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팔이>, 주원의 활인검, 김태희의 살인검

 

죄는 어떻게 탄생할까. 그것은 사람이 저지르는 일일까. 아니면 권력 시스템이 그렇게 만들어내는 것일까. 깨어나 모든 권력을 쥐게 된 한여진(김태희)이 하고 있는 처절한 피의 복수는 과연 정의일까. 아니면 그것은 또 다른 죄일까. 드라마 <용팔이>가 후반부로 들어서면서 던지고 있는 질문들이다.

 


'용팔이(사진출처:SBS)'

병원 VIP 병동에 죽지도 살지도 못하고 갇혀 있던 한여진은 자신을 그렇게 묶어둔 감옥을 무너뜨리겠다고 했지만, 막상 왕좌에 오르자 그 병동을 복수의 공간으로 활용하려 한다. 자신을 그렇게 만들었던 한도준(조현재)을 그 병상에 눕혀놓고 자신과 똑같은 고통을 맛보게 하려는 것.

 

한여진이라는 인물의 이런 드라마틱한 변화는 사실상 뻔하게 여겨졌던 <용팔이>의 후반부를 팽팽하게 만든 묘수다. 한여진은 자신을 구원해준 김태현(주원)에게는 뭐든 다 해주려고 하는 천사지만, 자신에게 고통의 감옥을 선사했던 이들에게는 죽음의 공포에 떨게 하는 악마다. 실제로 그녀는 말 한 마디에 사람의 생명을 거둬갈 수 있는 권력을 갖게 되었다.

 

김태현과 한여진의 대립은 그래서 흥미롭다. 김태현은 분노와 복수가 정의를 세우는 일이 아니라며 한여진을 막아 세우고, 한여진은 스스로를 악어들의 제왕이라고 칭하며 자신이 약한 모습을 보이면 물어뜯길 것이라는 이 비정한 세계의 생태를 말해준다. 분노와 복수의 기저에는 생존하려는 안간힘이 깔려 있는 것.

 

의학드라마가 의술로 사람을 살리는 이야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용팔이>의 이 후반부는 그래서 김태현이라는 의사가 의술이 아닌 사랑과 설득으로서 한여진을, 아니 세상을 살리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한여진 한 사람을 구원하고 그 폭주하는 복수를 막으며, 사람 살리는 공간이 아닌 사람을 죽이고 범죄를 저지르는 VIP병동을 없애는 일은 또 다른 세상을 살려내는 일이다.

 

한여진이 든 권력의 칼이 사람을 죽이는 살인검(殺人劍)이라면 김태현이 든 메스는 사람을 살리는 활인검(活人劍)이다. 김태현은 이 문제가 개개인의 복수의 문제가 아니라 이런 문제를 양산시키는 시스템의 문제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한여진을 죽이려 했던 이과장(정웅인)이 사실은 그녀를 살려낸 장본인이고 본래 선량하고 능력 있는 의사였지만 의료사고를 내고 궁지에 몰리자 살아남기 위해 극단적인 선택들을 해왔다는 사실을 김태현은 그녀에게 얘기해준다.

 

그것은 이 비정한 권력 시스템이 만들어놓은 비극이다. 한여진을 살리기 위해 의사들이 다 그곳으로 몰려감으로써 김태현의 어머니가 제 때 수술을 받지 못해 죽게 된 사실을 알고도 김태현이 그 복수와 분노의 칼날을 한여진을 향해 세우지 않는 건 그래서다. 그는 이것이 VIP 병동으로 상징하는 부조리한 권력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일이라는 걸 잘 알고 있다.

 

<용팔이>가 그리고 있는 한신 병원이라는 공간은 그래서 우리 사회가 가진 권력 시스템의 축소판처럼 그려진다. 갑과 을로 나뉘어진 채 갑질에 을들이 분노하고는 있지만 그러한 분노와 복수만으로는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는 걸 <용팔이>는 얘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김태현이 말하는 해결책은 무엇일까. 저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VIP 병동을 무너뜨리고 그 곳이 범죄의 온상이 아닌 빈부귀천과 상관없이 사람 살리는 공간으로 거듭나게 하는 일.

