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사남’ 최민수, ‘모래시계’ 인생 캐릭터 경신할 판

정말 대단한 연기라고 말할 수밖에 없겠다. MBC 수목드라마 <죽어야 사는 남자>의 사이드 파드 알리 백작(본명은 장달구) 역할을 연기하는 최민수 이야기다. 우리에게 아직까지도 <모래시계> “나 떨고 있냐?”라는 대사로 기억되는 그는 이번 작품을 통해 인생 캐릭터를 경신할 판이다. 

'죽어야 사는 남자(사진출처:MBC)'

이번 작품이 최민수의 연기 인생에 남다르다고 여겨지는 건 코믹한 과장 연기로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해냈다는 점 때문이다. 마치 짐 캐리의 연기를 떠올리게 하는 그의 백작 연기는 의도적으로 과잉되어 있다. 마치 만화의 한 대목에서 나온 듯한 그런 비현실적인 캐릭터지만, 그것이 이 작품이 갖고 있는 판타지, 주제의식을 그대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970년대 중동에 근로자로 가서 일하다 성공한 억만장자 로맨티스트. 자신에게 딸이 있다며 공주와의 결혼을 거부하는 그에게 왕은 그 딸을 데려오라고 명하고, 만일 데려오지 못하면 그의 모든 것들을 빼앗겠다고 엄포를 놓는다. 그래서 어마어마한 재력으로 못할게 없는 이 억만장자가 한국으로 들어와 딸을 찾고 그 관계를 회복해가는 이야기가 이 드라마의 줄거리다. 

보통의 드라마라면 이런 키다리 아저씨를 가진 딸 이지영A(강예원)가 당연히 주인공 역할을 할 것이다. 그래서 처음 <죽어야 사는 남자>가 방영됐을 때 이지영A가 자신의 지위를 회복해가는 그 과정이 드라마의 주요 내용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보면 볼수록 실제 이 드라마의 주인공은 이지영A라기보다는 백작이라는 것이 명백해진다. 물론 거기에는 최민수가 구축해내고 있는 놀라운 연기력이 작용한 덕분이기도 하지만.

초반 백작이 엉뚱하게도 이지영A의 남편인 강호림(신성록)의 내연녀인 이지영B(이소연)를 딸로 착각하고 그녀 역시 거짓말을 하면서 고구마 전개가 이어졌지만, 이제 백작이 진짜 딸이 누구인지를 알게 된 상황부터는 반전이 이뤄지고 있다. 그가 자신의 아버지인 줄 모르는 이지영A에게 무심한 척 챙겨주는 백작의 부정이 훈훈한 풍경들을 연출하고 있는 것. 고아원에서 딸을 만난 백작이 그녀의 하이힐 굽이 부러진 걸 보고 자신의 신발을 벗어주는 장면에는 우습기만 했던 그의 딸에 대한 애틋한 마음이 묻어난다.

하지만 백작은 이런 딸에 대한 마음을 드러내면서도 그 고유의 캐릭터는 변함이 없다. 최민수는 여전히 과장된 표정 연기를 통해 자못 진지해진 순간에도 빵 터지게 만드는 상황을 연출한다. 진지한 연기를 줄곧 해왔던 최민수에게서 이런 코믹 캐릭터가 탄생한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완전히 그 캐릭터에 빙의되어 몰입하지 않게 되면 어색하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이 드라마의 제목 <죽어야 사는 남자>가 지칭하는 남자는 다름 아닌 백작이 아닐까 싶다. 이미 딸에게는 죽은 것으로 되어 있는 백작은 자신이 가진 재력으로 딸을 행복하게 해주고 싶어하지만 그것이 그녀의 진정한 행복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지점이 이 드라마가 내세우는 주제의식일 것 같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녀의 꿈인 드라마 작가의 길을 계속 걷게 하는 것이 백작의 딸이 되는 것보다 그녀에게는 더 큰 행복일 수 있다는 것. 그런 의미에서 백작은 딸을 위해서 ‘죽어야 사는 남자’가 아닐까.

어쨌든 <죽어야 사는 남자>는, 이런 흥미로운 캐릭터를 구축하고 그 힘으로 드라마의 동력을 만들어낸 최민수라는 배우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 되었다. 결코 쉽게 해낼 수 없는 연기를 통해 드라마에 흥미를 만들어내고 또 그것을 드라마의 주제의식과도 연결시켰다는 점에서 최민수의 백작 캐릭터는 당분간 쉽게 잊히지 않을 것 같다. <모래시계>의 인생 캐릭터를 경신할 정도로.

