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와이프> 나나, 연기돌 혜리와 민아 뒤 이을까

 

이게 과연 나나가 맞나? 아마도 tvN 금토드라마 <굿와이프>에 로펌조사원으로 여주인공인 김혜경(전도연)을 돕는 김단(나나)을 보며 많은 시청자들은 그런 생각을 했을 법 하다. 지금껏 무대 위에서나 혹은 뮤직비디오 그리고 예능 프로그램 등을 통해 봐왔던 나나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굿와이프(사진출처:tvN)'

혹자들은 그녀가 나나가 아닌 베테랑 연기자인 줄 알았다는 이들도 있다. 그만큼 자연스럽게 느껴졌다는 것. 실제로 그녀는 이 로펌에 오래도록 근무한 느낌이 묻어나는 능숙함이 엿보였다. 우리가 방송을 통해 알던 나나라면 조금은 낯가리고 어딘지 예쁜 척할 것 같은 그런 이미지가 아니었던가.

 

게다가 최근 들어 나나에게 따라다니는 수식어는 세계최고미녀. 미국의 연예매체 TC 캔들러가 그 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얼굴 100선의 순위를 매겨 공개하는 자리에서 나나는 2년 연속 2위를 차지했다. 물론 이 매체가 그렇게 공신력이 있다고 보기도 어렵고 또 선정기준도 모호해 나나의 세계최고미녀수식은 논란까지 일으킨 바 있다. 하지만 그게 어디 나나가 원했던 일일까.

 

<굿와이프>에서 나나는 마치 그딴 수식어는 잊어버리라는 듯 지금껏 보여 왔던 이미지와는 생판 딴 모습을 연기했다. 조금치의 머뭇댐이 없는 시원시원한 성격에, 돌려 말하는 법 없는 직설어법을 보여주는 김단은 말 보다는 행동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캐릭터다. 그와 함께 일하게 된 혜경(전도연)과는 남편 이태준(유지태) 때문에 인연이 깊다. 이태준에게 해고당해 로펌조사원을 일하게 된 그녀는 혜경과 이태준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점으로 공감대를 이룬다.

 

김단은 요즘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걸 크러시의 느낌을 주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외모 갑, 인맥 갑, 눈치 갑이라는 그의 캐릭터 설명에서 드러나듯이 그녀는 못하는 게 없는 인물이다. 예쁜 외모로 짐짓 애교를 섞어 안 되는 일도 되게 만들고, 자료를 구하기 위해서는 소송의 상대편인 검사 인맥을 동원해서라도 구해오는 인물이다. 일을 위해서는 남자와 만나주기도 하는 그녀는 거꾸로 일에 비해 남자는 그리 중요하게도 여기지 않는 면면을 보여준다. 게다가 목적을 위해서는 합법이든 불법이든 상관치 않는 모습도 그녀의 캐릭터를 멋지게 만드는 요소다.

 

혜경이 남다른 공감 능력과 두뇌 회전을 통해 맡는 사건의 핵심을 찾아낸다면, 김단은 그것을 입증해내거나 증거를 찾아내기 위해 몸으로 뛰어 성과를 내는 인물이다. 그녀들이 이태준을 둘 다 싫어한다는 점은 공감대이면서도 두 사람의 묘한 동료의식을 만들어낸다. 어떤 면에서는 남자와의 사랑보다는 일에서의 성취를 더 원하는 두 사람은 바로 그 점 때문에 의기투합하고 시스맨스의 느낌마저 준다.

 

최근 들어 여성 아이돌의 연기 도전이 의외의 성과를 보이는 경우들이 생겨나고 있다. <응답하라 1988>의 혜리가 그렇고 <미녀 공심이>의 민아가 그렇다. <굿와이프>의 나나 역시 그런 연기돌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제 단 2회가 지났을 뿐이라 속단하긴 어렵지만 그래도 최소한 세계최고미녀따위의 수식은 지워낸 연기라는 점에서 그 가능성을 기대하게 만든다

수지와 은지, 연기돌로 각광받는 이유

 

<건축학 개론>에 수지가 있었다면, <응답하라 1997>에는 은지가 있었다. 요즘 연예가에는 ‘상반기에 수지, 하반기에 은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 두 아이돌의 연기 성공담에 대한 상찬이 쏟아져 나온다. 사실 그간 아이돌의 연기 진출에 대해 대중들은 그다지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이 다반사였다. 그도 그럴 것이 발성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 준비되지 않은 아이돌들은 때론 작품 자체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곤 했기 때문이다.