 

현재의 우리 사회를 분노사회’, ‘보복사회라고까지 칭하게 된 건, 이른바 갑을 정서가 그 끝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신문 사회면을 가득 메우는 그 많은 갑질들에 대한 이야기들과 거기에 공분하는 대중들의 욕망들. 하지만 이러한 분노와 복수가 진정한 정의를 세워낼 수 있을까. 중요한 건 그것이 사적인 복수가 아니라 잘못된 시스템을 바꾸는 일이라는 점이다. 비록 허구로 그려진 드라마지만 <용팔이>의 이런 관점은 우리네 현실에도 많은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미세스캅>, 자본기계는 사이코패스와 뭐가 다를까

 

물론 드라마가 극화한 이야기일 것이다. <미세스캅>에 등장하는 KL그룹 회장 강태유(손병호)는 기업의 회장이라기보다는 살인을 사주하는 조폭 두목처럼 그려진다. 그는 살인을 저지른 아들을 비호하기 위해 비리 경찰을 매수하기도 하고, 자신의 부정을 덮기 위해 살인을 사주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자신의 손에 피를 묻히지는 않는다. 대신 그는 누군가에게 지시를 내리는데 그 힘은 모두 돈, 자본에서 나온다.

 


'미세스캅(사진출처:SBS)'

<미세스캅>이 흥미로운 대목은 이 강태유가 살인을 사주하고 현장을 벗어나다가 같은 동네에서 살인을 저지르고 경찰에 쫓기는 연쇄살인범과 마주하는 장면이다. 짧은 순간 강태유와 연쇄살인범은 서로의 시선을 교환한다. 서로가 서로의 증인이 될 수 있는 기묘한 상황. 하지만 강태유는 자신의 살인 사주를 숨기기 위해 연쇄살인범이 찍힌 블랙박스의 메모리칩을 최영진(김희애) 형사에게 건네지 않는다. 연쇄살인범은 이 사실을 알아채고 강태유라는 인물을 자신의 살인 게임 속으로 끌어들인다.

 

비뚤어진 재벌과 연쇄살인범. <미세스캅>에서는 이 두 인물이 같은 선상에 놓여있다. 즉 비뚤어진 재벌이나 연쇄살인범이나 사람을 죽이는 건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사람이 사람을 죽이고도 별다른 동요나 감정이 없는 것도 마찬가지다. 종종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이렇게 범죄와 결탁된 재벌들이 사이코패스와 거의 같은 모습으로 등장하는 걸 우리는 자주 봐왔다. 왜 그럴까.

 

물론 재벌은 직접적으로 물리적인 폭력을 구사하지는 않는다. 그걸 대신하는 건 자본이라는 무정한 기계다. 돈은 모든 걸 덮어버린다. 수치화해버리고 인간 대 인간의 관계를 단순한 거래 관계로 치환해버린다. 자본에는 감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의 삶의 터전을 빼앗고 심지어 죽음으로 내몰면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다.

 

사실 4대강 사업처럼 사람의 터전은 물론이고 자연의 터전에까지 폭력을 행사하고, 버젓이 사람이 살고 있는 곳에 포크 레인을 드리우는 것 같은 그 많은 비인간적인 일들이 가능한 것은 그 앞에 자본이라는 기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본 뒤로 숨어 그것이 자신의 죄라는 걸 애써 부정한다. 마치 연쇄살인마가 자신의 살인을 살인이 아닌 하나의 게임으로 치부하듯이.

 

비뚤어진 재벌과 연쇄살인마를 둘 다 상대하는 존재가 그냥 형사가 아니라 미세스캅이라는 건 그래서 꽤 상징적이다. ‘미세스캅을 굳이 이 드라마가 캐릭터로 그린 건 아줌마라는 특징을, 국민을 보호하고 정의를 구현하는 형사라는 직업과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그러자 거기에는 마치 엄마가 이 위험천만의 사회 속에 내보내는 딸을 걱정하는 모성애가 겹쳐진다.

 

15일 간격으로 가출한 여자 아이들을 납치해 게임을 하듯 잔인하게 죽이는 연쇄살인마.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뭐든 거래하고 심지어 사람을 죽이는 것조차 마다하지 않는 비뚤어진 재벌. 그 앞에 서 있는 미세스캅이란 인물은 그래서 다분히 우리네 살벌한 현실 앞에서 가족을 걱정하는 부모들의 마음을 고스란히 이끌어낸다.

 

그녀의 분노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아이를 지켜내려는 마음에 똑같이 절절함을 느끼게 되는 건 그래서다. 우리는 모두 자본이라는 무정한 기계 앞에 매일 같이 맨살을 드러내고 떨어야 하는 현실을 경험하며 살고 있지 않은가. 그저 극화된 드라마일 뿐일 것이다. 그렇게 치부하면서도 마음 한 편이 몹시도 불편해지는 건 어찌된 일일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