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혁 탈락한 <슈스케6>, 곽진언과 김필의 대결 그 의미

 

사실 많은 이들이 예상했던 그림 그대로일 것이다. <슈퍼스타K6>의 파이널에서 만날 곽진언과 김필의 대결. 아니 이미 이전에 임도혁까지 들어간 톱3 역시 벗님들당신만이를 이들이 함께 불렀을 때부터 많은 이들이 예상한 그림이었다. 그들은 저마다 스타일이 달랐지만 각자 가진 스타일만으로도 매력이 충분했다.

 

'슈퍼스타K6(사진출처:Mnet)'

어찌 보면 이번 <슈퍼스타K6>를 되살린 장본인들이 바로 이 세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그들은 혼자서 부르거나 함께 부르고 또 흩어져 다른 출연자와 경쟁 또는 협력을 보여주면서 <슈퍼스타K6>의 전체 흐름을 만들어왔다. 곽진언은 마치 프로듀서 같았고, 임도혁은 절정의 가창력으로 새롭게 곡을 조명해내는 역할을 했으며, 김필은 잘 알려지지 않은 곡들을 대중들에게 소개하는 인물 같았다.

 

그러니 이미 톱3에 이 세 사람이 들어간 연후에는 사실 누가 우승자가 된들 그다지 중요한 일도 아니게 되었다. 이들이 톱3 무대에서 도입부분에 함께 다시 콜라보레이션을 한 비틀즈의 렛 잇 비(Let it be)’처럼 그저 흘러가는 대로 놔두어도 아무 상관없는.

 

<슈퍼스타K6>가 이전 시즌에는 좀체 하지 않았던 5억 원 상금을 강조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바로 이 누가 되도 상관없는 인물들에게 어떤 긴장감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5억 원이라는 상금은 노래를 부르는 당사자들에게도, 또 이를 지켜보는 시청자들에게도 훨씬 주목을 이끌어내는 요인임에 분명하다.

 

3에서 임도혁이 탈락하게 된 것을 두고 가창력이 아닌 외모가 중요하게 작용한 것 아니냐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지만, <슈퍼스타K>는 지금껏 이 외모적인 부분 또한 중요한 변수라고 늘 강변해왔다. 실제로 임도혁의 첫 무대를 보고 난 후 이승철은 살을 빼라는 조언을 해주기도 했다. 그것이 당락에 변수를 줄 것임을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외모 또한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단지 임도혁이 외모 때문에 떨어졌다는 건 너무 과한 이야기다. 대신 곽진언, 김필, 임도혁의 톱3에 대해 갖는 대중들의 취향이 반영됐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곽진언이 저음과 가사전달, 감성 등의 취향을 자극한다면, 김필은 가사 전달력은 상대적으로 약해도 강력한 고음과 그만의 특별한 필이 우리의 취향을 자극한다. 임도혁은 그런 점에서는 가창력에 더 무게중심이 얹어지는 출연자다.

 

결국 완벽한 가창력이 우선이던 시대는 과거 <슈퍼스타K2>의 허각에서 정점을 찍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완벽하지 않더라도 자신만의 개성적인 목소리를 어떻게 최대치로 끌어내는가가 더 중요한 시즌으로 접어들었다. 그런 점에서 보면 곽진언과 김필의 양대 대결구도는 바로 이 개성과 개성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탈락했지만 임도혁은 이미 소울풀한 가창력을 가진 가수의 탄생을 보여주었다. 남은 건 이제 두 사람이다. 만일 곽진언이 우승을 한다면 오디션 역사상 이렇게 저음으로 승부한 사례를 찾기가 어렵다는 진기록을 남길 것이다. 김필이 우승한다면 우리는 독특한 컬러를 가진 매력적인 고음 감성 보컬의 탄생을 바라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어떤 취향에 손을 들어주게 될 것인가. 다음 주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개인의 취향', 그들의 취향이 매력적인 이유

'개인의 취향'의 '개인'에는 세 가지 의미가 들어있다. '맑게 개였다'고 할 때의 그 '개인', 집단과 대비되는 측면으로서의 '개인', 그리고 극 중 여성 캐릭터의 이름으로서의 '개인(손예진)'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의미는 한 가지로 귀결된다. 바로 '취향'이다. 따라서 이 드라마는 박개인이라는 여 주인공이 취향이라는 화두를 쥐고 겪는 이야기이며, 그 이야기를 통해 개인들이 집단 속에서 갖는 취향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말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물론 이 드라마는 각자의 취향을 선택하는 개인(중의적 의미로)의 일기가 '맑게 개는' 행복의 드라마이기도 하다.

