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홀>이 끔찍한 건 그것이 현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영화 <맨홀>의 배경은 강북의 한 마을이다. 어둑한 밤길 마치 공무원들처럼 복지부동하고 무기력하기 짝이 없는 공권력 속에서 그나마 행인들을 지켜주는 것이라면 가로등과 CCTV가 될 것이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맨홀>의 연쇄실종사건이 벌어지는 강북의 그 마을에는 그 가로등과 CCTV를 공권력이 아니라 살인자가 쥐고 있다.

 

'맨홀(사진출처:화인웍스)'

가로등을 마음대로 꺼버리고 그 어둠 속에서 살인자는 일종의 인간사냥을 벌인다. CCTV? 그것은 범죄자들을 찍는 사회적 안전장치가 아니라 사냥감이 어디로 움직이는가를 보여주는 범죄자의 천리안이다. <맨홀>에서 본다는 것은 하나의 특권적인 위치를 만들어낸다. 살인자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고, 공권력은 우리를 지켜주지 못한다는 것. 그래서 살아남기 위해 한 치 알 수 없는 어두운 지하의 그 미로 같은 길을 걸어가야 한다는 건 우리에게 끔찍한 경험을 선사한다.

 

<맨홀>은 스릴러 장르지만 그래서 공포에 가깝다. 영화는 시종일관 관객을 불편하게 만든다. 하지만 그 불편함은 단지 자극적인 장면들 때문에만 생겨나는 건 아니다. 이 맨홀로 상징되는 어두운 지하세계가 현실의 무언가를 자꾸만 떠올리기 때문이다. 그 위로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가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 밑에서는 끌려 들어간 사람들이 끔찍한 일을 겪는다는 건 우리가 굳이 확인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 바라보게 만든다.

 

<맨홀>의 피해자들을 보면(당연히 그 배경이 강북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우리와 다를 바 없는 평범한 서민들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택시기사가 아버지인 딸이 있고,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장애를 가진 동생과 부모를 여의고 그 동생을 돌보는 착한 언니가 있다. 만일 피해자가 기득권층이었다면 이 영화를 통해 그나마 어떤 사회적 분노를 발견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영화는 피해자들을 그저 선량한 서민들로 보여준다. 심지어 가해자마저 폭력의 피해자로 그려진다.

 

즉 이 <맨홀>이라는 세계에는 지워져 있는 세계가 있다. 그것은 이러한 끔찍한 사건들이 한쪽에서는 벌어지고 있는 데도 멀쩡하게 잘 살고 있는 기득권층의 세계다. <맨홀>은 그래서 피해자들끼리 벌이는 약육강식 같은 느낌을 보여준다. 강북이라는 맨홀 위의 공간과 그 맨홀 밑의 공간은 또 그 안에서도 어떤 위계를 만들어낸다. 결과적으로 보면 이 영화는 맨홀 위와 아래가 치열하게 싸우는 이야기를 다룬다. ? 살아남기 위해서.

 

<맨홀>은 그래서 영화적인 통쾌함을 선사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네 현실이 그러하듯이 없는 자들이 없는 자들끼리 살아남기 위해 싸우는 풍경을 거칠게 담아낸다. 영화는 어두울 수밖에 없고, 때로는 그 공포의 시간이 차마 쳐다보기 힘든 고통을 주기도 한다. 그나마 그 안에서 인물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건 서로간의 끈끈한 가족애 같은 것들이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조차 처절한 현실을 상기하게 만든다.

 

<맨홀>이라는 영화 속에서 정유미, 정경호, 김새론은 말 그대로 반짝반짝 빛난다. 사실 이 영화를 끝까지 바라볼 수 있게 만드는 건 이들의 호연 덕분이다. 정유미는 단단한 연기로 영화에 추진력을 만들어낸다. 동생 역할을 하는 김새론은 아마도 괴물을 다루는 영화 속에서 자신만의 존재감을 만들어낸 배우가 아닐까 싶다. 정경호는 이번 작품을 통해 독특한 비주얼의 살인마 이미지를 각인시켜주었다. 이 세 명이 만들어내는 연기의 합은 이 지하세계에서의 쫓고 쫓기는 과정을 바라보는 관객의 손에 땀을 쥐게 만드는 힘을 발휘한다.