 

'응답하라 1997'과 '건축학개론'(사진출처:tvN, 영화 건축학개론)

게다가 준비된 연기지망생들에게는 단역조차 얻기 힘든 상황에 인지도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주연으로 덜컥 발탁되는 아이돌들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우려와 반감을 훌쩍 넘어서서 수지와 은지는 대중들에게 아이돌로서가 아니라 연기자로서 인정받았고 심지어 ‘첫사랑의 아이콘’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들의 무엇이 이런 상반된 대중들의 반응을 이끌었을까.

 

사실 수지와 은지는 연기력의 차원에서 보면 여전히 풋내기임이 분명하다. 연기력이란 결국 삶에 대한 경험은 물론이고 연기에 대한 그만한 경험치에서 나오기 마련이다. 경험이 많을수록 더 다양한 캐릭터들을 연기할 수 있는 여지와 능력이 생긴다. 그런 점에서 수지와 은지는 확실히 불리한 입장이다. 하지만 이 불리함을 유리함으로 바꾸는 조건이 있다. 그것은 이들이 말 그대로 순수하기 때문에 연기자로서의 자의식이 아직 없다는 것이다.

 

많은 이들이 연기력을 얘기할 때 그것을 하나의 ‘표현력’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가장 좋은 연기란 ‘연기하지 않는 것’이라는 말은 연기에 있어서는 가장 기초적인 것이다. 마이클 케인은 <명배우의 연기수업>이라는 책에서 이런 얘기를 했다. “영화 속의 인물은 사람이지 배우가 아닙니다. 그러면서도 당신은 한 사람을 연기해야 합니다.” 결국 연기는 연기하는 데서 나오는 게 아니라, 그 배역 자체를 자신을 통해 그대로 드러내는데서 나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수지와 은지는 자신과 다른 인물을 연기한 것이 아니다. <건축학개론>의 서연은 수지 그녀 자신이었고, <응답하라 1997>의 시원은 은지였던 것. 실제로 <응답하라 1997>의 신원호 PD는 은지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사실 연기자로서는 아직 미흡한 부분이 있죠. 그렇지만 그 모든 걸 커버하는 센스가 있어요. 기존 연기자들의 정형화 된 연기에서는 이런 느낌이 안 나오는데, 자유분방하고 리얼한 느낌으로 연기 하니까 너무 좋은 거예요. 빤한 대사 톤이 아니더라고요.”

 

수지와 은지의 성공사례는 연기에 입문하려는 많은 연기돌들에게 하나의 교훈을 제공한다. 그것은 연기돌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작품과 그것을 만드는 제작진이라는 것이다. 캐릭터가 얼마나 자신과 부합하는가가 중요하고, 제작진이 연기자로부터 그 캐릭터의 매력을 얼마나 잘 뽑아내는가 역시 중요하다. 이 두 부분이 맞아떨어질 때 연기돌로서의 가능성이 열릴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연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연기력 그 자체가 아니라 연기를 대하는 자세라는 걸 말해준다. 얼마나 진지하게 작품에 임하는가 하는 점은 연기의 기술적인 부분보다 훨씬 중요하다. 물론 수지와 은지가 진정한 연기자로서의 길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연기의 기술 부분을 조금씩 체득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그 기술 역시 공부가 아닌 진지한 자세로 임했던 작품의 경험들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연기돌들에게 하나의 전범을 보여준 수지와 은지는 그래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연기력의 실체도 보여준 셈이다. 연기력, 기술이 아니라 태도다.