저런 게이 남자친구 하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아마도 이 드라마를 보는 여성들의 한결같은 마음일 것이다. 잘 생기고, 능력 있고, 매너도 좋은데다가 말도 잘 통한다. 무엇보다 좋은 건 이런 남자가 부담 없이 뭐든 함께 하고 나눌 수 있는 친구라는 점이다. 확실히 게이 남자친구라는 여성들의 판타지 속에는 남녀 관계의 피곤함이 말끔하게 거세되어 있고, 대신 성별은 다르면서도 깔끔하게 유지되는 친구관계의 편안함이 들어가 있다. 물론 이것은 판타지다. 그것은 전진호(이민호)가 실제 동성애자가 아니라 동성애자로 오인된 남자라는 점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은 '인생은 아름다워'처럼 동성애자의 실존적인 문제를 심각하게 다루는 드라마는 아니다. 대신 게이 남자친구라는 판타지를 동력으로 '취향의 문제'를 다루는 드라마다. 이 드라마는 취향이 있는 사람과 취향이 없는 사람을 비교하면서 행복이 바로 그 자신의 개인적인 취향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드라마 초반에 한창렬(김지석)은 자신이 누구를 사랑하는지도 잘 모르는 '취향 없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는 그에게 대쉬하는 인희(왕지혜)와의 결혼식을 앞두고 박개인에게 "너는 비오는 날 흠뻑 젖어서 동네를 돌아다니는 강아지 같은 존재"였다고 말한다.

하지만 막상 결혼식을 치루는 과정에서 인희 역시 창렬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인희는 다만 박개인이 사랑하는 창렬을 사랑한 것이지 창렬 그 자체를 사랑한 것은 아니다. 인희는 대표적인 '취향이 없는' 인물이다. 그녀는 박개인이 가지려는 것을 욕망할 뿐, 자신의 취향을 들여다보지 않는다. 창렬과 헤어진 그녀는 다시 박개인이 사랑하는 남자, 진호를 욕망한다. 결론은 이미 나와 있다. 그녀는 불행해질 수밖에 없다.

드라마 초반, 개인 역시 같은 부류였다. 창렬의 일방적인 이별통보를 들으면서도 오히려 둔감한 자신을 용서하라며 "미안하다"고 말하는 그녀는 진호의 말을 빌리면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인물이다. "진호씨. 날 좀 여자로 만들어줄래요?"하고 묻는 개인에게 진호는 이른바 '여자 만들기 프로젝트'로 몇 가지 덕목을 내세운다. 자존심, 자신감, 인내심, 우아함 같은 전형적인 기준들. 하지만 그런다고 트레이닝복 차림에 운동화 찍찍 끌고 다니는 개인이 달라지는 것은 없다. 그 덕목들에는 박개인만이 가진 취향이 빠져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그런 내용들이 아니라, 그렇게 서로 말이 통하는 두 사람의 대화 자체다. 이 대화 속에는 일반적으로 남자들이 좋아하는 매력녀를 말하는 것 같지만, 사실 그렇게 털털하고 인간적인 박개인의 취향이 가감 없이 들어가 있다. 그녀는 먹을 것 앞에서는 사족을 못 쓰는 여자고 누군가를 사랑하면 자존심 따위는 집어치우고 맨발로 뛰어나가는 그런 매력적인 취향을 가진 여자다. 게이로 오인 받은 덕분에 남녀관계로서의 대화가 아니라 사람 대 사람으로서의 대화를 하게 된 이 두 사람은 서로의 취향을 들여다보기 시작하고 서로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한다. 이것은 다름 아닌 진정한 사랑에 이르는 과정이다.

'개인의 취향'이 남녀 간의 사랑 그 이상을 다루게 되는 것은 그 취향의 문제 때문이다. '취향'이 중요해진 것은 근대에 탄생한 '개인'이라는 존재 때문이다. 거대한 사회나 집합체에 의해 규율되고 조정되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삶을 결정하고 살아가는 개인의 탄생으로 취향의 문제는 중요해졌다. 박개인과 전진호가 서로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게 되고, 한창렬이 좌충우돌하며 사랑을 알아가며, 인희가 욕망에 휘둘리며 괴로워하고, 최도빈(류승룡)이 자신의 특별한 취향을 드러내는 모습들은 모두, 각자가 자신의 취향을 알아가는 과정이며, 동시에 타인의 취향을 인정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진호의 어딘지 도도하면서도 인간적인 매력과 박개인의 허술한 듯 따뜻한 매력, 다른 성적 취향을 가졌어도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는 최도빈의 매력이 차츰 우리 마음 속으로 들어올 때, 우리는 이미 타인의 취향을 흐뭇하게 바라보고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개인의 취향'의 지극히 개인적인 사랑이야기가 사회성을 띄는 이유는 이 취향을 가진 개인의 문제가 사회적인 맥락을 띠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