 

마지막 맨홀 바깥으로 카메라가 나왔을 때 우리는 그 세상이 낯설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토록 끔찍한 살육이 벌어지는 지하에 비해 너무나 평온하지 않은가.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상기하게 만든다. 마치 맨홀 속 같은 생존경쟁과 약육강식의 현실 속에 살아가면서도 문을 꼭꼭 닫아걸고 아무런 일도 없는 듯 무심한 표정으로 하루하루를 버텨내는 삶. 그리고 아무도 그들을 지켜주지 않는다는 것. 그 삶의 무시무시함을 이 영화는 맨홀이라는 공간을 통해 보여준다.

 

여신이 아닌 여친, 로맨틱 코미디 여주인공의 진화

 

SBS <괜찮아 사랑이야>에서 지해수(공효진)는 도통 예쁜 척이라는 걸 모른다. 좋으면 좋다, 싫으면 싫다는 호불호를 확실히 얘기하고, 심지어 성적인 부분이나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거침이 없다. 이것은 KBS <연애의 발견>에서 한여름(정유미)이라는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한여름은 처음 만난 강태하(문정혁)에게 호감을 드러내는데 전혀 눈치를 보지 않는다.

 

'<괜찮아 사랑이야>의 공효진과 <연애의 발견>의 정유미(사진출처: SBS,KBS)'

지해수와 한여름이라는 이 여성 캐릭터들은 최근 로맨틱 코미디가 그려내는 달라진 여주인공의 진화를 보여준다. 이들은 당당하고, 솔직하며 무엇보다 남자 캐릭터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끌리는 과거 신데렐라나 캔디형 인물들이 아니다. 그들은 이미 각자 자기만의 전문적인 일이 있고(정신과 의사, 가구 디자이너), 사랑에 있어서도 타인보다는 자신의 행복을 먼저 생각하는 인물들이다.

 

과거 남자 주인공 한 명에 두 명의 여자 캐릭터가 등장해 삼각관계를 이루던 것이 그래서 이들의 드라마에서는 정반대 상황을 만들어낸다. 즉 지해수든 한여름이든 두 명의 남자가 등장해 그녀를 사이에 두고 쟁탈전을 벌인다. 물론 그들은 과거의 남자친구와 현재의 남자친구로 등장한다. 이 둘 사이에서 어느 한쪽을 선택하거나 아니면 양쪽을 저울질하는 쪽은 이제 남자가 아니라 여자다.

 

가끔씩 이 여자 캐릭터들은 그래서 여우짓을 한다. 남자들을 도발하기도 하고 때로는 유혹하기도 하면서 이른바 밀당을 하는 것. 하지만 이상하게도 이들의 여우짓은 보기 불편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귀엽게 다가온다. <연애의 발견>에서 한여름은 심지어 양다리를 걸쳐도 그 하는 짓이 전혀 불쾌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그것은 이들이 자기감정에 그만큼 솔직한 면모를 계속해서 보여주기 때문이다. 누구든 그런 상황이면 그렇게 마음가는대로 흘러가지 않겠는가. 이렇게 생각하게 되는 것.

 

이렇게 로맨틱 코미디에서 여자 주인공의 면면이 달라지게 된 것은 과거처럼 남자들에게 쉽게 선망되는 신데렐라나 캔디형 캐릭터가 이제는 좀 구식이 되어버린 탓이다. 이제 빈부의 격차나 사회적 위치의 차이는 남녀 간의 사랑에 있어서(여전히 중요하긴 하지만) 가장 첫 번째 조건은 되지 못한다. 대신 먼저 두 사람의 화학작용이 벌어졌는가 하는 점이 중요해졌다. 이것은 현실이 그렇다는 게 아니라 적어도 드라마 속 판타지로는 이런 관계를 꿈꾼다는 얘기다. 빈부와 출신으로 구획되는 현실의 관계는 얼마나 지긋지긋한가.

 

흥미로운 건 이런 여성 캐릭터의 변화에 따라 이른바 로코퀸(로맨틱 코미디 퀸) 연기자들의 면면도 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 신데렐라형 스토리에서 여성 주인공의 연기자들은 그 첫 번째 조건이 예쁘장한 외모였다면, 이제 달라진 스토리 속 여성 주인공의 연기자들은 내면의 당당함과 솔직함을 표현해낼 수 있는 연기력이 그 첫 번째 조건이 되고 있다.