연기력 논란 없는 그들, 캐릭터가 답

도대체 이들은 언제부터 이렇게 연기를 잘했나. '더킹 투하츠'의 이승기와 '옥탑방 왕세자'의 박유천 얘기다. 흔히 가수들의 연기 도전에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것이 연기력 논란이다. 하지만 이승기와 박유천의 경우, 논란이 아닌 호평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연기를 대단히 잘한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캐릭터에 대한 몰입은 충분히 느낄 수 있게 해주고 있고, 또 상대적으로 적은 연기경력에도 불구하고 매 편마다 일취월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대체 그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옥탑방왕세자'(사진출처:SBS), '더킹 투하츠'(사진출처:MBC)

'찬란한 유산'에서 정극연기를 경험하고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의 코미디를 거친 이승기에게 '더킹 투하츠'의 재하라는 캐릭터는 코믹함과 진지함을 둘 다 갖고 있다는 점에서 도전이면서도 발전의 기회가 된다. 사실 상대 배우들을 톱스타 반열로 올려놓을 정도로 연기호흡이 좋은 하지원과 함께 하는 연기는 이승기에게는 부담이기도 하다. 많은 이들이 하지원을 주목할 것이기에 자칫 그녀의 보조 역할로 전락하거나, 혹은 끌려가는 인상을 지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우려는 보기 좋게 빗나갔다. 이 드라마 속에서 이승기의 존재감은 하지원과 거의 대등하게 나타난다. 두 사람은 팽팽하게 대립하면서도 알 수 없는 감정이 오고가는 상황들을 잘 표현해내고 있다. 특히 조금은 가벼운 듯 보이는 껄렁함 속에 왕재로서의 진중함과 그 굴레의 힘겨움을 숨기고 있는 재하라는 캐릭터는 이승기에게는 딱 맞는 옷처럼 잘 어울린다. 왕자 같은 귀공자 이미지이지만 '1박2일' 같은 예능 속에서는 한없이 천진한 장난꾸러기의 모습을 보이던 이승기 아닌가. 정극과 코미디를 넘나들 수 있게 된 점은 이승기가 이 작품을 통해 얻은 분명한 수확으로 보인다.

한편 '성균관 스캔들'로 첫 등장해 첫 연기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의 몰입을 보여준 박유천은 '미스 리플리'의 정극을 경험한 후, '옥탑방 왕세자'라는 자신에게 잘 맞는 옷을 입고 돌아왔다. 사극과 현대극을 넘나들고, 코미디와 멜로를 넘나드는 연기는 결코 쉬운 것이 아니지만, 적어도 박유천에게는 다른 것 같다. 그는 본인이 진지해짐으로써 상황에 의해 웃음을 줄 수 있는 캐릭터 연기에 능수능란함을 보이고 있다.

사극 속에서 현대극으로 뛰어 들어왔지만, 여전히 자신이 사극 속의 왕인 줄 알고 있는 '옥탑방 왕세자'의 이각이라는 캐릭터는 그래서 마치 박유천의 연기 과정을 얘기하는 것만 같다. 그래서 '옥탑방 왕세자'는 '성균관 스캔들'을 연기하던 박유천이 현대로 뛰어넘은 것 같은 인상을 주기도 한다. 이 작품에서 박유천 역시 한지민이라는 든든한 상대역을 맞아 너무나 자연스러운 코믹 멜로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둘 다 가수 출신이면서 연기력 논란이 없다는 점(아니 나아가 보통 연기자들보다 오히려 연기력이 좋게도 보인다)은 이들이 가진 특유의 연기에 대한 몰입에서 비롯된다. 아직 연기가 섬세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완전히 그 인물에 동화되는 몰입이 좋기 때문에 보는 이들도 연기자보다는 캐릭터를 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것은 타고난 것이라기보다는 전적으로 노력에 의한 것이다.

또한 중요한 것은 캐릭터다. 연기자가 연기를 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어떤 캐릭터를 연기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승기가 선택한 재하라는 캐릭터와 박유천이 선택한 이각이라는 캐릭터는 자신들이 도전하고 소화할만한 가장 적합한 선택으로 보인다. 가수와 연기자의 경계를 희미하게 만드는 두 사람. 이러다가는 가수와 연기자라는 본말이 전도될 지도 모르겠다. 혹시 이제는 거꾸로 '가수 맞아?' 하는 질문이 나올 지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