‘죽사남’, 이런 속물들 보고 있으니 웃기기보다는 씁쓸하다

도대체 누가 죽어야 산다는 얘기일까. MBC 수목드라마 <죽어야 사는 남자>의 제목은 실로 아리송하다. 그래도 드라마를 보며 느끼는 건 이런 속물적인 세상이어서 참으로 살맛이 안 난다는 점이다. 코미디로 포장하고 있지만 웃기기보다는 오히려 씁쓸함이 더 남는 풍경들이 <죽어야 사는 남자>에는 가득 채워져 있다. 

'죽어야 사는 남자(사진출처:MBC)'

35년 만에 딸을 찾으러 온 사이드 파드 알리 백작. 우리 이름으로 장달구(최민수)는 엄청난 재력의 소유자다. 하지만 제 아무리 돈이 많아도 그렇게 오랜 세월을 혼자 지내게 한 딸 앞이라면 최소한의 부채감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장달구는 부채감은커녕 딸 앞에서도 당연한 듯 재력을 과시한다. 최고급 스포츠카를 선물하고 명품 옷과 가방 구두를 사서 딸의 집으로 보낸다. 처음 딸을 만난 자리에서도(물론 그건 진짜 딸이 아니었지만) 스포츠카를 넣을 주차장을 위해 그만큼 큰 집을 사준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런 장달구의 딸에 대한 마음보다는 자신의 재력을 자랑하는 듯한 태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가 가짜 딸이라는 걸 알게 된 이지영B(이소연)는 거기에 대한 원망의 말 한 마디가 없다. 아버지만 있으면 된다고 말하지만 사실 그녀의 마음 속에는 아버지의 재력에 대한 욕망이 꿈틀거린다. 그래서 자신이 가짜라는 걸 알면서도 내연관계에 있는 유부남 강호림(신성록)에게 가짜 부부 행세를 하자고 제안한다. 

<죽어야 사는 남자>에 나오는 대부분의 인물들이 이렇게 돈 앞에 속물적인 모습을 보인다. 강호림은 자신의 은행에 장달구가 거액의 돈을 유치해준 덕에 지점장의 완전히 다른 대우를 받는다. 그래서 그 돈이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그러면 절대 안 되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이지영B와의 가짜 부부행세를 하는데 합의한다. 돈이면 다 되는 세상. 돈이 빠져나가면 그도 같이 나가라는 지점장의 이야기는 그래서 너무 현실적이라 씁쓸해진다. 

이 드라마에서 유일하게 속물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 인물은 이지영A(강예원)다. 남편인 강호림이 자신을 무시하고, 시댁 식구들이 마치 하녀 부리듯 그녀를 부려먹어도 그녀는 치밀어 오르는 화를 눌러가며 그걸 작품으로 승화하겠다고 한다. 드라마 작가가 되겠다는 그 꿈 하나를 위해 노력하지만, 그런 그녀를 남편과 시댁식구들을 무시하기 일쑤다. 유일하게 그녀를 응원해주는 건 딸과 그녀의 선배 미란(배해선)뿐이다. 

결국 이 모든 소동이 벌어지는 이유는 저 엄청난 재력을 가진 장달구라는 인물 때문이다. 그가 이 현실 속에 들어오게 되자 그들의 숨겨져 왔던 욕망들이 그를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나기 시작한다. 그러니 <죽어야 사는 남자>는 궁극적으로 이런 우리네 세태를 꼬집는 풍자극의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코미디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지만 웃으면서도 퍽퍽해지는 이상한 고구마의 느낌을 준다. 물론 아마도 이런 고구마는 결국 후반부에서 이지영A가 제 자리를 찾는 그 사이다 전개를 위한 포석일 것이다. 하지만 워낙 그 속물대잔치가 주는 고구마가 강해서인지 이러다간 사이다를 마시기도 전에 물릴 지경이다. 간간이라도 이지영A가 보여주는 사이다 한 모금이 절실해지는 시점이다.

최여진의 재발견, <공항>의 사랑만큼 진한 우정

 

너 나 결혼할 때 왜 안 말렸어? 뜯어말렸어야지. 박진석, 가족이랑 못산다. 네가 숨 쉬는 것도 지나다니는 것도 싫어할 거다. 나랑 살면서 최수아 너 만났듯이 너랑 살면서 끝없이 딴 여자 만날 거다. 넌 박진석 인생에서 곧 아웃이다. 왜 말 안했냐고? ? ? ?” KBS <공항 가는 길>에서 절친인 송미진(최여진)에게 최수아(김하늘)는 그간 쌓여온 감정을 쏟아낸다. 그 감정에는 자신의 남편 박진석(신성록)과 결혼한 자신에 대한 회한이 더 깊게 자리해있다.

