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하는 드라마와 겉멋에 빠진 드라마, 그 명암

작품의 질적인 부분은 일단 차치하자. 시청률과 시청자들의 평가만을 놓고 볼 때, 작품의 성패를 가름하는 것은 질적인 부분보다는 시청자와 작품 간의 소통에 있기 때문이다. 최근 두 드라마가 이 소통에 있어서 상반된 길을 걷고 있어 눈길을 끈다. 세대를 넘어서 거의 모든 대중들의 공감을 통해 시청률 40%를 넘어선 ‘찬란한 유산’과, 세련된 스타일에도 불구하고 전혀 공감을 얻지 못하는 인물설정으로 이제 시청률 5%대로 추락한 ‘트리플’이 그것이다.

드라마를 대중들과 소통하는 하나의 커뮤니케이션으로 봤을 때, 주목해야 할 것은 그 드라마가 구사하는 화법이다. 그런 면에서 ‘찬란한 유산’의 화법은 지나칠 정도로 친절하다. 이것이 지나치다고 표현하는 것은 그것 때문에 심지어 세련된 느낌마저 상쇄되기 때문이다. 모든 걸 세세히 설명해주는 화법은 겉으로 보기에 폼이 나지 않게 마련이지만, ‘찬란한 유산’은 그런 겉멋에 연연하지 않는다. ‘찬란한 유산’은 고은성(한효주)이 어떻게 바닥까지 떨어지고 그 바닥에서 장숙자(반효정) 여사를 만나고 다시 어떻게 조금씩 상승하는가를 차근차근 설명해준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이 드라마가 말하려는 주제가 간결하고도 명료하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는 기본적으로 권선징악을 말하고 있고, 따라서 시청자들은 이미 초반부터 이야기가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를 다 파악하고 있다. 이런 경우 드라마는 철저히 시청자들과의 공감을 목표로 흘러간다. 고은성은 좀 더 잘 되어야 되고, 백성희(김미숙)는 파멸해야 하며, 고은성을 도왔던 인물들은 그만한 보상을 받아야 하고, 고은성을 통해 선우환(이승기)과 그 가족들은 좀 더 성장해야 한다. 드라마는 바로 이 시청자들의 바람을 하나씩 이루어주는 과정이 된다. 즉 소통은 이미 드라마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반면 ‘트리플’은 정반대다. 이 드라마의 주제는 시청자들의 공감을 끌어내기가 어렵게 설정되어 있다. 오빠-동생 사이에서 싹트는 사랑(신활과 이하루)이나, 친구의 아내와 사랑에 빠지는 것(장현태와 최수인), 결혼을 외면하고 바라는 사랑(조해윤과 강상희)은 모두 보통 사람들이 겪는 그런 것이 아니다. 그러니 ‘트리플’은 시작부터 바로 이 보통 사람들의 생각들이 만들어내는 벽을 뚫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한다. ‘트리플’의 주제가 바로, 이런 상식 밖의 일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숨 쉬고 사랑하고 아파하면서 살아간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이런 어려운 주제의식은 작가와 PD의 대단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트리플’은 그 도전적인 주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전혀 소통하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는다. 대신 그들의 빗나간 사랑의 풍경을 예쁜 그림으로만 보여주려고 했다. 소통은 겉모습으로 덮어지는 것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관계 속에서 서로 고민하는 모습들이 비춰질 때, 시청자들은 비로소 ‘그래 저럴 수도 있겠다’고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트리플’의 주인공들은 이런 고민이나 표현을 지질한 어떤 것으로 여기는 이른바 쿨한 인물들이다. 그들은 고민은 차치하고 그저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하라고 한다. 그러다 보면 모든 건 다 지나가고 해결될 것이라고. 이 주제의식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우리네 시청자들과의 소통에 있어서는 굉장히 어려운 길을 선택한 것만은 분명하다.

