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가
-
'나 혼자 산다', 남자들의 수다와 놀이 왜 흥미로울까옛글들/명랑TV 2013. 4. 14. 08:11
, 잘 나가는 이유? 남자들에 있다 설 특집으로 방영된 가 정규편성 되면서 굳이 몇 번의 제목을 고치더니 가 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모양이다. 의 뉘앙스가 어딘지 소극적이고 궁상맞은 느낌을 주었던 반면, 는 좀 더 당당하고 즐기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기 모인 무지개 회원들은 구호를 굳이 이렇게 외친다. “나 혼자 산다! 자알-” 사실 혼자 사는 남자들의 이야기가 뭐 그리 재미있을까 한번쯤 의구심을 갖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하다. 지금껏 그런 이야기를 방송을 통해서(특히 예능에서) 본 적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방송이 조명하는 남자들의 이야기란 여행을 가거나(1박2일) 특별한 도전을 하거나(무한도전, 남자의 자격) 게임이나 스포츠를 하는(우리동네 예체능) 식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방송..
-
'아빠 어디가', 김성주의 기부가 의미하는 것옛글들/명랑TV 2013. 4. 3. 11:20
에서 어른들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 를 우리는 힐링 예능이라 부른다. 거기 출연한 천사 같은 아이들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한없이 순수해지는 느낌마저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 가진 딜레마 역시 바로 아이들에 있다. 이들이 대중들에게 선사하는 즐거움은 값진 것이지만, 결국 아이들이기 때문에 방송 출연은 그 자체로 부담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아이들에게마저 날아드는 악플은 당사자나 가족에게는 큰 상처가 될 수 있다. 또 아이들에 대한 지나친 관심으로 인해 보통 아이로서의 생활을 누리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도 큰 부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큰 걱정거리는 라는 프로그램이 본래 갖고 있는 가치(즉 아빠와 아이의 관계 회복 같은)가 희석되고 자칫 시청률 같은 양적 가치로만 평가되거나 광고 수익 같은 상업적 가치로 바..
-
'아빠 어디가' 아이들 몰카, 과연 괜찮은 걸까옛글들/명랑TV 2013. 2. 28. 08:41
, 아이들의 트루먼쇼 되지 않으려면 최근 예능 프로그램 중에 아마도 가장 뜨거운 걸 꼽으라면 단연 가 될 것이다. 민국이, 후, 준, 지아, 준수. 이 다섯 귀요미들이 하는 짓이 얼마나 귀여운지, 하는 일거수일투족마다 화제다. 첫 번째 여행에서는 민국이가 ‘나쁜 집’에 걸려 대성통곡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더니, 두 번째 여행과 설날 특집에서는 후가 그 순수하고 솔직한 모습으로 의 웃음보따리를 풀어놓았다. 그리고 세 번째 여행에서는 담력 체험을 통해 준이의 리더십이 또 화제가 되었다.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말과 행동을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흐뭇해지는 이 예능 프로그램은 그래서 ‘힐링 예능’이라고 불린다. 특히 자식을 가진 아빠들이라면 웃음이 절로 나고 누구나 마음이 푸근해지는 걸 느낄 수 있을 게다. 그동..
-
'7번방', 류승룡은 왜 딸바보로 돌아왔을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3. 2. 12. 09:19
류승룡은 어떻게 이 시대의 아이콘이 됐을까 에서 류승룡이 연기하는 용구는 딸바보다. 용구가 영화 속에서 한 가장 많은 대사는 아마도 “예승아!”라고 딸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었을 게다. 얼굴만 쳐다봐도 그 간절한 부성애가 넘쳐나는 용구는 정신지체의 장애를 갖고 있는 실제 바보이기도 하다. 강풀 원작의 가 그러한 것처럼 이 시대에 바보의 의미는 오히려 똑똑하고 계산적인 이들이 갖지 못한 순수한 사랑의 결정체다. 에서는 그 바보가 아빠로 돌아왔다. 진정한 딸바보의 탄생이다. 아무런 조건 없는 사랑의 결정체는 그러나 지독한 현실과 만날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바보라는 존재가 늘 이른바 정상이라고 하는 이들의 변명거리나 희생양이 되는 건 어느 시대나 마찬가지였을 게다. 용구는 그렇게 7번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