 

'공항 가는 길(사진출처:KBS)'

송미진은 말렸어도 그녀가 박진석과 결혼했을 거라며 그녀를 속속들이 잘 알고 있는 자신을 드러낸다. “네가 내 말을 들었겠다. 미치도록 사랑해놓고. 너 거기서도 못살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미치겠지? 잘 살아? 못살아? 그것만 말해. 너 걱정돼서 그래. 어쩌자고 간건지 확실하게 말해. 내가 도울 수 있으면 도울 테니까.” 결국 송미진은 그녀와 다투면서도 그녀를 걱정한다. 그녀의 입장에서 그녀를 도울 거라고 말한다.

 

친구라면 이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 KBS <공항 가는 길>의 송미진은 절친인 최수아에게 결국 사과했다. 그녀가 최수아의 남편 박진석과 결혼 전에 동거했었고 결혼 후에도 두 사람이 사사로이 만난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그녀가 박진석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던 건 아니다. 어찌 보면 그녀 역시 피해자라고도 볼 수 있다. 그건 박진석이라는 애초부터 여성 편력이 있는 나쁜 남자에 의해 생겨난 일이기 때문이다. 박진석은 송미진과 동거하면서 심지어 그녀의 절친인 최수아를 만나 결혼까지 하게 된 것이다. 그러니 남자친구와 절친이 관계를 맺는 아픔을 먼저 겪은 건 바로 송미진이다.

 

최수아 역시 주변 사람들의 수근거림에도 불구하고 송미진이 남편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고는 결코 믿지 않는다. 다만 그녀가 과거 남편과 동거까지 했었다는 사실을 숨겼고, 박진석이 그런 인간이라는 걸 자신에게 말해주지 않았던 것이 못내 화가 날뿐이다. 그래서 송미진이 사과한 것은 최수아 남편과의 관계 때문이 아니라, 최수아와의 우정관계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만큼 두 사람의 우정이 끈끈하다는 것.

 

그리고 그들의 우정은 힘겨운 상황에서 빛을 발한다. 최수아가 결국 서도우(이상윤)의 아내인 김혜원(장희진)을 만나게 되고 그 관계를 들킨 후 뺨까지 맞게 됐을 때 그녀가 먼저 전화를 한 건 바로 송미진이었기 때문이다. 송미진은 유경험자(?)로서 최수아를 진정시킨다. 그리고 그녀가 살고 있는 제주도를 찾아온다.

 

<공항 가는 길>은 이미 결혼한 남녀 사이에 생겨난 인연을 다루는 드라마지만, 그 안에 사랑만큼 절절하게 다가오는 관계는 우정이다. 어찌 보면 송미진과 최수아 그리고 박진석의 관계란 미묘하게 얽힐 수 있는 잘못된 만남일 수 있다. 하지만 그 힘겨운 관계에서조차 어떤 위로를 주는 건 송미진과 최수아의 변치 않은 우정이다.

 

시원시원하면서도 타인에 대한 배려가 묻어나는 면면은 송미진이라는 인물이 가진 가장 큰 매력이다. 보통 멜로드라마에서 주인공의 절친은 마치 연애 코치를 하는 듯한 호감을 주기 마련이다. 송미진은 진정성 있는 우정은 물론이고 어딘지 어쩔 줄 몰라 하는 최수아 옆에서 든든한 지원자가 될 것 같은 걸 크러시의 면면까지 갖고 있다.

 

참 많은 드라마에 출연했지만 최여진이라는 배우가 특히 이번 작품에서 주목되는 건 아무래도 이 송미진이라는 인물이 제 옷을 입은 듯 그녀에게 잘 어울리기 때문일 듯싶다. 복잡한 남녀관계 속에서 명쾌한 우정관계를 드러내주는 인물이 주는 속 시원함과 든든함. 송미진이란 캐릭터를 통해 최여진이라는 배우 역시 달리 보인다

<공항>, 우연을 인연으로 엮어주는 공간의 마법

 

온 우주가 엮어주는 인연? 그들은 어떻게 그리도 우연의 만남이 반복되는 걸까. KBS <공항 가는 길>의 최수아(김하늘)와 서도우(이상윤)는 이상할 정도로 인연이 이어진다. 그 첫 번째 인연은 최수아의 딸 효은(김환희)과 서도우의 딸 애니(박서연)가 유학중 홈스테이 룸메이트로 지낸 데서부터 시작한다. 애니가 사고로 죽자 딸의 시신과 유품을 수습하러 가는 길에 최수아와 서도우는 만나고 마침 애니의 유품이 든 가방이 늦게 도착하는 바람에 그걸 기다리며 두 사람은 공항에서 시간을 보내게 된다.

