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유재석, 강호동은 언제 나올까

연예대상에 올해도 역시 변화는 없었다. 강호동과 유재석의 아성은 굳건했다. 2005년 유재석이 KBS와 MBC의 연예대상을 거머쥐면서 유재석의 시대가 열렸고, 2007년 MBC 연예대상을 '무한도전' 팀원으로 유재석이, 그리고 SBS 연예대상을 강호동이 양분하면서 유재석-강호동의 시대가 열렸다. 그리고 2008년과 2009년은 아예 연예대상이 누가 되느냐가 아니라 강호동, 유재석 둘 중 누가 더 많이 가져가느냐에 관심이 쏠릴 정도가 되었다.

사실이 그렇다. 현 예능 프로그램에 있어서 강호동과 유재석만큼의 맨파워를 갖고 있는 인물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지상파 방송3사의 대표 예능 프로그램은 모두 이들의 마력적인 손아귀 안에 들어가 있다. MBC의 대표 버라이어티인 '무한도전'과 대표 토크쇼인 '황금어장'에 각각 유재석과 강호동이 포진해 있고, KBS의 대표 버라이어티인 '1박2일'과 대표 토크쇼인 '해피투게더'에 각각 강호동과 유재석이, 또 SBS의 대표 버라이어티인 '패밀리가 떴다'와 '스타킹'에 유재석과 강호동이 자리하고 있다.

사실 이건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이들이 대표 예능 프로그램에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이들 예능 프로그램들을 대표로 만들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예능 PD들이 밝히듯 유재석과 강호동은 예능 프로그램의 '희망이자 절망'이다. 그들이 있어야 예능이 빛을 발한다는 현실은 PD 입장에서는 희망이면서 절망인 셈이다. 이들의 맨파워는 방송3사의 주말 버라이어티 대전에서 연전연패하고 있는 '일밤'을 보면 단박에 알 수 있다. 물론 프로그램의 성패가 모두 MC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말 버라이어티에서 이 양대산맥이 경쟁자로 있다는 것은 분명 넘기 어려운 산을 만들어내는 것이 사실이다.

유재석과 강호동은 스타일은 다르지만 모두 상대방의 끼와 재능을 끄집어내는 재주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리얼화되어가는 예능에 가장 필요한 존재들이다. 이들의 연예대상 독식이 시작된 시점이 리얼 예능이 막 태동하던 시점과 맞닿는다는 점은, 이들이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얼마나 부응했는가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게다가 이들은 때로는 경쟁구도로 때로는 친형제처럼 서로를 지지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철옹성 같은 굳건한 아성을 구축했다.

"재석아. 이 상 내가 받아도 되나?" 이런 강호동의 멘트에 "상은 방송국에서 주는데 왜 유재석씨에게 그걸 묻느냐"는 한 개그맨의 질문에는 묘한 뉘앙스가 깔려있다. 강호동과 유재석은 이미 서로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이야기이며, 자신 아니면 상대방이 연예대상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이미 전제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연말이 되기 시작하면 우리는 응당 그런 것인 양, 강호동과 유재석 둘 중 한 명이 선택되는 것을 보아야 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것은 예능의 체질에 그다지 좋은 현상은 아니다. 한두 명에게만 집중되는 구조는 그만큼 약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과도한 노동의 집중은 당사자들에게도 육체적, 정신적 소비를 빠르게 가져와 결국 예능인으로서의 수명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이렇게 몇 년이 지속되다보면 새로운 예능인들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해 적체되는 현상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방송사의 입장에서도 몇몇 예능인에 집중되는 구조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시청자들의 입장에서도 다양성을 제한한다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도 있다.

분명 유재석과 강호동은 비교대상이 없을 정도로 발군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니 이들이 상을 모두 가져간다는 것에 이견이 있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연말 방송3사 연예대상 시상식을 통해서 우리네 방송 환경이 지나치게 한쪽으로 쏠려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는 것은 못내 아쉬운 일이다. 제2의 유재석, 제2의 강호동은 언제 나타날까. 2010년에는 좀 더 다양한 예능인들이 다양한 캐릭터로 군웅할거하는 시대가 되길...

개인 브랜드화 되어가는 예능인들, 그 숙제

올해 방송3사의 연예대상은 강호동 유재석 투맨쇼의 연속이었다. 비록 강호동은 KBS와 MBC, 두 방송사에서 대상을 받았고, 유재석은 SBS에서 대상을 받았지만 이 두 인물은 방송3사 연예대상에서 늘 중심에 앉아 있었다. 시상식 맨 앞자리에 나란히 앉아서 마지막 대상 시상을 할 때면 누가 상을 타게 되든 서로 박수를 쳐주고 상대방이 상을 타는 것을 진정으로 기뻐해 주었다. 그들은 서로에게 경쟁자이면서 진정한 동료였고, 친구이자 스스로 말하듯 스승 같은 존재들이었다.

