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KBS다. KBS의 새 노조는 공정방송을 위한 위원회 설치와 임금협상 등을 놓고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이로써 이 노조에 참여하고 있는 PD들의 해당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 방송에 빨간불이 켜졌다. 주말 대표 예능 프로그램인 '1박2일'과 '남자의 자격'은 물론이고 '천하무적 야구단'은 이번 주에 하이라이트를 대신 내보낼 예정이다. 또한 드라마 PD들 역시 파업에 참여한 만큼 파업이 장기화되면 드라마 방영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당장 오는 5일 첫 방영되는 '구미호, 여우누이뎐'이나, 주말극 '결혼해주세요'는 파업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 방송가는 유난히 편성에 차질이 많았던 시기였다. 천안함 사태로 한동안 대부분의 예능 프로그램들이 개점 폐업 상황을 맞이했다. 국민적 추도 분위기 속에서 방송은 웃음을 잃어버렸다. 특히 '개그콘서트' 같은 경우 거의 한 달 간 방영되지 않음으로써 심지어 개그맨들이 생활고를 토로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기도 했다. 그리고 이어진 MBC 노조의 총파업은 방문진(방송문화진흥회)에 의해 임명된 신임 사장 김재철씨에 대한 불신임으로 일어났다. 이로써 '무한도전' 같은 MBC의 대표 예능 프로그램들을 우리는 한동안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이어진 월드컵. SBS의 단독중계로 인해 월드컵 채널화 되어버린 SBS의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들은 거의 한 달 여간 결방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KBS가 파업에 들어갔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장기 결방은 해당 프로그램의 제작진들은 물론이고 시청자들에게도 그대로 불이익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모든 결방에 대해 시청자들이 불만을 토로했던 것은 아니다. 사안에 따라서 결방의 이유에 공감하는 시청자들은 오히려 그것을 지지하기도 했다. 천안함 사태로 인한 예능 결방은 초기에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지만 결방이 장기화되면서 왜 유독 예능만 직격탄을 맞아야 하는가 하는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또한 예능 프로그램은 결방시키면서 코미디 영화는 대체 편성됐던 점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 비판받았다.

MBC의 파업에도 많은 시청자들은 비판보다는 지지의 뜻을 밝혔다. 외부의 입김이 작용하는 프로그램은 진정 시청자들이 원하는 것이 아니라는 공감대 위에서 시청자들은 MBC의 파업에 그다지 불만을 토로하지 않았다. 한편 SBS의 월드컵 단독중계로 인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결방에 대해서 시청자와 제작진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인생은 아름다워'의 김수현 작가는 이것을 '테러'라고 지칭하면서 SBS의 '엿가락 편성'을 강하게 비판했고, 많은 이들은 이에 공감을 표했다.

MBC의 파업에 많은 시청자들이 지지의 뜻을 밝힌 것처럼 이번 KBS 노조 파업에도 이런 분위기는 이어질 전망이다. 이미 이번 대선을 통해서도 민심이 드러난 것처럼, 정권의 방송 장악으로 추정되는 일련의 행보들에 대해 대중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어쨌든 올 상반기 방송사의 편성표는 사상유례가 없는 파행으로 점철된 인상이다.

'해피선데이-솔약국집 아들들-개그콘서트', 최강의 편성라인

프로그램의 질만큼 중요한 것이 편성이다. 그래서 혹자들은 "편성이 만사"라고까지 말한다. 한 프로그램의 성공은 다음 시간대 프로그램의 성공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각각 하나로 떼어보는 것보다는 한 덩어리, 즉 라인으로 생각하면 거기서 편성의 묘가 보인다. 이것은 한 주간의 시청률 성적표를 들여다보면 한 눈에 들어온다. 그렇다면 현재 최강의 편성라인은 무엇일까.

그것은 일요일 밤 초저녁부터 자정까지 이어지는 KBS2의 프로그램 편성라인이다. 5시20분에 시작하는 '해피선데이'에 이어서 '솔약국집 아들들', '개그콘서트', 그리고 '천추태후'가 끝나는 11시30분까지 일련의 프로그램들이 저마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AGB닐슨의 지난 30일자 시청률표를 보면 1위의 '솔약국집 아들들'이 35.6%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고, 2위가 '개그콘서트(20.1%)', 3위가 '해피선데이(19.1%), 그리고 '천추태후'는 4위인 '스타일(18.9%)'에 약간 뒤진 18%로 시청률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주간시청률을 봐도 마찬가지다. 지난주 주간 시청률에서 '솔약국집 아들들', '개그콘서트', '해피선데이'는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선덕여왕' 다음으로 2,3,4위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물론 각각의 프로그램이 갖는 높은 대중적인 지지도를 말해주는 것이지만, 라인을 형성한 편성의 힘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주말 시청률에서 KBS2의 뒤를 바짝 뒤쫓고 있는 SBS의 '스타일'과 '천만번 사랑해' 역시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가능성을 점치게 만든다. 한편 일요일 시청률에서 참담한 결과에 머물고 있는 MBC는 어떤 라인은커녕 중심을 잡아주는 프로그램조차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점점 어려운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일요일 시청률표에서 20위 권에 들어간 MBC프로그램은 14위의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19위의 '해피타임' 두 프로그램뿐이다. 즉 저녁 시간대의 라인이 무너져버린 형국이다. '일밤'을 중심으로 주말드라마까지 이어지는 황금의 편성라인은 이제 옛 얘기가 되어버렸다.

TV라는 매체는 집중적으로 보기보다는 다른 일을 하면서도 그저 틀어놓고 슬쩍슬쩍 보는 시청행태가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틀어져 있는 채널은 그만큼 유리한 면이 있다. 하나의 좋은 프로그램이 따라서 이어지는 다른 프로그램을 살리기도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일요일 밤 KBS2로 고정되는 채널은 라인을 형성한 프로그램들이 얼마나 힘을 발휘하는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가 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