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션
-
악동뮤지션, 이게 오디션 곡? 이건 차라리 앨범이다옛글들/명랑TV 2013. 4. 9. 09:37
우승자 악동뮤지션의 크레센도 매력 “매력 있어- 내가 반하겠어-”하고 부를 때부터 대중들은 어쩌면 악동뮤지션의 매력에 반할 준비가 되어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먼저 ‘다리 꼬지’ 말라며 심사위원과 시청자들을 도발하더니, ‘매력 있어’를 부를 때는 절로 꼰 다리도 풀려질 만큼의 매력을 발산했다. 사실 너무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그 형식 자체의 흥미가 떨어진 것도 사실이지만, 악동뮤지션은 그 자체의 매력만으로도 오디션을 다시 바라보게 만들었다. 몽골에서 홈스쿨링 하던 남매. 그들이 들려준 음악의 세계는 낯설면서도 신선했다. 거기에는 그들만의 언어로 채워진 톡톡 튀는 가사의 맛이 있었고, 그 가사에 음률을 더해주는 어쿠스틱하면서도 리듬감 넘치는 노래와 멜로디가 있었다. 무엇보다 기성가수들을 흉내 내지 않고 ..
-
오디션 끝물? '보코', 오디션 차원을 뛰어넘다옛글들/명랑TV 2013. 3. 31. 11:55
, 오디션 하나하나가 다 작품이구나! 오디션 트렌드는 이제 끝났다? 아마 그럴 지도 모른다. 너무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쏟아지면서 그 소비도 빨라졌고 노래하고 점수주고 합격자와 탈락자를 가르는 그 과정 자체가 이제는 식상하게 마저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어도 는 예외인 것 같다. 마치 파면 팔수록 계속 고이는 우물물처럼 가 선보이는 무대의 매력은 예측 불가다. 이유는 단 하나다. 개성적인 보이스들이 만들어내는 거의 완벽한 작품에 가까운 무대. 코치들이 자신들의 팀을 뽑는 블라인드 오디션이 개성적인 보이스들을 가려내는 일종의 음악 재료(?) 선정의 시간이라면 이들 보이스들을 결합시키는 콜라보 미션은 이 재료를 절묘하게 섞어 완벽한 한 상을 차려내는 시간이다. 따라서 블라인드 오디션에서 기성..
-
악동뮤지션과 방예담, 오디션의 새 트렌드옛글들/명랑TV 2013. 1. 30. 08:34
점점 어려지고, 빨라지는 스타탄생 저스틴 비버의 'Baby'로 직접 짠 안무와 랩을 새롭게 시도한 방예담의 오디션 영상은 방송 직후 15시간만에 100만뷰를 돌파했다. 방예담과 같은 조에서 경쟁했던 악동뮤지션은 안타깝게도 조 2위에 머물러 생방송 진출을 단번에 이루지 못했지만, 이것은 역시 과정의 하나라고 여겨진다. 오디션 무대에서 발표(?)한 음원들이 모두 차트 상위에 오른 악동뮤지션은 이미 오디션 참가자라는 한계를 훌쩍 뛰어넘은 상태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자기만의 음악적 세계와 스타일을 갖춘 악동뮤지션에게 혹평이 나온 것은 그 기량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그 기대치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사실 지금까지 탈락하지 않고 올라온 의 참가자들은 이미 어느 정도 대중적인 인지도가 만들어진 상태다. 이 오디션을 ..
-
멘토 김태원과 프로듀서 박진영, 그 장단점옛글들/명랑TV 2012. 12. 17. 08:57
김태원과 박진영, 너무 다른 심사방식의 의미 가 지난 시즌보다 뜨거워진 데는 독특한 개성을 가진 참가자들 덕분이다. 의 박진영이 말한 이른바 스웨그(SWAG 자신만의 멋과 개성 스타일을 나타내는 신조어로 여유와 심지어 약간의 허세까지 느껴지는 것)를 에서도 느낄 수 있다. 가창력은 기본이고 그 위에 자신만의 독특한 음색과 스타일을 얹은 참가자들이 넘쳐나기 때문에 이 두 오디션 프로그램은 최근 오디션 홍수 속에서도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다. 더 중요해진 건 심사다. 이른바 스웨그를 찾는 오디션에서 이제는 과거처럼 발성이나 박자, 호흡 같은 기본적인 심사 멘트는 거의 불필요해졌다. 시즌1의 유행어가 되었던 박진영의 ‘공기 반 소리 반’은 이제는 농담거리가 될 만큼 식상해진 표현이 되었다. 수없이 많은 오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