들이 쏟아져 나오는 정보 홍수 시대에는 더더욱 그렇다. 도대체 무슨 말을 믿을 수 있을 것인가. 티아라 사태 같은 경우에서도 볼 수 있지만 이미 신뢰를 잃어버린 상황에서는 그 어떤 해명도 소통되지 않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무한도전> ‘말하는 대로’ 특집은 재미는 물론이고 큰 의미까지 거둔 전형적인 <무한도전>식의 미션이었다고 여겨진다. 그저 웃고 즐겨도 충분히 재미있지만 곰곰 씹어보면 더 감칠맛 나는 생각거리가 담겨져 있는 그런 미션. 귀환한 <무한도전>의 진면목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던 특집이었다고 여겨진다. 말하는 대로 이뤄지는 세상. 어찌 보면 정치권에서 되새겨봐야 할 대목이 아닐까.

연예인 신뢰를 이용, 소비자 기만

 

지난 9일 6개 연예인 쇼핑몰(백지영과 유리, 진재영, 황혜영, 김준희, 한예인, 김용표)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태료와 더불어 시정명령을 받았다.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를 했다는 것. 그들은 지각 등 근무수칙을 어긴 직원에 대해 의무적으로 소비자가 쓴 것처럼 사용 후기 5건을 올리게 했고(백지영, 유리 '아이엠유리'), 불리한 후기는 아예 게재하지 않았다고 한다(황혜영의 ‘아마이’). 이밖에도 끝난 이벤트를 계속 진행 중인 것처럼 속이는 수법을 쓰기도 했고, 추첨도 하지 않은 채 구매를 많이 한 VIP고객에게 사은품을 임의로 몰아주기도 했다.

 

'한밤의 TV연예'(사진출처:SBS)

하긴 인터넷 쇼핑몰의 이런 사기행위는 그다지 놀랍지도 않다. 아마 후기를 곧이곧대로 믿는 소비자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만큼 신뢰가 없는 세상이다. 심지어 진심으로 좋은 뜻의 후기를 남겨도 이른바 ‘알바’로 오인 받을 정도니까. 그래서 연예인 쇼핑몰의 이번 사건 역시 그런 관행의 하나쯤으로 치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근본적으로 다른 문제가 하나 들어가 있다. 그것은 이들 연예인 쇼핑몰의 성패 자체가 연예인들에 대한 대중들의 신뢰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들 쇼핑몰들은 연예인의 유명세 덕분에 큰 매출을 올리고 있다. 적게는 연매출 10억 원에서(이것도 적은 게 아니다) 많게는 무려 200억 원의 연매출을 올리는 쇼핑몰도 있다고 한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연예인이 전면에 있어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쇼핑몰이란 그만큼 간편하지만 직접 손으로 만지고 입어보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신뢰가 떨어지기 마련이다. 바로 그 부분을 연예인의 이미지가 채워주고 있었다는 얘기다.

 

사건이 공개된 후 백지영은 발 빠르게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사과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백지영은 "저를 포함한 '아이엠유리' 임직원이 인터넷 쇼핑몰 공정거래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사이트 활성화만을 염두에 두고 허위 후기를 남긴 점에 대해서는 모두 진심으로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공개사과에도 불구하고 대중정서는 싸늘하기만 하다.

 

대중정서가 더 싸늘해진 이유는 백지영이 그간 방송 등을 통해 늘 진솔하고 털털한 이미지를 보여 왔기 때문이다. 그 신뢰에 금이 간 것이다. 아마도 좀 더 깊은 생각 없이 그저 수익성을 보고 인터넷 쇼핑몰에 뛰어든 탓도 있을 것이다. 인터넷 쇼핑몰의 관행처럼 굳어져버린 알바성 후기들을 올리는 것이 어떤 짓인지도 생각하지 못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알바성 후기의 후폭풍은 기존 인터넷 쇼핑몰의 그것과 연예인 쇼핑몰의 그것과는 차원이 다를 수 있다. 인터넷 쇼핑몰들이야 그저 벌금 내고 말면 그만일 수 있지만, 연예인 쇼핑몰은 쇼핑몰의 차원을 넘어서 연예인 활동까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연예인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워 그만한 큰 수익을 거둬들이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하면서, 그 이미지가 책임져야 할 부분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 이런 결과로 이어진 것이 아닐까. 이번 연예인 쇼핑몰 사건은 그런 의미에서 연예인들이 사업을 벌일 때 잘되는 만큼 그 후폭풍도 크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그만한 책임이 따른다는 얘기다.

 

물론 쇼핑몰의 이런 문제들을 오로지 연예인 몇 명에게 책임지우고 넘어가는 건 문제의 진짜 핵심을 흐릴 수 있다. 이미 인터넷 쇼핑몰 전체에 대해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 불신을 거두기 위해서는 이번 문제에서 나아가 전체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점검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해당 연예인들 역시 이 문제를 단순히 사과하고 대충 넘길 수 있는 사안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간 사랑을 받아왔던 만큼, 그 기만행위에 의해 상처 입은 대중들에게 진심어린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