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자>, 왜 강동윤과 서회장의 대결에 집착할까

 

루저와 약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흔히들 변변한 직업도 없고 돈도 없고 배경도 없어 그저 그렇게 하루를 살아가는 이들을 낮추어 루저(패배자)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들이 왜 이런 상황에 몰렸는가를 사회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 루저란 표현은 지나치다고 여겨진다. 이들은 열심히 노력했지만 이 태생적으로 모든 게 정해져버리는 부조리한 세상 속에서 사회적 약자일 따름이다. 그렇다면 다시 묻자. <추적자>에서 백홍석(손현주)은 사회적 약자인가 아니면 루저인가.

 

'추적자'(사진출처:SBS)

아마도 우리의 도덕적인 의식은 백홍석을 사회적 약자라고 부를 것이다. 하지만 도덕적인 선택이 진실인 것은 아니다. 드라마가 그리고 있는 백홍석이라는 인물에 대한 깊은 연민과 동정의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이 끊임없이 권력의 힘에 의해 당하기만 하는 인물이 어딘지 답답하게 여겨질 수 있다. 사실 <추적자>라는 드라마가 백홍석과 강동윤(김상중)의 대결구도로 끝까지 달려가지 않고 중간에 갑자기 강동윤과 서회장(박근형)의 대결구도로 바뀐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백홍석이라는 사회적 약자가 끊임없이 실패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루저 같은 이미지로 바뀌게 되면 드라마의 매력 또한 사라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반을 넘어서면서 <추적자>에 더 집중되는 관심은 백홍석과 그가 밝혀내려는 진실이 아니다. 오히려 대통령이 되려는 야심가 강동윤과, 그를 막는 것과 도와주는 것 사이에서 주판을 튕기고 있는 서회장 사이에 벌어지는 팽팽한 대결구도다. 과연 강동윤은 서회장과의 정치적 대결을 이겨내고 대통령이 될 것인가. 아니면 서회장이 강동윤의 야심을 무참히 꺾어버릴 것인가. 최근 몇 회 동안 <추적자>에 보인 언론의 관심은 백홍석이 아니었다. 그것은 서회장과 강동윤을 위시하여 그 변화를 만들어내는 서지수(김성령), 신혜라(장신영) 같은 인물들이 보여주는 반전드라마였다.

 

백홍석과 강동윤의 대결이 뻔해 보이는 반면, 강동윤과 서회장의 대결은 흥미진진하다. 그런데 이렇게 되자 기묘한 상황이 생겨난다. 백홍석과 강동윤의 대결지점에서 강동윤이란 인물은 절대적인 악으로 위치하지만, 강동윤과 서회장의 대결에서는 다르게 그려진다는 점이다. 이발사 아버지를 둔 소시민의 아들 강동윤의 성공스토리가 그 안에는 깔려 있다. 성공하기 위해 뭐든 했던 이 인물은 어쩌면 우리네 근대사의 아버지들을 표징하는 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 성공을 향해 질주하는 강동윤이란 인물에 묘한 동정심을 갖게 된다. 무표정한 얼굴, 그 뒤에 놓여진 처절함 같은 것.

 

우리는 드라마를 통해 강동윤 같은 인물을 만난 적이 있다. <하얀거탑>의 장준혁(김명민)은 대표적인 사례다. 성공하기 위해 뭐든 하고, 누구와도 손을 잡는 속물적인 인간이지만 많은 대중들은 그가 그토록 성공하려는 그 마음을 동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이런 인물은 남성 캐릭터에만 있는 게 아니다. <선덕여왕>의 미실(고현정)도 넓은 의미에서 이들과 같은 부류다. 성공을 향한 강력한 욕망과 그 좌절의 캐릭터. 이런 부류의 캐릭터들에 열광하는 건 아마도 우리네 불행한 근대사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강동윤의 말처럼 “마차가 달려가다 보면 바퀴에 벌레가 밟히기도 한다”는 것이 우리네 개발시대의 정서가 아니었던가. 그렇게 발밑과 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살피지 않고 강박적으로 앞만 보고 달려온 우리네 아버지들. 우리가 아버지를 바라보는 시선은 그래서 양가적이다. 어떤 이들이 개발의 결과를 놀랍도록 눈부신 성장으로 바라보는 반면, 어떤 이들은 그 개발이 누군가를 짓밟은 결과로 인해 생겨난 것으로 바라본다. 이것은 자식이 아버지를 바라보는 양가적인 시선과 겹쳐진다.

 

물론 백홍석이라는 아버지는 <추적자>라는 이전투구의 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구원 같은 존재다. 사실상 강동윤과 서회장의 복마전이 허용되는 이유는 백홍석이라는 절대적인 선이 한 편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피해자이지만 가해자가 되어 쫓기고 있는 그가 눈앞의 진짜 가해자에게 총을 겨누고 있으면서도 쏘지 않았다는 것은 그의 문제 해결 방식이 단순한 복수에 있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진실을 밝히겠다는 것. 백홍석은 그저 서민을 대변하는 아버지처럼 보이지만 이 부분에서는 인간적인 차원을 넘어선 인물처럼 보인다. 자식을 죽이고 아내마저 죽게 만든 장본인을 눈앞에 두고 복수가 아닌 진실을 선택한다는 것이 어찌 쉬운 일일까.

