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아라를 위해서도 시간은 필요하다

 

티아라의 은정은 결국 드라마 <다섯손가락>에서 하차하게 됐다. 항간에는 제작진의 이 결정에 대해 일방적으로 통보된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되기도 했다. 그런데 그 속에 담겨진 논리가 애매하다. 티아라 사태로 인해 은정이 출연하게 된 <다섯손가락>이 오히려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켰으며, 그래서 이제 PPL에 차질이 생긴다는 이유로 은정을 퇴출시키는 것은 마치 토사구팽을 연상케 한다는 논리다. 과연 그럴까.

 

'다섯손가락'(사진출처:SBS)

먼저 티아라 사태가 <다섯손가락>에 득(得)을 주었다는 시각은 이해될 수 없다. 물론 관심을 집중시켰을 수는 있지만, 그것이 긍정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실(失)로 작용할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티아라 사태로 인해 이미지가 실추된 은정이 출연하기 때문에 드라마를 안보겠다는 시청자 의견들이 쏟아져 나왔다. 또 PPL이 은정 출연 때문에 어려워진다는 얘기 자체가 대중정서를 반영하고 있다는 증거다.

 

따라서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다섯손가락> 제작진은 티아라 사태로 인해 거꾸로 피해를 본 셈이다. 마치 CF를 찍은 연예인이 사회적인 구설수에 오르게 되면 해당 기업에게 그 피해가 가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 실제로 이런 경우에 해당 기업은 그 연예인에게 피해 보상을 요구하기도 하지 않는가.

 

물론 <다섯손가락>에서 은정의 하차 과정에 문제가 없다는 건 아니다. 즉 애초에 티아라 사태가 터졌을 때, 아예 선을 그었다면 훨씬 자연스런 조치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제작진들은 티아라 사태의 중대성을 잘 이해하지 못한 듯하다. 결국 뒤늦게 그 중대성을 깨닫고 하차 결정을 한 것이 잡음이 남게 된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제작진의 이런 둔감한 반응만큼 이해가 되지 않는 건 티아라 소속사의 행보다. 티아라 사태는 그 본질과 상관없이 소속사의 잘못된 대처로 인해 대중들에게는 왕따의 이미지로 굳어버린 게 사실이다. 즉 퇴출된 화영과 남게 된 멤버들이 보여주는 풍경은 그 자체로 당한 이가 퇴출되고, 가한 이가 버젓이 남아있는 상황으로 인식되게 된 것. 이런 상황을 이해한다면 티아라 멤버들이 버젓이 드라마에 출연한다는 것이 어떤 이미지를 만들 것인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티아라 소속사는 멤버들의 드라마 출연을 강행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것은 어찌 보면 대중정서를 여전히 이해하지 못했거나 무시한 행위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대중들을 상대하는 연예 기획사가 대중정서를 읽지 않는다는 것은 직무유기가 아닐까. 게다가 같은 연예계 종사자로서 드라마 출연 강행이 드라마 제작진들이나 방송사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모르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런 끝없는 구설수 속에서 정작 더 힘들어지는 건 티아라 멤버 당사자들이다. 심지어 티아라 왕따 놀이가 등장할 정도로 사회문제화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멤버들은 그 어떤 방송 출연도 득보다는 실이 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 특히 티아라 사태에서는 멤버들의 방송활동 자체가 이들의 왕따 이미지를 더 공고하게 굳혀버리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티아라 사태의 진짜 본질이 실제 왕따인지 아니면 그저 왕따설일 뿐인지는 아직도 명확히 알 수 없다. 멤버 당사자들이나 소속사 대표 그 누구도 명쾌한 해명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처럼 신뢰의 금이 간 상황에서는 그 어떤 해명도 믿음을 주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진실이 무엇인가만큼 중요한 것은 대중들이 이 사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느냐는 것일 게다.

 

대중정서를 감안해본다면 티아라에게 현재 필요한 건 방송 강행이 아니라 어느 정도 사태가 진정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다. 이 대중정서가 가라앉지 않는 한, 어떤 방송 강행도 티아라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기는 어렵다. 소속사가 티아라를 위한다면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것은 현재 사회문제로까지 비화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대중문화 종사자로서의 사회적인 책무이기도 할 것이다.


최효종과 '나꼼수'가 보여주는 대중정서

'승승장구'(사진출처:KBS)

최효종은 '승승장구'에 나와 자신의 풍자 개그에 대해 명쾌한 한 마디를 남겼다. "풍자가 기분 나쁘면 진짜로 그런 사람이란 뜻"이란 거다. 즉 '사마귀유치원'에서 국회의원을 풍자한 자신의 개그에 고소로 맞선다는 것이 결국은 본인이 그런 국회의원이란 걸 자인하는 셈이란 얘기다. 이것은 풍자가 가진 힘을 제대로 표현한 것이다. 풍자는 말해지는 순간, 진영을 나누는 힘이 있다. 웃는 사람과 웃지 못하는 사람. 게다가 이것은 웃음을 매개로 하기 때문에 웃지 못하는 사람마저 웃고 싶은 욕망을 갖게 만들기도 한다.