‘찬란한 유산’이 바로 그 소통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진 드라마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공감을 가져갈 수 있었다면, ‘트리플’은 소통의 벽에 부딪칠 수 있는 상황을 뛰어넘어야 하는 드라마로 어떤 공감을 얻어낼 수가 없었다. 이것은 어쩌면 작품을 대하는 PD나 작가가 가진 마인드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드라마에 대한 쌍방향의 소통이 늘 순간순간 일어나는 요즘, 늘 겸손한 자세를 견지하며 시청자들의 마음을 읽는 마음은 제작자들이 가져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 되었다. 한때의 성공이 가져온 지나친 자신감은 때론 독이 되며, 반대로 오랜 기간 묵혀졌던 힘겨운 시간들은 때론 약이 된다. ‘트리플’의 참패와 ‘찬란한 유산’의 성공은 바로 그 갈림길에서 생겨난 것이다.

환타지보다는 공감을 끌어내는 ‘달콤한 나의 도시’

SBS 금요드라마 ‘달콤한 나의 도시’는 여러 모로 ‘섹스 앤 더 시티’를 닮았다. 조금씩 다른 성향과 직업을 가진 커리어 우먼들이 캐릭터들로 등장하는 것이 그렇고, 문화의 아이콘으로 생각될 수 있는 도시, 즉 뉴욕과 서울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그러하며, 거기서 다루어지는 것이 그네들의 솔직한 연애와 사랑의 이야기라는 것이 그러하다.

하지만 ‘달콤한 나의 도시’와 ‘섹스 앤 더 시티’를 근본적으로 다른 드라마로 만드는 요인이 있다. 그것은 뉴욕과 서울이라는 공간과의 거리감이 만들어내는 시청자의 수용태도에서 비롯된다. 뉴요커가 보는 ‘섹스 앤 더 시티’는 공감을 자아내는 현실감 넘치는 드라마가 될 수 있겠지만, 서울에 사는 우리들의 눈에는 환타지로 받아들여진다.

‘섹스 앤 더 시티’가 우리에게 인기 미드로서 자리잡은 것은, 그네들의 도발적인 성담론이 우리 사회에서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게 됐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우리가 할 수 없는 것을 저들은 자유롭게 구가한다는 점에서 선망의 대상이 될 수 있었을 뿐이다.

여기에 스타 벅스 모닝커피와 뉴요커로 상징되는 독특한 뉴욕 문화에 대한 동경, 그리고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통해 보여주었던 뉴욕의 패션 트렌드까지 ‘섹스 앤 더 시티’는 우리네 여성 시청자들에게는 꿈꾸고 싶은 환타지 그 자체였다. 패션쇼를 방불케 하는 명품들의 상찬은 눈을 휘둥그레지게 만들고, 따라서 그런 도시에서의 로맨스는 이 서울이라는 도시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에게는 그만큼 환상적일 수밖에 없다.

물론 이것은 꽤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막연한 뉴욕이라는 공간이 주는 이국적인 이미지에서 비롯된 것이 크다. 하지만 이러한 정서는 실제 우리네 시청자들이 현실로서 살아가는 서울이라는 공간을 다루는 ‘달콤한 나의 도시’에서는 기대하기가 어렵다. 대신 우리가 ‘달콤한 나의 도시’를 통해 보게 되는 것은 그 속에 담겨진 현실성 있는 이야기들에 대한 공감이다.

그러니 지금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이 두 드라마를 보면서 우리가 갖는 재미는 사실은 상반된 것이다. ‘섹스 앤 더 시티’가 환타지에 대한 동경이라면, ‘달콤한 나의 도시’는 동시대의 같은 공간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만드는 리얼한 상황에 대한 공감이다. ‘섹스 앤 더 시티’의 과장된 파티 문화 속에서 어떤 뉴욕 문화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꿈꾼다면, ‘달콤한 나의 도시’의 퇴근 후 조촐한 술자리에서는 공감 가는 이야기들이 흘러나온다.

정서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겠지만 ‘섹스 앤 더 시티’가 화려한 상류층의 분위기를 갖고 있다면, ‘달콤한 나의 도시’는 소박하지만 예쁜 서민적인 분위기를 갖고 있다. ‘달콤한 나의 도시’에는 섣불리 재벌집 2세들이 등장해 환타지를 조장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부족하고 모자란 인물들이 각자 현실에서 부딪치는 사건들을 진솔하게 꾸미지 않고 보여줄 뿐이다. ‘달콤한 나의 도시’가 ‘섹스 앤 더 시티’보다 좋은 이유는 바로 이 점, 즉 막연한 환타지로의 침잠보다는, 우리네 현실 속에서 꿈과의 타협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