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결합의 실험도 좋지만, 우리 정서는 어쩌나

 

KBS <블러드>에 이어 <오렌지 마말레이드> 그리고 이번에는 MBC <밤을 걷는 선비>. 흡혈귀, 즉 뱀파이어 소재의 드라마들이 계속 쏟아져 나오고 있다. 사실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다. <블러드>4%(닐슨 코리아) 정도에 시청률에 머물렀고, <오렌지 마말레이드>는 지금 현재 2% 대 시청률을 전전하고 있다. 소재의 특성상 시청률은 낮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 대한 관심과 화제도 그리 크지 않다.

 


'밤을 걷는 선비(사진출처:MBC)'

만듦새의 문제일 수도 있을 것이지만, 가장 큰 건 소재의 낯설음이다. 물론 뱀파이어라는 소재가 대중들에게 낯선 건 아니다. 이미 미드를 통해서나 할리우드 영화를 통해서나 뱀파이어는 하나의 클리셰가 나올 수 있을 만큼 많이 소재로 다뤄졌다. 하지만 중요한 건 우리네 콘텐츠에서다. 우리에게 드라마나 영화에서 뱀파이어는 낯설다. 한때 뱀파이어 붐을 타고 우리나라에서도 <흡혈형사 나도열> 같은 우리 식의 뱀파이어 영화가 나오긴 했지만 참패했다.

 

OCN에서 방영한 <뱀파이어 검사>는 비상한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시청률도 최고 4%가 넘는 선전을 했다. 하지만 이것은 케이블이 가진 특성과 어울리는 면이 있었고, 또한 뱀파이어라는 소재에 머무는 이야기가 아니라 그걸 통해 들여다보는 현실에 대한 이야기가 완성도 높은 영상과 어우러져 거둔 성과였다.

 

문제는 지상파들이 뱀파이어 소재를 그 플랫폼에 걸맞게 다루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오렌지 마말레이드>에도 살짝 등장했지만 <밤을 걷는 선비> 역시 사극 속의 뱀파이어를 다룬다. 사실 사극이라는 단어와 뱀파이어라는 단어 자체가 어울리지 않는다. 하지만 <밤을 걷는 선비>에서는 흡혈귀라고 소개하면서 그걸 서양에서는 뱀파이어라고 부른다는 지칭까지 굳이 대사에 집어넣는다.

 

이종결합의 실험은 나쁜 것이 아니다. 하지만 그 실험이 그저 이색적인 볼거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만한 근거가 스토리나 주제의식 속에 담겨져 있지 않다면 그건 아무런 의미가 없는 일이다. 즉 조선시대라는 배경 속에서 뱀파이어가 활동한다는 그 스펙터클적인 요소에 집착한다면 시청자들의 눈길 한 번은 끌 수 있을지 몰라도 지속적인 정서적 공감을 가져가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특히 사극은 최근 들어 판타지까지 장르적 변용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런 사극들이 성공한 예는 드물다. 사극은 상상력의 틈입이 이제 허용된 공간이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 상상력은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시청자들의 정서에 맞닿아 있어야 한다. 이를테면 <대장금>은 상상력이 가미된 작품이지만 그 이야기는 지금 현재의 여성으로 대변되는 약자들의 일과 성장스토리에 닿아 있어 반향을 일으켰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밤을 걷는 선비>가 다루고 있는 뱀파이어라는 소재는 지금 현재의 대중들에게 어떤 의미를 던지고 있을까. 첫 회를 통해 모든 걸 판단하긴 어렵지만 이 드라마는 전형적인 복수극과 멜로의 틀을 향해 가고 있다. 그 복수와 사랑은 왜 지금 뱀파이어라는 소재까지 사극에 들여서 대중들에게 보여져야 할 것인가. 왜 우리의 괴물들, 이를테면 구미호나 도깨비 같은 존재들이 아니고 뱀파이어인가. 이런 질문들에 대답해주지 못한다면 사극까지 들어온 뱀파이어 이야기는 단순한 이종결합의 스펙터클에 머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상류사회>, 그건 사랑일까 욕망일까

 

상류사회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각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뉜다. 그 하나는 선망이자 판타지다. 서민들이라면 도무지 가질 수 없는 화려하고 부유한 삶에 대한 막연한 동경. 이걸 드라마로 다루면 주로 신데렐라가 나오는 멜로가 나온다. 다른 하나는 계급적인 시각이다. 죽어라 열심히 살고 있는데 누구는 점점 더 잘 살고 누구는 점점 못 살게 되는 사회 시스템의 부조리를 들여다보는 것이다. 이걸 드라마로 다루면 사회극이 나온다. 그렇다면 아예 제목부터 <상류사회>인 이 드라마는 어떤 시각을 보여주고 있을까.