 

공효진과 정유미는 그래서 다른 듯 닮은 모습을 보여준다. 굉장한 미인형은 아니지만 보면 볼수록 귀엽고 사랑스럽게 다가오는 이미지를 이 두 배우는 갖고 있다. 이렇기 때문에 범접할 수 없는 여신이 아닌 조금은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여친(여자친구)의 느낌을 주는 것이 이들의 강점이다. 달라진 로맨틱 코미디에서의 여성 캐릭터의 변화는 그래서 공효진과 정유미 같은 달라진 로코퀸 연기자 시대의 도래를 얘기하고 있다.

 

내숭 제로 시청자와 밀당하는 정유미라는 배우

 

배우 정유미의 발견이라고 해도 괜찮을 듯싶다. 새로 시작한 월화드라마 <연애의 발견>KBS드라마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솔직 과감한 연애담을 다루고 있다. 극중 여주인공 한여름(정유미)이 오래도록 연인 사이였던 강태하(문정혁)와 헤어지고 남하진(성준)과 연인이 되지만 운명의 장난처럼 다시 강태하와 얽히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연애의 발견(사진출처:KBS)'

얼핏 보면 두 남자 사이에서 양다리 걸치고 갈등하는 여자의 이야기. 대체로 이런 이야기라면 여주인공에 대한 호감이 생기기가 쉽지 않다. 이 남자 저 남자 왔다 갔다 하면서 마치 간을 보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희한하게도 정유미가 연기하는 한여름이라는 여자의 양다리는 밉기보다는 공감되는 구석이 더 많다.

 

오래 사귀었지만 늘 자기 일이 먼저인 남자 강태하를 기다리기만 해왔던 그녀가 그에게 이별을 선고하는 대목은 별다른 설명 없이 짧은 에피소드로 처리되지만 그다지 큰 이물감 없이 시청자들에게 다가온다. 또 그런 그녀가 소개팅에서 우연히 만난 남하진과 그 첫날 키스를 하는 에피소드도 의외로 자연스럽다.

 

어머니의 강권에 못 이겨 선을 보러 나간 남하진을 찾아갔다가 우연히 옛 연인 강태하를 만나게 된 한여름이 두 남자를 앞뒤로 두고 누구에게 던지는 지 모호하게 심경을 토로하는 장면에서는 그녀의 절절함이 느껴지는 동시에 상황의 우스꽝스러움까지 고스란히 전해진다. 절절함과 명랑함의 공존. 이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사실 <연애의 발견> 첫 회는 온전히 정유미라는 배우의 밀고 당기는 힘으로 그 추진력을 얻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녀는 한없이 귀여운 연애의 쑥맥으로 등장해 연애 10년 차 권태기를 느끼는 인물로까지 단번에 변신하더니 어느새 남자 앞에서 여우 짓을 해가며 밀당을 하는 연애고수의 면모를 보여준다. 물론 그러면서도 엉뚱하게 옛 연인과 엮이게 되는 허당의 면모는 그대로다.

 

한여름이라는 인물의 양다리를 미워할 수 없게 만드는 건 이 인물에게서 느껴지는 감정에 솔직한 면이 그 심리 변화를 자연스럽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건 정유미라는 배우의 만만찮은 공력이 묻어난 결과다. 그녀는 30여 편이 넘는 영화와 드라마에서 묵묵히 여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져왔다. 독립영화든 상업영화든 상관하지 않고 다양한 역할들을 소화해내면서 생겨난 연기의 자연스러움이 이런 자칫 욕먹을 수 있는 캐릭터에게조차 몰입하게 하는 힘을 부여하는 것.

 

그녀는 꽤 많은 작품을 해왔지만 그 양에 비해 그녀의 존재감을 그다지 드러내지 않았다. 이것은 어쩌면 배역에 충실한 연기자로서의 그녀의 자질을 말해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연기는 연기자가 주목되는 것보다는 배역의 존재감을 드러낼 때 그 진정성이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적어도 이번 <연애의 발견>에서는 온전히 정유미라는 배우를 발견하게 될 기대감을 갖게 만든다. 시청자를 쥐였다 놨다 하는 그 연기 밀당은 그녀가 아니라면 해내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