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가
-
'아빠 어디가', 다섯 아이가 주는 다섯 가지 즐거움옛글들/명랑TV 2013. 2. 5. 08:57
, 두 자릿수 시청률 잡은 이유 가 두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했다. 거의 1년 넘게 한 자릿수에 머물러 있던 으로서는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가 이런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가장 큰 공은 물론 아이들에게 있다. 아이들이 갖는 본연의 순수함이 있기 마련이지만, 특히 여기 출연하고 있는 윤후, 성준, 지아, 준수, 민국 다섯 아이들이 가진 특별한 매력이 있었다는 걸 빼놓을 수 없다. 다섯 아이들이 주는 다섯 가지 즐거움. 이제 주말에 를 기다리게 되는 건 바로 이것 때문이 아닐까. 허당 아빠를 둔 덕에 매 번 ‘나쁜 데서 자는’ 시련을 겪는 김성주의 아들 민국이는 아빠 김성주의 말대로 안 되는 것을 좀체 경험해보지 않았던 아이다. 그래서 첫 여행에서 ‘나쁜 집(?)’이 뽑혔을 때도 눈물을 흘리며 ..
-
'아빠 어디가' 뜨자 '붕어빵' 정글 가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13. 2. 1. 09:20
어른들과 똑같은 아이들 예능 전쟁 가 뜨니 이 정글로 간다? 이제는 아이들 예능 전쟁이다. 주말 예능을 잡아야 전체 예능의 기선을 잡을 수 있다는 인식 때문에 한 예능 프로그램이 부상하면 타 방송국에서 비슷한 형식을 차용하는 건 이제 보통의 일이 되어버렸다. 사실상 가 나왔을 때에도 많은 이들이 과 을 퓨전한 것이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기도 했으니까. 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갔을 때, 이 원조라는 얘기가 나온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이미 미션의 하나로서 했던 부분을 이 가져와 한 분야로 만들어낸 셈이다. 이것은 비판할 일이 아니다. 창조적 수용과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의 공적은 분명하다. 여행 버라이어티라는 분파를 확고히 만들어 과는 또 다른 영토를 넓혀놓은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 주말 예능의..
-
아빠들의 힐링 타임, '아빠 어디가'옛글들/명랑TV 2013. 1. 22. 08:05
'아빠 어디가', 이것이 바로 예능 비타민 “좋은 꿈꿔.” “아빠도 잘 자고요.” “고맙다 아들아.” “아빠도 절대로 감기 걸리면 안돼요.” “고마워.” “아빠 좋아. 아빠 좋아.” “아빠 좋아? 어이 내 아들. 아빠도 좋아.” 불 꺼진 방 안에서 들려오는 아빠와 아들의 이 짤막한 대화에는 그 끈끈한 사랑이 느껴진다. 평소 아빠를 무서워하며 다가오지 못했던 성동일의 아들 준이. 조금은 자신 없어 보이는 모습이지만 “아빠 좋아”를 연발하는 아이 앞에서 아빠 성동일은 한없이 푸근해졌을 게다. 는 어쩌면 성동일처럼 일에 바빠 조금은 소원해졌던 아이와의 관계를 다시 회복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보는 이들에게 아빠 미소를 짓게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아이만큼 아빠를 힐링시켜주는 존재가 어디에 있겠는가. 김성주의 아..
-
'아빠 어디가', 예능도 힐링이 대세옛글들/명랑TV 2013. 1. 19. 09:29
멘붕의 시대, 힐링 예능에 주목하는 이유 “깜짝! 멘붕이야!” 소녀시대의 신곡 ‘I got a boy'에서 윤아가 부르는 대목에도 들어있듯이 이제 ‘멘붕’이란 말은 신조어에서 일상어가 되어가고 있다. 멘탈붕괴는 ‘정신이 무너질 정도로 충격을 받은 상태’를 뜻한다. 지극히 자극적인 단어지만 이만큼 작금의 사회가 주고 있는 충격의 강도를 잘 표현하는 것도 없다. 상상조차 힘든 사건과 사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무엇 하나 우리를 떡 하니 기대게 해주는 절대적인 가치가 부재한 시대, 우리는 이 불안함의 끝단에서 ‘멘붕’을 외친다. 웃음을 잃게 만드는 멘붕의 시대는 예능에서도 새로운 경향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것은 이른바 ‘힐링 예능’이다. 작년 가 ‘힐링’이라는 단어를 토크쇼의 제목으로 사용하면서 그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