 

'상류사회(사진출처:SBS)'

<상류사회>는 이 두 가지 패턴화된 시각을 여지없이 깨버린다. 회장 아들이 등장하긴 하지만 그 흔한 신데렐라 이야기는 잘 보이지 않는다. 서민 중의 서민으로 보이는 알바생 이지이(임지연)는 그를 쫓아다니는 재벌가 아들 유창수(박형식)에 대해 무조건적인 호감을 표하지 않는다. 오히려 가진 자들은 다 그러냐며 밀어내고 대신 서민의 아들이라는 최준기(성준)에 대한 호감을 드러낸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봐온 재벌가 아들과 서민 캔디의 조합하고는 조금 다른 풍경이다.

 

한편 재벌가 딸인 장윤하(유이)는 신분을 속인 채 마트에서 알바를 한다. 절친인 이지이에게조차 신분을 속이고 살아가는 그녀는 창수가 지이에게 접근하는 걸 못마땅하게 여긴다. 재벌가들의 그저 그런 여성편력이라 생각하는 것. 이지이를 진정한 친구로 여기는 그녀는 서민들의 소박한 삶에 오히려 로망을 느낀다. 정략결혼을 시키려는 엄마와 달리 그녀는 소박한 사랑과 결혼을 꿈꾼다. 이것 역시 흔히 보던 재벌가 이야기와는 사뭇 다르다.

 

그렇다면 상류사회에 대한 계급적 시각을 드러내는 것일까. 윤하네 집안만을 보면 그런 것처럼 보인다. 윤하가 그토록 서민적인 소박한 삶에 대한 로망을 느끼는 건 권위적이고 폭력적이기까지 한 집안의 분위기 때문이다. 가족이라기보다는 사업체에 가까운 그 곳은 결혼조차 기업 간의 계약처럼 다뤄지는 곳이다.

 

하지만 또 다른 상류사회의 일원인 창수는 이런 시각과는 또 다르다. 창수는 물론 일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친구인 준기에게조차 분명한 상사와 부하의 위치를 드러내지만, 자주 두 사람은 친구관계의 끈끈함을 드러낸다. 창수가 자신과 같은 상류사회의 일원이 아니라 조금씩 지이 같은 서민여성에게 관심을 보이는 것도 흥미롭다. 물론 이 두 관계는 애매모호하다. 그것이 과연 진정한 우정인지, 그것이 과연 진정한 사랑의 감정인지 아직까지 모호한 것.

 

<상류사회>가 그리는 건 우리가 상류층에 대해 갖고 있는 밑그림을 그대로 그려놓은 것은 맞지만 청춘남녀의 사랑은 계층과 무관하게 흘러간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그 서로 다른 계층이 사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건 아니다. 중요한 건 이러한 사랑과 욕망의 변주곡을 그저 이분법적으로 단순하게 다루지 않는다는 점이다. 순간순간 상황에 따라 일어나는 스파크들과 감정들이 우리의 통상적인 편견과 선입견을 뛰어넘어 그려지는 건 <상류사회>가 가진 괜찮은 덕목이다.

 

최근 들어 가면코드가 하나의 트렌드처럼 등장하고 있다. 가면이 이렇게 트렌드가 된 건 일종의 편견을 없애주거나 편견을 벗어버리기 위함이다. 이 드라마는 그런 관점에서 보면 역시 그 가면을 벗기고 드러내는 상류사회의 민낯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면이 있다.

 

편견의 가면을 벗으니 드라마는 상류사회를 소재로 다루었던 그 어떤 드라마들도 잘 보여주지 않던 새로운 관계들을 보여준다. 이를테면 윤하와 지이의 사랑 그 이상의 우정이 주는 감동 같은 것이다. 윤하의 실체를 모르는 지이는 자신이 마음에 두었던 준기가 윤하에게 관심을 보이자 선선히 친구에게 자신이 준기를 포기하겠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친구가 행복해졌으면 좋겠다는 것. “유일한 친구면서 가족이야 넌.” 이 대사는 그래서 가족조차 기댈 곳이 되어주지 않는 윤하의 마음을 울린다.

 

사실 재벌가와의 사랑을 얘기하면서 쉽게 재단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것이 사랑인지 아니면 욕망인지 도무지 헷갈리는 것이 실제일 것이다. <상류사회>가 어째 지금까지 봐왔던 재벌가 이야기들과 신데렐라 이야기의 변주와는 다르게 느껴지는 건 그 클리셰와 편견의 가면을 훌쩍 벗어버렸기 때문이다. 그 민낯에서 발견되는 의외의 감동이나 관계 같은 것. 그것이 <상류사회>가 흥미로워지는 대목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