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팔이'가 분노사회에 던지는 작지 않은 메시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9. 25. 09:22728x90
<용팔이>, 주원의 활인검, 김태희의 살인검
죄는 어떻게 탄생할까. 그것은 사람이 저지르는 일일까. 아니면 권력 시스템이 그렇게 만들어내는 것일까. 깨어나 모든 권력을 쥐게 된 한여진(김태희)이 하고 있는 처절한 피의 복수는 과연 정의일까. 아니면 그것은 또 다른 죄일까. 드라마 <용팔이>가 후반부로 들어서면서 던지고 있는 질문들이다.
'용팔이(사진출처:SBS)'
병원 VIP 병동에 죽지도 살지도 못하고 갇혀 있던 한여진은 자신을 그렇게 묶어둔 감옥을 무너뜨리겠다고 했지만, 막상 왕좌에 오르자 그 병동을 복수의 공간으로 활용하려 한다. 자신을 그렇게 만들었던 한도준(조현재)을 그 병상에 눕혀놓고 자신과 똑같은 고통을 맛보게 하려는 것.
한여진이라는 인물의 이런 드라마틱한 변화는 사실상 뻔하게 여겨졌던 <용팔이>의 후반부를 팽팽하게 만든 묘수다. 한여진은 자신을 구원해준 김태현(주원)에게는 뭐든 다 해주려고 하는 천사지만, 자신에게 고통의 감옥을 선사했던 이들에게는 죽음의 공포에 떨게 하는 악마다. 실제로 그녀는 말 한 마디에 사람의 생명을 거둬갈 수 있는 권력을 갖게 되었다.
김태현과 한여진의 대립은 그래서 흥미롭다. 김태현은 분노와 복수가 정의를 세우는 일이 아니라며 한여진을 막아 세우고, 한여진은 스스로를 악어들의 제왕이라고 칭하며 자신이 약한 모습을 보이면 물어뜯길 것이라는 이 비정한 세계의 생태를 말해준다. 분노와 복수의 기저에는 ‘생존’하려는 안간힘이 깔려 있는 것.
의학드라마가 의술로 사람을 살리는 이야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용팔이>의 이 후반부는 그래서 김태현이라는 의사가 의술이 아닌 사랑과 설득으로서 한여진을, 아니 세상을 살리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한여진 한 사람을 구원하고 그 폭주하는 복수를 막으며, 사람 살리는 공간이 아닌 사람을 죽이고 범죄를 저지르는 VIP병동을 없애는 일은 또 다른 세상을 살려내는 일이다.
한여진이 든 권력의 칼이 사람을 죽이는 살인검(殺人劍)이라면 김태현이 든 메스는 사람을 살리는 활인검(活人劍)이다. 김태현은 이 문제가 개개인의 복수의 문제가 아니라 이런 문제를 양산시키는 시스템의 문제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한여진을 죽이려 했던 이과장(정웅인)이 사실은 그녀를 살려낸 장본인이고 본래 선량하고 능력 있는 의사였지만 의료사고를 내고 궁지에 몰리자 살아남기 위해 극단적인 선택들을 해왔다는 사실을 김태현은 그녀에게 얘기해준다.
그것은 이 비정한 권력 시스템이 만들어놓은 비극이다. 한여진을 살리기 위해 의사들이 다 그곳으로 몰려감으로써 김태현의 어머니가 제 때 수술을 받지 못해 죽게 된 사실을 알고도 김태현이 그 복수와 분노의 칼날을 한여진을 향해 세우지 않는 건 그래서다. 그는 이것이 VIP 병동으로 상징하는 부조리한 권력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일이라는 걸 잘 알고 있다.
<용팔이>가 그리고 있는 한신 병원이라는 공간은 그래서 우리 사회가 가진 권력 시스템의 축소판처럼 그려진다. 갑과 을로 나뉘어진 채 갑질에 을들이 분노하고는 있지만 그러한 분노와 복수만으로는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는 걸 <용팔이>는 얘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김태현이 말하는 해결책은 무엇일까. 저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VIP 병동을 무너뜨리고 그 곳이 범죄의 온상이 아닌 빈부귀천과 상관없이 사람 살리는 공간으로 거듭나게 하는 일.
현재의 우리 사회를 ‘분노사회’, ‘보복사회’라고까지 칭하게 된 건, 이른바 갑을 정서가 그 끝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신문 사회면을 가득 메우는 그 많은 갑질들에 대한 이야기들과 거기에 공분하는 대중들의 욕망들. 하지만 이러한 분노와 복수가 진정한 정의를 세워낼 수 있을까. 중요한 건 그것이 사적인 복수가 아니라 잘못된 시스템을 바꾸는 일이라는 점이다. 비록 허구로 그려진 드라마지만 <용팔이>의 이런 관점은 우리네 현실에도 많은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데이', 압도적 CG보다 중요한 김영광 같은 의사 (0) 2015.09.27 참으로 기묘한 '용팔이'의 김태희 활용법 (0) 2015.09.26 '디데이'가 그려나갈 재난공화국의 참상이란 (0) 2015.09.20 '그녀는 예뻤다'의 황정음, 쾌활한데 느껴지는 청춘의 슬픔이란 (0) 2015.09.19 '용팔이', 김태희는 병상을 용상으로 바꿀 수 있을까 (0) 201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