최효종의 풍자 개그와 그것에 대해 한 국회의원이 제기한 고소에 대해 개그맨들은 일제히 "개그는 개그일 뿐"이라고 얘기했다. 대중들 역시 '웃자고 하는 말에 죽자고 덤빈다.', '개그를 다큐로 받아친다.'는 식의 이야기를 했다. 하지만 최효종은 의식하지 못했겠지만 그가 현재 하고 있는 것은 분명 정치적인 함의를 갖고 있다. 이것을 '정치적인 의도'로까지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다. 사실 모든 이들의 사회활동은 그 자체로 정치적인 맥락을 갖게 마련이니까. 최효종은 개그맨이고 또 풍자에 관심이 있다. 그러니 현실의 문제들을 웃음의 소재로 끌어올 수밖에 없다. 웃는 사람이 있으면 웃지 못하는 사람이 있게 마련이다. 이 구분은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잘못된 건 하나도 없다.

우리가 흔히 '개그는 개그일 뿐 오해하지 말자'고 하는 말에는 은연 중에 개그(확장에서 보면 대중문화)와 정치가 분리된 어떤 것이라고 여기는(혹은 여기게 만드는) 심리적 기제가 들어 있다. 개그가 정치에 억압받던 시절의 트라우마다. 정치가 개그를 저질 판정 내리면서 스스로는 고급한 어떤 것(실제로 고급했는지는 모르겠지만)으로 구분지으려 했을 때의 이야기다. 고 이주일씨가 정계를 떠나며 "코미디 한 수 잘 배우고 갑니다"라고 말한 일화처럼, 사실 정치나 개그나 질적인 차이는 별로 없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더더욱. 그러니 정치를 특별한 사람들이 하는 것이라 여길 필요는 없다. 개그도 정치를 함의할 수 있다.

김어준의 '나는 꼼수다'가 대중들의 엄청난 지지를 얻은 것은 이 풍자가 가진 진영 나누기의 효과로 볼 수도 있다. 즉 지금껏 정치라고 하면 진보니 보수니 하는 해묵은 논쟁과, 법안 통과를 위해 국회에서 드잡이를 하는 풍경을 신물 나도록 봐온 대중들에게 김어준이 들이댄 것은 이런 소위 '정치적인 행위'라고 붙여지는 것과 정반대되는 일련의 행위들이다. 그간 비정치적인 것으로 여겨져 온 '사적인 이야기', '근거 없는 농담', '상황극', '조롱' 같은 행위들은 하나의 퍼포먼스처럼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진지한 체 어깨에 잔뜩 힘을 주고 뭔가 있는 것처럼 얘기하는 기성 정치 앞에서 이런 지극히 가볍고 맥락도 없고 어디로 튈 지 전혀 알 수 없는 한 편의 개그 같은 이야기들은 확실히 진영을 구분해 버렸다. 정치인 양 얘기하면서 사실은 권력을 탐미하는 기성 정치의 비정치성. 전혀 정치 같지 않은 '잡놈'들의 이야기 같지만 사실은 대중들의 정서를 정확히 파악해 그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나는 꼼수다'의 정치성. 아니 이것은 어쩌면 대중들이 원하고 생각하는 새로운 정치인 지도 모른다. 대중은 어딘지 현실과 멀리 떨어진 저 기성 정치인들의 이야기가 더 이상 가슴에 와 닿지 않는다. 그 보다는 좀 더 가까이 있는 우리 일상에 정치가 깃들길 원한다.

과거와는 달리 대중문화가 이제 정치의 중심부로 들어오고 있다. 그것은 대중정서가 가진 힘이 실제로 정치적인 힘이 되는 미디어 환경에 우리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최효종은 사실 '애정남'에서부터 이런 대중문화가 가진 정치적인 힘을 부지불식 간에 행하고 있었던 셈이다. 일상의 '애매한 것을 정해준다'는 그 행위는 대중들과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키지 않는다고 쇠고랑차지는' 않지만 '우리들만의 아름다운 약속'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법의 범주와 일상의 범주는 자연스럽게 대결하게 되고, 거기서 그 공감대를 공유하는 '우리'라는 연대가 생겨난다. 그 공감대가 대중문화라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서울 시장 선거를 통해 급부상한 세대가 2040이다. 이 세대들의 특징은 어쩌면 이러한 대중문화와 대중정서와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는 지도 모른다. 태생적으로 사회의 길이 결정되고 그 흐름이 동맥경화가 되어버린 세상을 살아오면서 이 세대들은 문화를 통해 그 답답한 속내를 풀어내고, 같은 처지를 가진 그들끼리의 네트워크를 갖게 됐는 지도 모른다. 그러니 이제 정치와 대중문화가 동떨어진 어떤 것이라 여기지 말자. 그리고 최효종이 말한 것처럼 '풍자가 기분 나쁘다'는 것은 어딘지 대중정서와 멀어지고 있는 자신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이제 '웃지 못하면 지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정치의 세상이 열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 Recent posts