 

하지만 이 절대 선으로서의 백홍석이라는 인물보다 강동윤이라는 인물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은 <추적자>를 단순한 추적 장르물이나 복수극에 머무르게 하지 않는다. 거기에는 아프게도 우리가 갖고 있는 성장과 성공에 대한 갈망(아마도 그토록 빠른 근대화를 가져오게 했던 동인이었을)과 그 결과로서 생겨난 희생들에 대한 죄의식이 겹쳐져 있다. 백홍석이 죄의식을 환기시키는 인물이라면, 강동윤은 여전히 욕동하고 있는 그 성공에 대한 갈망을 떠올리게 하는 인물이다. 당신은 어떤 인물을 추적하고 있는가. 백홍석인가 강동윤인가.

백홍석, 우리 시대 아버지의 초상

 

그가 잘못한 것이라고는 가족을 위해 사회를 위해 열심히 일한 것밖에 없다. 그런데 그런 그에게 돌아온 결과는 실로 참혹하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이 뺑소니를 당했고 간신히 이어붙인 생명줄을 돈 앞에 무너져 내린 친구가 끊어버렸다. 딸의 죽음에 비통해하던 아내마저 죽음을 맞이하고 진실을 밝혀내려던 그는 오히려 범법자가 되어 쫓기는 신세가 되어버린다. 진실은 은폐되었고, 그렇게 돈과 권력으로 진실을 은폐한 이들은 정치 일선에서 ‘서민 운운’하며 정권을 잡기 위한 쇼를 한다.

 

'추적자'(사진출처:SBS)

형사로서 그토록 지키려 애쓴 법 질서가 이제 거꾸로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는 현실, 그 누가 법에 정의를 기대할까. <추적자>의 백홍석(손현주)은 그렇게 끝단에 몰려 세상의 추악한 진면목을 바라보게 된다.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강동윤(김상중) 앞에 총을 들이대지만 백홍석의 그 행동을 강동윤은 거꾸로 정치적 음모론으로 덮어버린다.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마음이 없는 강동윤과 같은 권력자들 앞에서, 우리네 정 많고 눈물 많은 수정이 아빠 백홍석은 무력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늘 땀에 절어 번질번질한 얼굴에 반쯤 정신이 나간 듯한 표정, 그리고 금방이라도 눈물이 쏟아질 듯한 눈으로 처연하게 이 더러운 현실을 바라보는 백홍석에 똑같은 가슴 먹먹함을 느꼈다면 우리가 사는 현실이 그와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인식 때문일 게다. 도대체 우리네 서민들이 잘못한 것이 무엇인가. 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왔고 무엇보다 가족들을 위해 헌신했던 우리들이 아닌가. 그런데 권력자들은 저들끼리 권력을 잡으려고만 혈안이다. 그들은 서민을 외치지만 서민 정치는 좀체 보이지 않는다. ‘서민’이라는 이름은 이제 그들이 권력을 잡기 위해 호명하는 이름이 되어버렸다.

 

IMF가 터졌을 때 우리네 서민들이 잘못한 것이 무엇인가. 하지만 그네들의 사라져버린 도덕성 위에 무너져가는 기업들을 회생하기 위해 저들끼리 공적자금이라는 이름으로 뽑아간 것은 서민들의 세금이었다. 잘못은 저들이 했지만 고통은 서민들이 겪었다. 수많은 전시행정들과 일관성 없는 정책들이 서민들을 향해 있었던 적이 몇 번이나 되던가. 백홍석이라는 이 시대 아버지의 초상을 바라보며 우리 또한 눈물이 나는 이유는 그의 진심이 보이기 때문이고, 그것이 처절하게 짓밟힌 현실이 보이기 때문이다.

 

<추적자>를 드라마 그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이 진짜 서민들이 갖고 있는 정서에서 비롯된다. 사실 드라마적으로 보면 백홍석이 위기의 순간에 도주하는 장면이 어색하기 이를 데 없어 보인다. 강동윤 앞에 총을 들이대고 있는 백홍석을 향해 경호원이 총을 쐈다면 그 자리에서 사살했거나 그를 체포했어야 개연성이 있다 여겨지지만 사실 그런 것은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도 않는다. 그 자리에서 도주에 성공하는 백홍석을 시청자들이 마음 속에서 지지하는 마음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것은 <추적자>가 단순한 드라마 이상이라는 반증이다.

 

그래서 <추적자>의 슬픈 아버지 백홍석을 보며 눈물을 흘린 시청자들은 그가 적어도 드라마 속에서라도 진실이 통하는 세상을 만나기를 희구한다. 우리를 닮아버린 백홍석이라는 아버지가 적어도 드라마라는 작은 공간에서나마 숨통을 틔기를 원한다. 그렇지 않다면 모진 현실을 드라마 속에서조차 확인하는 셈이 될 테니. 물론 섣부른 드라마의 판타지가 현실을 바꿀 수도 없고, 어떤 면에서는 바뀌지 않는 현실이 마치 바뀐 것인 양 호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쩌랴. 그래도 백홍석이라는 우리 시대 아버지의 초상이 최소한 한 번은 웃는 모습을 보고 싶은 건 어쩔 수 없는 마음이니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