그런데 올해 연예대상을 거머쥔 강호동, 유재석의 투맨쇼는 여러모로 의미하는 바가 크다. 그것은 이제 예능의 트렌드에 있어서 방송사가 가지던 변별력을 이제는 한 개그맨에 의해 나눠질 수도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매년 각 방송사마다 흔히 말해 미는 예능 프로그램이 하나씩은 있기 마련이다. 이것은 올해도 다르지 않다. 방송3사가 강호동과 유재석을 연예대상에 앉힌 것은 각 방송사들의 미는 프로그램을 이들이 쥐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MBC의 ‘황금어장’, KBS의 ‘1박2일’, SBS의 ‘패밀리가 떴다’가 그것.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프로그램이 과연 강호동과 유재석 없이 가능했을까 하는 점이다. ‘무릎팍 도사’는 면전에서도 상대방의 곤란한 질문을 천연덕스레 던질 수 있는 거의 유일무이한 강호동이 있었기에 가능한 프로그램이었고, ‘1박2일’ 역시 강호동의 강한 리더십 없이는 불가능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밀리가 떴다’는 모든 제작진들이 인정하듯이 늘 든든한 유재석이라는 개그맨이 있어 비로소 빛을 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은 이제 거꾸로 되었다. 한 개그맨의 능력은 프로그램의 성패를 좌우하고 때론 한 방송사의 예능을 웃기고 울리기도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유재석과 강호동의 경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방송3사의 연예대상을 통해 볼 수 있었듯이 이제 한 방송사 시상식에서 상을 받은 예능인들은 바로 다른 방송사 시상식에서도 상을 받는 모습이 낯설지 않게 되었다. 그만큼 개인기량이 뛰어난 예능인들, 예를 들면 유재석, 강호동을 비롯한 김구라, 신정환, 윤종신, 박미선, 신봉선 등등은 방송사를 넘나들며 활약을 했다. 예능인 개개인들의 브랜드가 방송사의 차원을 넘어서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어떤 프로그램이든 이들이 투여되면 모두 성공을 장담할 수 있다는 얘기는 아니다. 연예대상을 탄 ‘1박2일’, ‘무릎팍 도사’ 그리고 ‘패밀리가 떴다’는 모두 형식실험이 가지는 파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프로그램들이다. ‘1박2일’은 리얼 버라이어티쇼에 여행이라는 코드를 가져와 야생 버라이어티로 거듭나게 한 프로그램이며, ‘무릎팍 도사’는 리얼 토크쇼로서 게스트의 지평을 넓혔으며, ‘패밀리가 떴다’는 리얼 버라이어티쇼와 여행이라는 코드에 판타지 설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캐릭터쇼를 보여준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 실험적인 형식을 성공적으로 이끈 것은 전적으로 유재석, 강호동 같은 스스로를 브랜드화 시킬 정도의 능력을 가진 예능인들의 기량에 힘입은 바가 크다. 프로그램들은 점점 캐릭터쇼와 리얼리티쇼를 겨냥하고 있기 때문에 각자의 캐릭터를 프로그램마다 바꾸는 것은 이제 불가능해졌다. 고정된 캐릭터 속에서 조금씩의 변주가 가능할 뿐이다. 따라서 이제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예능인 개개인의 브랜드는 그만큼 중요해졌다.

유재석과 강호동은 방송사의 차원을 넘어서 올 한 해 예능의 트렌드이자, 지표이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그들이 함께 한 인물들을 새로운 브랜드가 되게 끌어준 것은 더 중요한 공로가 될 것이다. 그러니 이 걸출한 두 예능 영웅들의 연예대상 수상은 반갑고 당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바로 한 예능인의 기량이 한 프로그램, 나아가 한 방송사의 예능을 살릴 수도 있다는 점을 연예대상을 통해 보여준 이들의 수상은 하나의 숙제를 던져준다.

유재석과 강호동만큼 그 뒤를 이어줄 새 예능인들의 발굴이 그것이다. 당장의 유재석과 강호동이 그렇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역시 언젠가는 이경규의 자리에 서게 될 것이다. 브랜드화된 예능인들의 방송사를 넘나드는 활약은 그만큼 캐릭터 소비를 빠르게 만든다. 따라서 그들은 지금 이 최정상에 섰을 때가 오히려 위기가 될 위험성도 있다. 새로운 모습을 늘 준비해야 할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올해를 빛내주었던 가수들이나 배우들 같은 새로운 예능인들을 끄집어내 프로그램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어야 할 것이다. 최고의 순간에 이 같은 걱정이 앞서는 것은 이들의 롱런을 기대하는 마음에서 드는 기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