 

'공항 가는 길(사진출처:KBS)'

애니의 죽음은 최수아와 서도우의 관계를 이어주는 끈이 된다. 그것은 딸을 둔 부모로서의 공감대이면서 죽음을 애도하는 한 인간으로서의 공감대이기도 하다. 그 공감대는 그래서 두 사람의 인연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남편 박진석(신성록)과 절친인 송미진(최여진)이 오래 전부터 관계를 맺어왔다는 걸 알게 되고 모든 일들이 뒤틀어지게 되면서 최수아는 더 이상 서도우와의 관계를 이어가지 못한다. 자신의 일탈 때문에 모든 것들이 잘못되어가는 듯한 기분이 들어서다.

 

결국 최수아는 딸을 데리고 무작정 떠난 제주도에서 다시금 정착해 새로운 삶을 살아가려 한다. 하지만 최수아와 서도우의 끊어져보였던 인연은 다시금 제주도에서 이어진다. 그것은 최수아가 막연히 꿈꾸던 공간이 바로 허허벌판에 불어오는 조용한 바람과 하늘을 가르는 전깃줄들 위에 다닥다닥 붙어 있는 새들을 볼 수 있는 제주도의 한 마을이었고, 마침 돌아가신 서도우의 모친이 자신의 매듭 작품이 전시됐으면 하는 공간으로 이야기한 곳이 바로 제주도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물론 우연의 일치라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우연 밑에는 필연이 감춰져 있다. 즉 최수아와 서도우가 만나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 최수아가 했던 제주도의 어느 바람 많지만 조용한 곳의 이야기는 어쩌면 서도우가 어머니의 유언으로 그녀의 작품 전시 공간을 생각할 때 막연히 떠올렸을 풍경이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두 사람은 저 마다 겪게 된 절망감(최수아는 남편과 친구 문제로 서도우는 어머니의 죽음으로)을 극복하기 위해 제주도라는 공간을 떠올렸고 찾아왔을 수 있다.

 

물론 이건 추정이지만 이야기는 독자들의 추정을 하나의 개연성으로 삼기도 한다. <공항 가는 길>에서 끊어질 듯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만남이 그저 우연의 남발이 아니라 어딘지 신비로운 인연처럼 여겨지게 되는 건 그래서다. 그런 만남은 사실 굉장히 확률이 낮은 것이지만, 공항이나 제주도 같은 특정한 느낌을 주는 공간을 매개로 하고 거기에 개인적인 욕망과 그들이 관계를 통해 서로에게 했던 이야기들 같은 것들이 얹어지면 의외로 가능성이 있는 만남으로 여겨지게 된다.

 

이것은 공간의 마법이다. 우리는 공간을 그저 물리적인 위치 정도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공간이 머금고 있는 이야기들은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만들어낸다. 굉장히 우연히 아는 사람을 어떤 공간에서 마주쳤을 때 어떤 경우에는 두 사람이 똑같이 떠올리는 어떤 공통의 기억이 그들의 발길을 그 곳으로 이끌었을 수 있다.

 

<공항 가는 길>에서 최수아와 서도우가 주로 공항에서 만나게 되는 건 그 공간이 주는 상징(일탈의 설렘과 두려움) 때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곳이 어딘가로 떠나는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의 공감대로 이어주는 공간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마음속으로 그리워하던 누군가를 우연히 만나는 것은 굉장히 확률이 낮은 일이지만, 그 그리워하는 마음들이 그들의 발길을 어느 한 공간(그것도 두 사람의 추억이 있는)으로 향하게 하고 그래서 거기서 우연히 그들이 만나게 되는 일은 그래도 가능할 것 같은 일이다.

 

<공항 가는 길>의 이 공간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만남과 헤어짐은 그래서 여타의 멜로드라마들이 갖고 있는 만남과 헤어짐과는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 마치 하늘 위에서 공간을 내려다보는 것처럼, 헤어진 사람들이 그들이 나누었던 어떤 작은 이야기나 기억 같은 것이 계기가 되어 다른 곳에서 다시 만나는 그 과정들을 관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이다. 이 관조적 관점은 우리가 인연이라고 부르는 관계의 신비함을 드러내면서 어떤 위로와 위안을 준다. 마음 아픈 이별을 하기도 하지만 언젠가 만날 사람은 그 공유된 기억을 통해 발길이 이끌린 어떤 공간에서 결국은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이야기를 건네고 있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